- 사회복지학개론(introductio
to social welfare)
사회복지, 사회서비스, 사회사업의 개념과 기초지식을 습득하고, 사회복지 각 분야별
현황을 파악, 여러 가지 방법론의 입문과정을 배운다.
- 인간행동과
사회환경(human behavior & the social environment)
인간행동에 관한 제 이론을 살펴보고 동시에 사회 환경적 적응 측면을 이해함으로써
사회복지학의 기초 이론을 습득하고 인간행동에 대한 이해를 도모한다.
- 장애인복지(Social
work with the Disabled)
장애인에 대한 기본적인 이해와 더불어 장애인복지의 개념, 영역, 재활 및 장애인에
대한 법적 제도적 장치와 전문 사회사업적 서비스에 대해 살펴본다.
- 사회복지실천론(social
work practice theories)
사회복지실천 전반에 대한 기초지식과 개인의 가족, 집단을 대상으로 한 사회복지
실천모델에 관한 기초지식을 통합적인 시각에서 살펴본다.
- 가족복지론(social
work in family)
한국의 아동·여성·가족복지정책과 과제를 이해하고 가족이 당면하고 있는 문제에 관해서
분석하고 그 해결 방안들을 이론적으로 학습케 함을 목적으로 한다.
- 노인복지론(social
welfare for the elderly)
노화의 과정과 노인의 특성에 대해 이해하고 노인들을 위한 사회복지 프로그램과 서비스에
대해 학습하고, 전문사회사업가로서 가져야 할 노인과 노인복지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다.
- 프로그램개발 및
평가(program development & evaluation)
사회복지 현장에서 사용되는 프로그램의 기획과정 전반을 경험하고 실습함으로써
사회복지전문가로서 가장 중요한 프로그램 기획과정을 충분히 익혀, 개인의 전문성 향상은 물론 사회복지프로그램 운영과정 전반을
이해하도록 돕는다.
- 지역사회복지론(community
welfare)
지역사회를 대상으로 실시되는 사회사업으로써 지역사회조직의 특성과 조직방법을 습득하고
지역사회조직사업을 실시할 수 있는 기초를 다지게 한다.
- 사회복지현장실습(field
work in social welfare)
사회복지에 관한 지식과 기술의 실천적 적용을 위해 사회복지실습현장에서 기술을 연마하고
사회복지기관의 기능 및 운영에 대한 경험적 이해와 실습생의 자아인식을 증진시킨다.
- 사회복지실천기술론(skills
and techniques for social work practice)
전문사회사업실천의 기반이 되는 일반적 실천(General Practice)의 접근방법
학습과 개인, 가족, 집단, 조직, 지역사회체계들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과정과 기법들을 습득한다.
- 사회복지법제와 실천(social
welfare and law)
우리나라 사회복지법과 사회사업실천에 관련된 모든 법령을 연구함으로써
전문사회사업가로서의 성장을 도모하고, 노사관계 전반에 걸친 문제 등도 총괄적으로 학습한다.
- 정신보건사회복지론(social
work in mental health)
정신건강에 대한 기본적인 개념들과 기초 이론들을 배우는데 중점을 두고, 기존의
정신의학의 한계점과 정신질환의 유형과 정신장애의 판정기준도 습득한다.
- 사회복지행정론(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사회복지정책을 사회복지서비스로 전환하는데 관련되는 제반 사회복지전달체계와
사회복지조직의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관리를 위한 기술을 함양한다.
- 사회복지정책론(social
welfare administration)
사회복지정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사회복지정책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사회복지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요인과 사회복지정책연구에 대해서 개괄적으로 살펴본다.
- 사회복지조사론(reserch
& social welfare)
사회현상을 논리적, 체계적으로 다룰 수 있는 방안을 연구하고, 이를 실제생활 및
복지실무의 프로그램을 고안하여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도록 한다.
- 아동복지론
아동들의 건강한 성장과 발달을 위해 사회복지 차원에서 아동들이 경험할 수 있는
문제들을 이해하고 아동들이 행복하고 건강하게 성장할 수 있는 대책을 알아본다.
- 청소년이해와 복지서비스
다양한 사회적 변화 속에서 드러나는 청소년의 욕구와 문제를 이해하고, 그에 따른
사회복지서비스 및 사회적 대책을 이해하는 것을 토대로 청소년 복지 분야에서 일하기를 희망하는 예비 사회복지사로서 자질과
능력을 학습한다.
- 사회복지자료분석론
사회복지 현장에서 요구되는 양적 자료의 분석 방법으로서 PSS (Statistical Program for the
Social Science)의 기본 개념을 익히고, 그 활용 능력을 습득한다.
- 강점기반실천과 사례관리실무
강점관점을 기반으로 만성적이고, 복합적인 문제를 가진 개인 및 가족이 자신들에게
필요한 서비스와 자원을 스스로 획득하고 사회적 기능을 원활히 수행할 수 있도록 돕는 사례관리를 학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