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학년도 실용음악과 교육과정편람
전공역량
정의
Ⅰ. 보컬실연역량
보컬을 위한 이론과 표현력을 바탕으로 실연할 수 있는 역량
Ⅱ. 보컬앙상블역량
보컬리스트가 조화로운 팀워크를 통해 앙상블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는 역량
Ⅲ. 음악치료역량
음악을 활용하여 심리상담 및 치료할 수 있는 역량
Ⅳ. 음악산업이해및음원제작역량
음원 레코딩, 제작 능력을 바탕으로 음악 산업의 공연 기획, 마케팅, 창업등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
Ⅴ. 악기연주및응용역량
보컬을 위한 연주를 수행하고 이를 응용할 수 있는 역량
Ⅵ. 작・편곡역량
재즈 화성 이론을 바탕으로 작곡, 편곡 할 수 있는 역량
Ⅶ. AI활용음악제작역량
디지털(MIDI) 활용 능력을 바탕으로 작사, 작곡, 음반기획 등 음악 제작 전반에 AI를
활용 할 수 있는 역량
전공 비전 및 교육체계도
전공역량 및 정의
2025학년도 실용음악과 교육과정편람
구분
트랙명
모듈명
번호
직무 및 자격
전공트랙
A
보컬 트레이너
보컬실연
a
⇨
보컬코치자격증
보컬 앙상블
b
음악치료
c
음악심리상담자격증
1인 창작 예술가
음악 산업 이해
d
⇨
악기연주 및 응용
e
작・편곡
f
융합트랙
C
AI 콘텐츠 제작자
AI활용음악제작
g
⇨
교육과정 로드맵
모듈형 교육과정 트랙
구분
전공트랙 A
융합트랙C
보컬실연
역량
보컬
앙상블
역량
음악치료
역량
음악 산업
이해 역량
악기연주 및
응용역량
작·편곡
역량
AI 활용
음악제작역량
1-1
a-1
보컬
테크닉
Ⅰ
a-3
시창
청음
Ⅰ
a-6
전공
실기
Ⅰ
b-1
보컬
앙상블
Ⅰ
e-1
클래스
피아노
Ⅰ
f-1
재즈
화성학
Ⅰ
g-1
AI
컴퓨터
음악
Ⅰ
1-2
a-2
보컬
테크닉
Ⅱ
a-4
시창
청음
Ⅱ
a-7
전공
실기
Ⅱ
b-2
보컬
앙상블
Ⅱ
e-2
클래스
피아노
Ⅱ
f-2
재즈
화성학
Ⅱ
g-2
AI
컴퓨터
음악
Ⅱ
2-1
a-5
보컬
교수법
a-8
전공
실기
Ⅲ
b-3
보컬
앙상블
Ⅲ
c-1
음악심
리상담
개론
Ⅰ
d-1
음원
레코딩
Ⅰ
f-3
탑라인
메이킹
g-3
AI
송
라이팅
Ⅰ
g-5
AI
음반기
획 및
A&R
2-2
a-9
전공
실기
Ⅳ
b-4
보컬
앙상블
Ⅳ
c-2
음악심
리상담
개론
Ⅱ
d-2
음원
레코딩
Ⅱ
d-3
공연
기획 및
창업
실무
e-3
졸업
연주
(캡스톤
디자인)
g-4
AI
송
라이팅
Ⅱ
⇩
⇩
보컬트레이너
1인창작예술가
AI 콘텐츠
제작자
트랙
⦁실용음악의 노래 곡을 단독 또는
코러스로 가창, 녹음, 공연하는 직무
⦁보컬 교수법을 활용하여 발성에 관한 지식을 실
습을 통해 전달하는 직무
⦁음악과 공연 상품의 흥행과 경제적 가치를 높이
기 위해 음악시장을 분석하여 기획, 홍보, 관리하는
직무
⦁작곡과 악기연주를 위한 기술을 익혀 공연 및 제
작을 수행하는 직무
⦁AI(인공지능)
에 관한 전문지
식을
습득하고
분석하여 새로운
AI 음악 콘텐츠
를 제작하는 직
무
자격
직무
보컬코치자격증, 음악심리상담자격증
2025학년도 실용음악과 교육과정편람
교과목 개요
보컬앙상블 I
보컬리스트들이 팀 내에서 조화롭게 노래하기 위한 기본적인 앙상블 테크닉을 배우는 과정이다. 하모니뿐만 아니라 음색 조
화, 음량 조절, 리듬과 타이밍, 딕션 등을 익히며, 팀원 간의 상호작용과 소통 능력을 개발한다. 이 과정을 통해 앙상블의
기본 원리와 다른 보컬리스트들과의 협력 및 조화로운 사운드가 형성되는 것을 학습한다.
보컬앙상블 II
음색 조화, 음량 조절, 리듬과 타이밍 등의 깊은 이해를 바탕으로, 고급 앙상블 테크닉을 익히는 과정이다. 팀 내에서 밸런
스 조절과 리스닝 스킬을 강화하며, 다양한 보컬 스타일과 장르를 경험한다. 팀워크와 소통 능력 또한 함께 다룬다.
보컬앙상블 III
여러 보컬 앙상블 장르를 분석하며 다양한 구성을 실습한다. 백업 보컬에 대한 이해와 실습을 병행하며 완성도 높은 보컬
하모니를 구현한다. 또한 무대 퍼포먼스 기술 향상과 효과적인 스튜디오 레코딩 기술을 개발한다.
보컬앙상블 IV
실전에서 활용할 수 있는 과정으로, 공연 및 스튜디오 환경에서 라이브 퍼포먼스, 백업 보컬, 레코딩 기술을 실현한다. 소규
모 앙상블에서 대규모 앙상블까지 밴드 세션과 함께 이전 과정에서 학습했던 테크닉을 실전에서 적용해본다.
보컬테크닉 I
보컬 전공자로서 알아야 할 가창 원리와 호흡법을 습득하고, 발성 훈련을 통해 음정, 리듬, 발음, 호흡 조절 능력을 기른다.
보컬 이론 지식 습득과 함께 실전에서의 표현력 향상을 위한 실습을 병행한다.
보컬테크닉 II
보컬 테크닉의 심화 과정으로 기본기를 넘어 가창자의 개성과 표현법을 극대화해줄 수 있는 고급 테크닉을 학습한다. 발음,
비브라토, 프레이징, 리듬, 다이내믹 등을 익혀 완성도를 높임으로써 전문 보컬리스트로 성장할 수 있다.
시창청음 I
기초 시창청음은 악보를 보고 정확한 피치와 리듬으로 노래하는 시창 능력 개별과 함께 음악적 요소를 듣고 분석하는 청음
능력을 기르기 위한 과정이다. 음정, 리듬 패턴, 기본적인 음악 용어를 배우고 이를 실습으로 적용한다. 또한 점진적인 연습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음악의 필수 기초를 다질 수 있는 토대를 제공한다.
시창청음 II
고급 시창청음은 기초 시창청음 과정에서 배운 내용을 심화하여 더욱 복잡한 리듬과 음정, 화음을 청음하고 시창 할 수 있
도록 훈련하는 과정이다. 3화음, 7화음, 스케일 등을 중심으로 다양한 리듬과 선율을 다루며 다양한 음악적 상황에서 정확
한 시창 및 청음을 할 수 있는 능력 개발을 목표로 한다.
전공실기 I
개인형 맞춤 수업으로 학생의 보컬 특성을 진단하고, 그에 맞는 훈련을 제공하여 기초적인 보컬 표현력과 퍼포먼스 능력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하는 수업이다. 개인의 발성 문제 해결 및 기초적인 곡 해석 능력과 퍼포먼스 능력을 기르는 데 중점을
둔다.
전공실기 II
개인형 맞춤 수업으로 전공실기Ⅰ에서 습득한 기초 보컬 기술을 바탕으로 더 심화한 보컬 표현력과 음악적 해석력을 발전
시키는 과목이다. 다양한 레퍼토리를 통해 표현력과 테크닉을 향상하며 무대 퍼포먼스를 함께 훈련한다.
전공실기 III
개인형 맞춤 수업으로 고급 보컬 기술과 퍼포먼스 역량을 강화하는 과목이다. 학생들이 자신의 음악적 정체성을 구체화하
고, 이를 공연 및 녹음 등 실전에서 적용할 수 있도록 훈련한다. 심화한 보컬 테크닉과 곡 해석, 감정 표현력을 길러 전문
적인 보컬리스트로서 준비될 수 있도록 돕는다.
2025학년도 실용음악과 교육과정편람
전공실기 IV
개인형 맞춤 수업으로 자신의 음악적 목표를 실현하는 최종 단계이자 실전 무대 및 레코딩에서의 전문성을 극대화하는 과
목이다. 공연, 앨범 제작, 프로젝트 등을 통해 실전 경험을 쌓으며, 보컬리스트로서의 정체성을 완성해 나아간다. 본 과목은
독립적인 예술가로서 활동할 준비를 마치기 위한 마지막 훈련 과정이다.
보컬교수법
보컬 퍼포먼스 및 지도 역량을 종합적으로 개발하는 과목으로, 학생들이 보컬 교육의 이론적 기반과 실무적 응용 능력을
양성할 수 있도록 돕는다. 이 과목에서는 발성 원리, 학습자별 맞춤형 교육 기법, 교수법의 실제 적용 사례를 다루며, 다양
한 장르와 스타일에 따른 보컬 교수법의 차이를 학습한다.
클래스피아노 I
보컬을 위한 기본적인 피아노 반주 기술을 배우는 과정으로 기초 화성, 리듬, 코드 진행을 이해하고, 다양한 곡에 맞는 반
주 패턴을 습득한다. 대중음악에서 자주 사용되는 코드와 기본 반주 패턴을 연습하고, 보컬과의 조화를 고려하여 피아노 반
주를 조절하는 능력을 양성한다.
클래스피아노 II
다양한 음악 스타일과 화성 진행을 반주에 적용하는 과정이다. 보컬 반주에 적합한 고급 화성 이론을 학습하고, 다양한 리
듬 변주와 패턴을 사용해 더 창의적이고 풍부한 반주를 구현하는 기술을 습득한다.
졸업연주(캡스톤디자인)
학업 기간 습득한 보컬 기술, 음악 기획, 공연 기획 능력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독창적인 졸업 연주를 기획하고 실현하는
과정이다. 본인의 음악적 정체성과 스타일을 반영한 공연을 준비하고, 실제 공연 기획부터 무대에서의 실전 연주까지 모든
과정을 체험하며, 종합적인 역량을 개발한다.
음원레코딩 I
음원 제작 과정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레코딩 기술을 익히는 과목이다. 마이크 선택 및 배치, 기초적인 음향 장비 사용법,
레코딩 소프트웨어의 사용법을 학습하며, 다양한 녹음 환경에서 보컬이나 악기를 정확하게 레코딩하는 방법을 익힌다. 이
과정을 통해 레코딩의 기초 개념과 실제 작업 흐름을 이해하고, 간단한 음원을 독립적으로 제작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른다.
음원레코딩 II
기초 과정에서 습득한 레코딩 기술을 심화하여 더 정교한 제작 방법을 학습하는 과정이다. 음원 품질을 극대화하는 방법과
함께 녹음 스튜디오에서의 예절과 태도를 익히고, 프로듀서로서 해야 할 역할과 책임을 이해하고 실습한다.
공연기획과창업실무
음악 산업에서의 다양한 방향성을 제시하기 위해 공연 기획, 마케팅, 그리고 창업에 관한 실질적인 지식과 기술을 습득한
다. 공연 기획의 전반적인 흐름, 팀 구성, 예산 관리, 마케팅 전략, 계약 및 법적 요건 등을 학습하고 실제로 기획 및 실행
경험을 통해 뮤직비즈니스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높인다.
음악심리상담개론 I
음악이 인간의 심리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고 이를 상담에 적용하는 기초 과정을 다룬다. 음악 심리상담의 이론적 배경과
기본 원리를 배우고, 다양한 상담 기법을 활용하여 음악을 통한 심리적 치료와 가능성을 탐구한다.
음악심리상담개론 II
기초 과정을 바탕으로, 심화한 상담 이론과 실습으로 전문적인 음악 심리상담 역량을 개발하는 과정이다. 이 과정에서는 내
담자의 심리 상태를 더욱 깊이 분석하고, 음악을 통한 보다 체계적이고 복잡한 상담 기법을 습득한다. 실제 사례를 중심으
로 심화한 음악 심리상담 기법을 배우고, 이를 실전 상담에 적용하는 훈련을 한다.
재즈화성학 I
재즈 화성의 기초 이론을 바탕으로 작곡과 편곡 능력을 개발하며, Song-form 및 악기 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구조를 연구
하는 과정이다. 다양한 음악 이론을 통해 재즈 화성을 이해하고, 이를 다양한 음악적 시도에 응용할 수 있는 능력을 양성한
다. 이 과정을 통해 재즈의 기본 화성 구조를 습득하고, 창의적인 음악을 작곡 및 편곡하는 기초를 마련한다.
2025학년도 실용음악과 교육과정편람
재즈화성학 II
다양한 Jazz-standard 곡들을 자세히 분석하여, 본인의 작곡 및 편곡에 재즈 화성을 효과적으로 응용할 수 있도록 연구하
는 과목이다. 고급 화성 이론, 리하모니제이션, 텐션 코드 등을 학습하며, 실전에서 곡을 창작하고 편곡하는 데 필요한 심화
한 역량을 기른다.
탑라인메이킹
대중음악 작곡의 핵심 요소인 멜로디와 가사 창작 기법을 배우는 과목으로, 창의적이고 실용적인 탑라인 제작 능력을 개발
하는 데 초점을 맞춘다. 이 과목에서는 멜로디 라인과 가사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트랜드 분석을 통해 대중성과 예술성을
조화롭게 구성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학생들은 실습을 통해 다양한 스타일과 장르의 곡을 제작하며, 탑라인 메이커로서의
창의성을 발휘하고 전문성을 강화한다.
AI컴퓨터음악 I
DAW(디지털 오디오 워크스테이션)의 기초 기능을 이해하고, MIDI를 활용하여 기본적인 작곡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설
계된 과목이다. 또한, AI 음악 소프트웨어를 통해 음악 제작의 자동화 기술을 배우고, 이를 자신의 곡에 적용하여 창의적인
음악을 만들어 내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 과정을 통해 현대 음악 제작에 필요한 기술적 기반을 다지고, AI 도구를 사용한
창의적인 작곡을 경험한다.
AI컴퓨터음악 II
기초 과정에서 습득한 DAW 및 AI 음악 소프트웨어 기술을 심화하여 더욱 완성도 높은 작곡을 목표로 하는 과정이다. 고
급 MIDI 기능을 활용해 다양한 장르의 음악을 작곡하고, AI 소프트웨어를 통해 음악적 아이디어를 자동화 및 확장하는 기
술을 습득한다. 이 과정을 통해 실제 음악 산업에서 경쟁력 있는 곡을 제작하는 능력을 기르고, AI와의 협업을 통해 새로운
음악적 가능성을 모색한다.
AI송라이팅 I
AI 기반의 음악 제작 도구를 활용하여 작사 및 송라이팅의 기초를 학습하는 과정이다. AI 소프트웨어를 활용해 가사 생성
및 작곡 아이디어를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곡을 완성하는 기술을 습득한다. AI 도구와 결합한 효율적인 작사 및 송라이
팅을 체험 및 실습한다.
AI송라이팅 II
기초 과정에서 배운 AI 기반 작사 및 송라이팅 기술을 심화하여, 다양한 장르와 스타일에 맞춘 고급 AI 작사 및 송라이팅
기법을 학습한다. 이를 통해 독창적인 곡을 완성하는 능력을 기르며, AI 소프트웨어의 고급 기능을 활용해 가사와 송라이팅
기술을 창의적으로 발전시킨다.
AI음반기획과 A&R
현대 음악 산업에서 요구되는 혁신적 음반 기획 및 관리 기술을 양성하는 데 중점을 두며, AI 기술을 활용한 음반 기획과
아티스트 관리 업무를 학습한다. AI를 통한 데이터 분석 및 전략적 기획 능력을 개발하며, 음반 제작 과정에서 A&R 역할
의 중요성을 이해하고 AI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효율적으로 아티스트와 음반의 방향성을 제시하는 방법을 학습한다.
디지털영상편집
영상편집 과정과 용어 및 디지털 영상 포멧 등 관련 분야에 필요한 전문적인 지식을 영상편집 프로그램 실습으로 학습한
다.
2025학년도 실용음악과 교육과정편람
교육과정표
2025학년도 실용음악과 교육과정편람
※ 대학교양 : 교공(교양공통, 의무수강), 교선(교양선택)은 개설과목 선정 시 재학생 요구도 반영
학년·학기
구분
과목코드
교과목명
학점
이론
실습
역량
1학년 1학기
교공
S003995
인제인성교육
2
2
0
Y
S004360
직업기초능력
2
2
0
Y
1학년 2학기
(택 2)
교선
S004866
4차 산업혁명과 정보인권
2
2
0
Y
S004012
영화로 보는 스포츠
2
2
0
Y
S004035
인간 사고의 이해
2
2
0
Y
S004867
생활속의 마케팅
2
2
0
Y
S004868
창업 네비게이션
2
2
0
Y
S004869
퍼스널케어와 뷰티스타일링
2
2
0
Y
S001611
필라테스
2
2
0
Y
S004870
아름다운 피부와 영양
2
2
0
Y
S004871
영화로 읽는 문학
2
2
0
Y
S004396
예술의 이해
2
2
0
Y
S004836
나의 삶, 나의 진로
2
2
0
Y
S004872
생활 속 세금과 금융의 이해
2
2
0
Y
S004873
인간 행동 심리와 리더십
2
2
0
Y
S004874
미술을 통한 심리이해
2
2
0
Y
S004875
나란 무엇인가?
2
2
0
Y
S003914
논리적사고와 글쓰기
2
2
0
Y
S004876
Career English
2
2
0
Y
S004877
글로벌 음식 문화
2
2
0
Y
S004878
입문 일본어
2
2
0
Y
매학기
S003520
사회봉사
2
2H
36H
Y
「사회봉사」 매학기 개설되며 이수조건(이론 2시간, 봉사활동 36시간)을 충족하는 학기에 수강신청 및 학점인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