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환아실 대상자 간호
담당교수 : 김연미
kym12132000@swc.ac.kr
1
2019-1학기 통합실습 아동시뮬레이션
학습목표
•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 대상자의 산소포화도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 호흡곤란 정도를 사정할 수 있다.
• 위장관 상태를 사정할 수 있다.
• 대상자에게 사회감각적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 주치의와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 중환아실 고위험 신생아 대상자 간호를 설명할 수
있다.
2
간호 모듈 소개
주제
고위험 신생아의 영양유지 간호
상 황
당신은 신생아 중환아실 간호사이다.
대상자는 재태기간 35주로 출생하여 곧 바로 호흡곤란증후군으로 진단받고 5일된 신생아 이
다. 대상자는 오늘 오전 9시부터 비위관 영양을 시작하였다. 14시 현재 처방에 따라 20ml의
신생아 조제유를 세 번째 수유할 예정이다. 대상자는 보육기에서 상체를 15° 올린 채 비강으
로 2L의 산소를 투여받
고 있다.
환자정보
이름: 나건강
출생순위: 셋째
성별: Male
재태기간 : 1830gm
APGAR: 1분(7점), 5분(7점)
진단명: Cyanosis, Dyspnea
● 재태기간 35주된 경산모의 아기로 자연분만으로 출생, 출생 3시간 후 응급실을 통해 내
원함. 내원 당시 Cyanosis, Dyspnea 소견이 있어 ambu bagging 하였고, 호흡수 빠르고
chest retraction,
코 벌렁거림, X-ray 상 Both lung 이 흐릿하게 보임.
● 맥박 : 130 ● 호흡 : 45 ● 산소포화도 : 90%
● 어머니 산과력 : ● 연령 : 34세 ● 혈액형 : B형 ● 직업 : 교사
● 임신횟수 : 3회 ● 분만횟수 : 3회
● 분만형태 : 자연분만
● 분만합병증 : 없음 ● 임신시의 특이 사항 : 없음
중환아실
고위험신생아
사전학습
호흡 곤란사정, 위장관 운동 평가, 발달 지지 간호,
응급간호
5
신생아 분류
• 재태연령에 따른 분류
– 미숙아 : 재태연령이 37주 미만
– 만삭아 : 재태연령이 37주~42주 미만
– 과숙아 : 재태연령이 42주 이상
• 체중에 따른 분류
– 저출생아 : 출생 시 체중이 2500g미만
– 극소저출생아 : 출생 시 체중이 1500g 미만
– 초극소저출생아 : 출생 시 체중이 1000g 미만
• 재태연령-체중에 따른 분류
– 부당경량아(Small for gestational age; SGA) : 출생 시 체중이 자궁 내 성
장곡선상 10% 미만, 재태연령에 비해 체중이 작은 아동
– 적정체중아 (Appropriate for gestational age; AGA) : 출생 시 체중이 자
궁 내 성장곡선상 10~90% ,재태연령에 비해 적절한 아동
– 부당중량아 (Large for gestational age; LGA) : 출생 시 체중이 자궁 내 성
장곡선상 90% 이상, 재태연령에 비해 체중이 큰 아동
6
아기는
때 운다
.
Talk! Talk! Talking!
아기 울음
아기의 울음은 의사표현이다.
신생아 간호사와 초보 엄마의 공통점
우는 아기를 달래는 것이 가장 어렵다고 함
아기의 울음의 의미를 빨리 파악하는 것이 필요
생리적 욕구가 충족이 되지 않았을 때
– 배가 고파서, 놀라거나 기저귀가 젖었을 때
– 너무 덥거나 추울 때, 혹은 피곤하거나 심심할 때
– 자극을 많이 받아 흥분했을 때 : 깨운다거나, 옷이 작거나, 기저귀를
꽉 조여서 채우거나, 옷이나 귀에 벌레가 들어가 등
– 신생아는 영아 산통 있을 때 : 보통 3-4개월 후 좋아짐
– 미숙으로 분유를 먹이는 도중 젖병 속으로 공기가 들어 갔을 때
아파서 울 때 : 울음소리가 다름
– 갑자기 큰소리로 자지러지게 움 : 장중첩증, 영아 산통
– 신음 소리가 점점 작아지면서 울 때: 폐렴
– 유난히 날카로울 때: 선천성 심장질환
– 컹컹거리면서 울 때: 후두염
– 고양이 소리 같이 울 때: 묘성증후군 의심
울음(Crying)의 의미
• 신체적 〮정서적 발달과 관련하여
– 백일이 지나 이가 날 때
– 6개월 경 애착에서 오는 낯선 것에 대한 두려움 : 낯가리기
– 손발의 움직임이 활발한 시기 : 넘어지거나 부딪치는 일 잦아,
신체 사정하여야 함
– 돌 무렵 밤낮 구분 안되어 한밤중에 깨어
– 돌 이후 말을 하기 시작, 아기의 울음은 눈에 띠게 줄어듦
• 아직은 자신이 말하기 보다 울음으로 투정부리는 것이 편하다고 생
각함
• 특별히 배가 고프거나 심심하지 않아도 외로울 때
• 엄마의 주의를 끌기 위해
• 배변 훈련에 대한 두려움 등
울음(Crying)의 의미
아기의 우는 횟수는 부모가 좌우한다.
아기가 우는 것은 부모가 어떻게 대처하느냐에 따라 횟수가
늘어날 수도, 줄어들 수도 있다.
영국의 한 조사에 따르면
– 아기가 어릴수록 부모가 짜증을 내지 않고 더 많이 얼러주면 그 횟
수가 현저히 줄어든다고 했다.
– 아기가 울기 시작했을 때 즉시 젖을 물리거나 기저귀를 살피는 등
울음을 일으키는 원인부터 찾아보는 것이 중요
자료 출처 : 매일 아이
고위험 신생아
1) 미숙아와 정상 신생아의 정상 활력징후
2) 미숙아의 정상 산소포화도
: 90-95%
①
방사선검사
• 양쪽 폐 전체에
뿌옇게 보이는
유리와 같은 과
립 형태의 무기
폐 소견
②동맥혈가스검사
• 산소포화도≥
90%
• 혈중 pH≥ 7.35
3) 호흡곤란 정도의 평가 내용과 방법
Silverman-Anderson 호흡곤란의 시각적 평가
① 흉부모양(술통형, 오목형), 대칭성, 절개 유무, 흉곽 튜브 유무나 다른 이상
② 보조근육 사용: 코를 벌렁거리거나 흉골하, 늑간 또는 쇄골하 퇴축
③ 호흡수와 규칙성
④ 호흡음 청진: 악설음, 천식음, 호흡음 감소, 협착음, 그르렁 거리는 소리,
공기 진입 감소, 호흡음의 동등성
⑤ 주위 공기의 전달방법: 기관 내 삽관이 되어 있는 경우에는 기관내관의 크
기, 위치, 인공호흡기의 종류와 설정방법
⑥ 맥박 산소포화도 측정 감시를 통한 산소포화도, 경피적 산소와 경피적 이
산화탄소 감시를 통한 산소 분압과 이산화탄소 분압 파악
호흡곤란 정도의 평가 내용과 방법
18
위장관 운동의 평가 내용과 방법
생후 24시간 이내의 배출
암녹색/ 끈적임
극소저출생아는 생후 7일까지 지연
태변
생후 4일~2주
녹갈색에서 황갈색
태변보다 점성이 덜함
이행변
생후 5일~6일
색깔은 황갈색
정상변
배변양상의 점진적 변화
: 위장관 기능이 적절한지 판단
위장관 운동의 사정
• 복부팽만의 여부 사정
• 역류증상, 위관영양 시 잔유
량과 배액의 특성
• 구토의 양과 색깔, 농도, 냄새
• 대변의 양과 색깔, 농도
• 장음
반질반질한 피부, 배꼽 돌출
연동 운동 또는 장의 만곡(loops)이 보
임, 배는 빵빵함
고위험 신생아의 발달지지 간호
19
1. 호흡지지
-호흡을 확보&유지
-산소를 보충하고 보조적 환기가 필요
2. 체온조절
-열 손실을 방지& 중성 온도 환경 유지
-보육기/방사온열기/면담요가 덮인 개방침상 등 사용
3. 감염예방
• 손씻기
• NICU에서 근무하는 직원은 해마다 정기적인 독감 예방백신을 맞
도록 함
산소요법
20
비재호흡마스크
Venturi mask
단순 마스크
산소 후두(Oxygen hood)
21
• 신생아와 영아에게 가장 효과적 산소 제공
• 중등도-고농도의 산소를 공급 가능
주의
• 매시간 산소농도 측정
• 후두 안 온도 측정
• 후두 가장 자리가 영아의 목, 턱, 어깨에
닿지 않도록
적절치 않은 산소후두
Venturi Mask
22
23
수원여자대학교
미숙아 산소투여
• 제태기간 35주 미만의 미숙아 소생술
• 낮은 산소 분율(21%-30%)로 시작
• 산소 농도 : 해수면 고도에서 자연분만을 통해 출생한 건
강한 정상 신생아에서 측정된 사분범위에 근접한 관전 산
소포화도 적정
• 고농도 산소(65% 이상) 권장하지 않음
24
산소투여
25
고위험 신생아의 발달지지 간호
26
4.
수액 요법
•
고위험 신생아는 비경구 수액으로 칼로리, 전해질, 수분을 보충
•
수액 주입의 주된 경로는 말초혈관과 중심정맥
5.
영양
•
고위험 신생아는 영양 저장이 불량하고, 미숙한 신체적∙발달적 특성으로 영양상태
가 위험
•
모유수유, 젖꼭지 수유, 위관 영양
6.
수유 저항
•
젖꼭지에서 머리를 돌리거나, 혀를 내밀거나, 구역질 또는 구토를 하는 행위로 구
강 수유가 싫다는 것을 나타냄
•
뺨에서 입술로 구강부위 건들기, 혀 만져주기, 입술과 혀에 수유할 것을 놓아두기
등 자극 프로그램 시행
7.
피부간호
•
피부손상의 위험성, 정상아보다 더 높음, 표피와 진피간의 결합력 감소, 각질층의
미성숙 피부의 산성막 형성
•
유연제, 알칼리성 비누, 빈번한 목욕: pH 증가, 박테리아 증가 유발
고위험 신생아의 발달지지 간호
27
8. 약물투여
•
영아는 해독기전이 미성숙하고, 독성작용의 증상을 표현하지 못하
므로 부작용에 대한 징후를 알고 있어야 함
9. 발달과업
•
소음이 발생되는 활동을 줄여야 함
•
피부 대 피부 접촉인 캥거루간호와 짧은 기간의 부드러운 마사지
는 스트레스를 줄여줌
10. 가족지지와 참여
•
고위험 신생아의 정서적으로 준비되지 않은 가족에게 갑작스럽고
상당한 스트레스를 줌
11. 부모-영아관계 촉진
•
처음 방문 전 영아에게 부착된 기구나 영
아 모습, 전반적 분위기에 대해 안내하여
부모를 준비시킴
고위험 신생아의 위관영양
정의
• 입이나 비강을 통해 위로 삽입된 관을 통하여 수유하는
방법
28
적응증
• 32주 미만의 미숙아로 출생아 1500g 이하인 영아
• 흡철, 연하가 잘 되지 못하는 신생아
• 호흡수가 60-80회/분 미만
• 지나치게 피로하거나 불안정하거나 청색증이 보일 때
고위험 신생아의 위관영양 시 주의점
29
수유 시 신체적 접촉을 위해서 가능하면 영아를 안고
수유하는 것이 좋으나 그것이 불가능하면 머리와 가슴
을 약간 상승시킨 상태에서 복위나 우측위 취할 것
실내온도로 데워진 처방된 우유를 주입할 것
영아는 아무리 작아도 산발적으로 몸을 움직이고 튜브
를 잡아당길 수 있으므로 미이라 억제를 하면 통제하기
가 용이함
합병증 관찰
흡인, 코 막힘, 점액 덩어리, 화농성 비염, 코피, 감염,
위 천공 등
30
1) 자세 : 앙와위로 눕히고 머리를 약간 굴곡시킬 것
2) 삽입 길이 : 코-귀볼-검상돌기와 제대 중간부위 삽입할 길이 측정
하고 테이프로 표시해두기
3) 삽입 방법 : 멸균된 물이나 수용성 윤활제를 바른 위관을 입을 통
하여 테이프로 표시된 지점까지 삽입
코를 통한 삽입은 코로 숨쉬는 것을 막을 수 있고, 예민한 코 점막
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에 코보다는 입을 더 선호하며 입을 통해
삽입하면 빨기 반응을 관찰할 수 있음
https://www.youtube.com/watch?v=D8rAlcNsv6U
https://www.youtube.com/watch?v=04_JWq5YiGo
고위험 신생아의 위관영양 방법
31
4)
위관의 위치 확인 방법
: 주사기를 위관에 꽂아 위 내용물을 흡인함
: 방사선 촬영 : 튜브의 위치 확인
5)
튜브 위치 : 테이프를 이용하여 튜브를 뺨에 고정
6)
조제유 주입 온도 및 속도 : 실내온도 정도, 중력에 의한 속도
: 처방된 우유는 위관에 꽂아 놓은 주사용기에 부은 후 중력에 의해 자
연스럽게 들어가게 할 것
7)
주입 후 처치
: 주입 후 멸균된 물을 통과시켜 위관의 처방우유를 깨끗이 씻어 내
며 카테터는 마개를 씌워서 공기가 들어가거나 내용물이 빠져나오지
않게 함
8)
주입 후 자세
: 역류나 흡인의 가능성을 줄이기 위해 대상자를 적어도 1시간 동안
오른쪽으로 눕히거나 복위로 눕혀두도록 함
고위험 신생아의 위관영양 방법
중환아실 고위험대상자 응급간호
• 대상자 사정 : 활력징후
• 호흡 곤란 시 도움 요청
• 심폐소생술
NRP, Essential skill station 1
• Initial steps of Newborn Neonate
• PPV(Positive Pressure Ventilation )
LMA(Laryngeal Mask Insertion)
• Chest Compression
33
34
35
Suctioning the mouth and nose;
“M” [mouth] before “N” [nose]
36
Correct and incorrect head positions for resuscitation
37
위: 머리가 약간 젖혀진 상태의 가장 적절한 기도 열림
중간: 머리가 너무 숙여진 상태의 부적절한 기도 열림
아래: 머리가 너무 젖혀진 상태의 부적절한 기도 열림
LMA(Laryngeal Mask Insertion)
대한심폐소생술협회 신생아소생술
38
서울아산병원 신생아소생술 지침
39
영아 소아
심폐소생술
(2015 AHA
Guideline)
40
신생아소생술 : 심첨맥박
확인
영아 심폐소생술(2015 AHA Guideline)
의식확인
큰소리로 도움요청/응급의료체계 가동/자동제세동기 요청
호흡상태 확인
맥박 확인(최소 5초에서 10초 미만)
41
환자를 두드리거나 큰소리로 불러서 의식유무 확인 (발바
닥 자극)
큰소리로 도움 요청/다른 사람에게 구조요청 전화 할 것
그리고 자동제세동기 또는 제세동기 가져올 것을 지시
무호흡, 비정상적인 호흡(심정지 호흡)이 있는 지 확인 :
5-10초 동안 환자의 머리부터 가슴까지 관찰
상완동맥(위팔동맥) 맥박 확인
미숙아 : 심첨맥박 확인
1인 심폐소생술
• 심폐소생술 첫 번째 주기 30:2 정확히 시행(1인 시행)
42
올바른 심폐소생술 실시한다.
영아의 유두선 바로 아래 가슴 중앙선에 두 손가락을 올림
15-18초 사이에 30회 압박
압박 깊이 : 가슴 깊이의 최소 1/3(약 4cm)
매 압박 후 완전히 가슴이완이 되어야 함
심폐소생술 두 번째 주기(첫 번째 주기 반복)
가슴압박
인공호흡
압박 중단은 10초 미만이어야 함.
2인 심폐소생술
• 구조자 1 : 영아 가슴압박
– 올바른 심폐소생술 실시한다.
– 양손 감싼 두 엄지 가슴 압박법으로 15회 압박
– 가슴압박 속도 : 100-120회/분
• 7-9초 사이에 15회 압박
– 적정 압박 깊이 : 가슴 깊이의 최소 1/3(약 4cm)
– 매 압박 후 완전한 가슴이완이 일어나야 함
• 구조자 2 : 영아 인공호흡
– 보호기구(Ambu)를 이용하여 2회 시행
– 각 호흡은 매회 1초 가량 공급
– 압박 중단은 10초 미만이어야 함
연령별 적정 압박 깊이와 구조자 수
– 2인 구조자 : 15회 가슴압박에 2회 인공호흡
43
조별 토의
• 모듈에 따른 간호과정 적용
• 역할 정하기
• 조별 피드백
다음 수업 공지 사항
• 314호 시뮬레이션 실습 진행
• 208호 시뮬레이션 조별 연습
시뮬레이션 실습
2. 간호 모듈
주제
고위험 신생아의 영양유지 간호
상 황
당신은 신생아 중환자실 간호사이다.
대상자는 재태기간 35주로 출생하여 곧 바로 호흡곤란증후군으로 진단받고 5일된 신생아
이다. 대상자는 오늘 오전 9시부터 비위관 영양을 시작하였다. 14시 현재 처방에 따라 20ml
의 신생아 조제유를 세 번째 수유할 예정이다. 대상자는 보육기에서 상체를 15° 올린 채 산
소후두로 2L의 산소를 투여받
고 있다.
환자정보
이름: 나건강
출생순위: 셋째
성별: Male
재태기간 : 1830gm
APGAR: 1분(7점), 5분(7점)
진단명: Cyanosis, Dyspnea
● 재태기간 35주된 경산모의 아기로 자연분만으로 출생, 출생 3시간 후 응급실을 통해 내
원함. 내원 당시 Cyanosis, Dyspnea 소견이 있어 ambu bagging 하였고, 호흡수 빠르고
chest retraction,
코 벌렁거림, X-ray 상 Both lung 이 흐릿하게 보임.
● 맥박 : 130 ● 호흡 : 45 ● 산소포화도 : 90%
● 어머니 산과력 : ● 연령 : 34세 ● 혈액형 : B형 ● 직업 : 교사
● 임신횟수 : 3회 ● 분만횟수 : 3회
● 분만형태 : 자연분만
● 분만합병증 : 없음 ● 임신시의 특이 사항 : 없음
학습성과
● 간호술을 통합적으로 실무에 적용한다.
● 간호상황에 따른 핵심기본간호술을 선택하여 실행한다.
● 치료적 의사소통술을 적용한다.
● 비판적 사고의 간호과정을 적용한다.
선행간호지식
● 미숙아의 정상활력징후
● 정상 산소포화도
● 호흡곤란 정도의 평가 내용과 방법
● 위장관 운동의 평가 내용과 방법
● 고위험 신생아의 발달지지 간호
● 고위험 신생아의 위관영양 방법
● 영아의 심폐소생술 방법
학습대상자
4학년 1학기 학생
수준
학습목표
● 대상자의 활력징후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 대상자의 산소포화도를 정확하게 평가할 수 있다.
● 호흡곤란 정도를 사정할 수 있다.
● 위장관 상태를 사정할 수 있다.
● 대상자에게 사회감각적 자극을 제공할 수 있다.
● 주치의와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다.
Module Outline
구성
소요시간
진행과정
사전학습
해당 학생들은 1주전 제시된 주제에 대해 사전학습 한다.
사전학습내용을 기록한다.
복장점검
출석확인
5분
1. 한 침상에 4-5명씩 배정하고, 복장을 점검한다.
2. 출석을 확인한다.
3. 실습 및 실습평가 진행방법을 설명한다.
수업OT
15분
1. 사전 공지된 실습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2. 실습 진행방법 및 평가에 대한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한다.
시범
30분
교수자가 task training에 관한 실습 시범을 보인다.
PBL
50분
1. 주어진 상황 맞는 Algorithm을 작성하도록 지도한다.
Task training
100분
2.
개인별/조별 task training 실습을 시행하도록 지도한다.
Assessment
(CPX)
100분
1. 평가받을 학생은 체크리스트를 이용해 역할분담 및 시 나리오를 작성하여 교수
자에게 제출한다.
2. 학생은 주어진 상황을 파악하여 해결을 위한 간호를 수행한다.
3. 교수자는 체크리스트 항목과 시나리오를 기준으로 관 찰을 통해 평가한다.
Debriefing
&
Feedback
40분
1. 평가가 끝나면 debriefing 시간을 가지고 교수자는 피 드백을 제공한다.
2. 기준에 미달한 학생(70% 미만 이수)은 재시험을 본다.
3. 실습환경, 실습과정 및 진행 전반의 경험에 대해 평가 후 피드백을 주고받는다.
정리
10분
사용한 물품을 모두 제자리에 정돈하고 침상을 정리한다.
준비물
환경준비
(장비, 물품,
인력)
□ 병동 환경: 보육기 또는 방사보온
기
□ Simulator
□ 미숙사용 조제유
□ pulse oximeter
□ Oxygen flowmeter
□ nasal cannula
□ 전자체온계, 청진기, 혈압계, 통증척
도
□ Screen, IV Pole
□ Infusion pump
□ 5% D/W
□ 멸균장갑
□ EMR
□ Emergency box
조별 준비물을 챙겨가세요.
디브리핑(Debriefing)
방법
□ 개인 □ 조별 □ 전체 □ with video □ without video
서술 단계
지금 이 상황은 어떤 상황이었나요?
어떤 결정을 내렸나요? 왜 그렇게 했나요?
(대상자가 불편감을
호소했을 때 어떤 결정을 내렸나요? 왜 그렇게 했나요?)
무엇이 잘 되었고 무엇이 부족한지, 왜 그렇게 생각하나요?
가장 당황스러웠던 점은 무엇이고 왜 그렇게 생각하나요?
어떤 문제가 가장 중요한 우선순위였나요?
이 대상자를 위한 결정과 대처는 무엇이었으며 왜 그렇게 했나요?
분석 단계
이 simulation을 경험한 후 고위험 신생아 대상자 간호에 충분히 이해가 되었나요?
여러분은 이 simulation과 유사한 상황을 경험한 적이 있나요?
고위험 신생아 대상자에게 있어 제일 중요한 간호가 무엇인가요?
고위험 신생아 대상자 간호를 정확히 숙지하고 있었나요?
이번 simulation과정에서 아쉬운 점은 무엇인가요?
적용 단계
오늘 배운 것을 통해 앞으로 실제 상황에서 어떻게 대처하겠습니까?
그렇게 하기 위해서 앞으로 어떻게 준비해야 할까요?
오늘 이 simulation을 통해 배우게 된 것 중 가장 중요한 것을 한
가지 뽑으라면 무엇인가요?
기타
Q&A
다음 수업 공지
• 임상실습 2주 후 만납시다.
• 시뮬레이션 실습평가,
• 디브리핑 순으로 이어 집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