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대학 창업교육 표준교재 1탄_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_교원용_발췌본.pdf

닫기

background image

교 원 용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01  창업, 언젠가는 해야 할 일

1.1 창업, 언젠가는 해야 한다  ………………………………………………12

1.1.1 기대수명 ……………………………………………………………12

1.1.2 건강수명 ……………………………………………………………16

1.1.3 창업기업 현황 및 생존율 …………………………………………16

1.2 국가적으로도 창업이 중요하다  …………………………………………22

1.2.1 청년 일자리 현황 …………………………………………………22

1.2.2 미래 일자리 감소에 대한 주요 연구기관의 자료 ………………25

1.2.3 해외의 기업가정신 교육 현황 ……………………………………30

1.2.4 창업의 필요성: 창업기업의 일자리 창출 관련 자료 ……………38

1.2.5 노키아 사례  ………………………………………………………42

1.3 취업할래? 창업할래?  ……………………………………………………46

1.3.1 창업경험자의 경력인정  …………………………………………46

1.3.2 대학 창업교육 5개년 계획의 주요 내용  ………………………47

02  미리 보는 미래

2.1 미래유망기술: 어떠한 기술이 미래를 바꿀 것인가 ……………………51

2.1.1 무인카의 다양한 사례 ……………………………………………51

2.1.2 다양한 미래유망기술  ……………………………………………54

2.1.3 미래가 원하는 인재상 ……………………………………………66

Contents

제1장 

창업에 
대한 
이해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03  창조경제와 창업

3.1 현 정부의 창조경제 개념 …………………………………………………70

3.2 창조경제타운 ………………………………………………………………72

3.3 창조경제혁신센터 …………………………………………………………73

01  세상을 변화시키는 힘 ‘기업가정신’

1.1 기업가정신이란?  …………………………………………………………78

1.1.1 기업가정신의 개념  ………………………………………………78

1.2 왜 기업가정신이 중요한가  ………………………………………………82

1.2.1 기업가정신과 국가 경쟁력  ………………………………………82

1.2.2 기업가정신과 성공창업  …………………………………………90

02  기업가의 특성

2.1 기업가에 대한 오해와 진실 ………………………………………………93

2.2 나도 기업가가 될 수 있다!  …………………………………………… 103

03  기업가정신의 확산

3.1 사내 기업가정신  ……………………………………………………… 114

3.2 변화와 혁신을 추구하는 사내 기업가정신  ………………………… 116

3.3 사회적 경제와 기업가정신  …………………………………………… 119

3.4 다양한 분야의 기업가정신  …………………………………………… 121

01  창의력은 어디에서 나오나

1.1 창의력이 중요한 이유  ………………………………………………… 124

1.1.1 창의성 …………………………………………………………… 124

1.1.2 인재상 …………………………………………………………… 128

1.2 잠재된 창의력을 어떻게 이끌어낼까?  ……………………………… 131

1.2.1 창의력 키우기  ……………………………………………………… 131

1.3 창의적 사고기법  ……………………………………………………… 136

1.3.1 다양한 사고기법  ……………………………………………… 136

02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나오나

2.1 새로운 모색과 창조 이해하기 ………………………………………… 146

2.1.1 다양한 분야 이해하기  ………………………………………… 146

2.2 관심영역에서 아이디어 끌어내기  …………………………………… 153

2.2.1 관심영역 살펴보기  …………………………………………… 153

2.2.2 아이디어 끌어내기  …………………………………………… 155

2.3 관찰을 통한 문제 발견 및 문제 해결 ………………………………… 159

2.3.1 관찰 기법  ……………………………………………………… 160

2.4 기존 제품 개선하기  …………………………………………………… 162

2.4.1 분석기법 ………………………………………………………… 163

2.5 트렌드 분석을 총한 아이디어 발굴  ………………………………… 171

2.5.1 트렌드 분석의 접근 방법 ……………………………………… 171

03  아이디어를 어떻게 기회로 만들까

3.1 고객과 시장  …………………………………………………………… 175

3.2 경쟁자(Competitor)  ………………………………………………… 178

제3장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및
기회포착

제2장 

기업가
정신의 
이해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3.3 공급자(Supplier) ……………………………………………………… 179

3.4 정부정책(Government) ……………………………………………… 182

3.5 글로벌 환경(Global Environment) ………………………………… 185

01  돈이 되는 지식재산권

1.1 특허는 특별하지 않다  ………………………………………………… 190

1.1.1 지식기반경제 …………………………………………………… 190

1.1.2 지식재산권 ……………………………………………………… 192

1.1.3 특허만료 ………………………………………………………… 196

1.1.4 생활특허 및 특허 상업화 ……………………………………… 198

1.2 특허, 돈이 된다 ………………………………………………………… 200

1.2.1 특허 비즈니스를 전문으로 하는 기업 NPE  ………………… 200

1.2.2 IP금융…………………………………………………………… 202

1.2.3 무형자산의 증가  ……………………………………………… 204

1.2.4 특허 개방  ……………………………………………………… 206

1.3 기업의 생존이 달린 특허 ……………………………………………… 208

1.3.1 특허 전쟁  ……………………………………………………… 208

1.4 상표, 디자인 그리고 저작권  ………………………………………… 208

1.4.1 상표법 제6조 …………………………………………………… 210

1.4.2 상표의 식별력 및 주지성 ……………………………………… 211

1.4.3 상표의 유사  …………………………………………………… 213

1.4.4 디자인권 분쟁  ………………………………………………… 214

1.4.5 디자인 일부심사등록제도  …………………………………… 215

1.4.6 소프트웨어 분야 특허 보호 대상 확대  ……………………… 216

02  특허권 만들기

2.1 내 아이디어는 특허를 받을 수 있을까  ……………………………… 218

2.1.1 특허명세서의 구조  …………………………………………… 218

2.1.2 신규성과 진보성  ……………………………………………… 220

2.1.3 특허출원 절차  ………………………………………………… 222

2.2 특허소송에 휘말린 기업들: 특허침해  ……………………………… 224

2.2.1 특허지도 ………………………………………………………… 224

2.2.2 All Element Rule(구성요소 완비의 원칙)  ………………… 225

2.2.3 특허소멸과 특허회피  ………………………………………… 227

2.3 유사품을 조심하라  …………………………………………………… 228

2.3.1 심사하이웨이제도 ……………………………………………… 228

2.3.2 우선심사제도 …………………………………………………… 230

2.3.3 우선・신속심판제도  …………………………………………… 231

2.3.4 비밀관리 ………………………………………………………… 233

2.4 비즈니스 영토의 확장  ………………………………………………… 235

2.4.1 우선권 …………………………………………………………… 236

2.4.2 PCT(특허협력조약) …………………………………………… 237

03   비즈니스 파트너십

3.1 라이선싱과 로열티  …………………………………………………… 240

3.1.1 공동 특허권자  ………………………………………………… 240

3.1.2 실시권 …………………………………………………………… 241

3.2 꼼꼼한 계약서 작성  …………………………………………………… 242

3.2.1 기술료 …………………………………………………………… 242

3.2.2 비밀유지 ………………………………………………………… 244

제4장 

아이디어를 
보호하는 
지식
재산권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01  비즈니스 모델의 이해

1.1 비즈니스 모델이란 무엇인가  ………………………………………… 246

1.1.1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정의 …………………………………… 246

1.1.2 비즈니스 모델 키워드/소셜 분석  …………………………… 251

1.1.3 봉투 변기 피푸(PeePoo Bag) 사례 ………………………… 254

1.2 비즈니스 모델이 왜 중요한가 ………………………………………… 256

1.2.1 스트라입스(Stripes) 비즈니스 모델 사례  ………………… 256

1.2.2 밀크(MEALC) 비즈니스 모델 사례  ………………………… 258

1.2.3 불확실성 ………………………………………………………… 260

1.3 비즈니스 모델의 구성요소  …………………………………………… 261

1.3.1 나노 비즈니스 모델 사례 ……………………………………… 262

1.3.2 힐티 비즈니스 모델 사례 ……………………………………… 264

1.3.3 성공적인 비즈니스 모델의 조건 ……………………………… 266

1.4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작성하기 ……………………………………… 268

1.4.1 ‘비즈니스 모델의 탄생’  ……………………………………… 269

1.4.2 ‘비즈니스 모델 제너레이션 워크북’  ………………………… 271

02  린 스타트업의 이해

2.1 린 스타트업의 출현 배경과 필요성  ………………………………… 272

2.1.1 ‘린 스타트업(Lean Startup)’ ………………………………… 272

2.1.2 ‘기업 창업가 매뉴얼(The Startup Owner's Manual)’ …… 274

2.2 고객개발론과 린 스타트업의 이해 …………………………………… 276

2.2.1 스티브 블랭크의 고객개발론  ……………………………………… 276

2.2.2 MVP(Minimum Viable Product) …………………………… 278

2.3 린 스타트업 캔버스 이해하기 ………………………………………… 279

2.3.1 ‘린 스타트업(Running Lean)’  ……………………………… 279

2.3.2 적정기술과 마틴 피셔  ………………………………………… 280

01  이상적인 팀의 구성

1.1 창업팀과 팀 빌딩  ……………………………………………………… 286

1.1.1 1인 창조기업 …………………………………………………… 286

1.1.2 엑셀러레이터와 엔젤투자자  ………………………………… 289

1.1.3 린스타트업과 MVP  …………………………………………… 295

1.2 팀 빌딩 시 고려사항 …………………………………………………… 299

1.2.1 밸류체인 ………………………………………………………… 299

1.2.2 직무설계 및 작업설명서  ……………………………………… 301

1.2.3 스타트업 네트워크  …………………………………………… 308

02  리더십과 갈등관리

2.1 직무 몰입도 향상법  …………………………………………………… 316

2.2 주주계약서 및 주식매수선택권  ……………………………………… 319

제5장 

비즈니스 
모델과 
린 스타트업

제6장 

팀 빌딩과 
엘리베이터 
피치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1장

창업에 대한 

이해

❶ 창업, 언젠가는 해야 할 일

❷ 미리 보는 미래

❸ 창조경제와 창업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12

13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 창업에 대한 이해 <<

제 1장

하며 자살이나 교통사고로 사망하는 경우는 평균치 계산에 포함하지 않는다. 예
를 들어 2013년 기대수명이 82세라는 말은 2013년에 태어난 사람은 평균적으
로 82세까지 살 수 있다는 뜻이다.

 ●

 2013년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남자 78.5년, 여자 85.1년으로 여자의 기대수명이 남
자보다 6.5년 더 길게 나타남.

    - 2012년 대비 남자는 0.6년, 여자는 0.4년 증가하였고 2003년 대비 남자는 4.7년, 

여자는 4.2년 증가.

    - 남녀차이는 1985년(8.4년)을 정점으로 감소추세이며, 2013년은 1970년 이후 최

저수준임.

자료: 2013년 생명표 보도자료(통계청)

【그림 1】  기대수명(출생 시 기대여명) 추이

58.7

65.6

6.9

7.7

8.3

8.4

8.2

7.8

7.3

6.8

6.8

6.7

6.5

6.9

60.2

61.8

67.9

70.0

64.5

72.8

67.3

75.5

69.6

72.3

79.6

75.1

81.9

77.2

84.1

77.6

84.5

77.9

84.6

78.5

85.1

기대수명(년)

85.0

80.0

75.0

70.0

65.0

60.0

55.0

50.0

8.5

8.0

7.5

7.0

6.5

6.0

77.4

1970

1975

1980

1985

1990

1995

2000

2005

2010

2011

2012

2013

남자

여자

남녀차이

남녀차이(년)

  2013년  40세  남자와  여자는  각각  39.7년과  45.9년,  60세  남자와  여자는  각각 

22.0년과 27.0년을 더 생존할 것으로 예상됨.

용어해설

기대여명

특정 연령대에 속한 사람이 앞으로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 연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2013년 기준으로 40세의 기대여명이 45세란 말은 2013년
에 40세인 사람은 앞으로 45년 동안 살 수 있다는 뜻이다. 

 ●

 2013년 특정 연령까지 생존한 사람이 앞으로 더 생존할 것으로 예상되는 기대여명
은 연령별로 다음과 같음.

1.1  창업, 언젠가는 해야 한다

목표  

 

100세 시대를 맞이하여 퇴직 이후 본인이 보유한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평생직장 개념의 창업을 하고 또 창업 준비를 해야 할 필요성을 인식시킨다.

제공 내용

  1) 기대수명 

 

2) 건강수명 

 

3) 자영업자 창업 현황 및 생존율 

1.1.1 기대수명1)

활용하기

교과서 페이지 (13)

교재에서는 기대수명의 증가에 따라 퇴직 이후 안정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한 방
안으로써 창업의 필요성을 언급하고 있다. 교사는 기대수명과 기대여명의 의미
를 이해하고 수명증가에 따른 창업의 중요성을 학생들에게 전달한다.

  2013년 출생아의 기대수명은 81.9년(남 78.5년, 여 85.1년)으로 2012년 대비 0.5년 

증가

용어해설

기대수명

기대수명이란 출생자가 출생 직후부터 생존할 것으로 기대되는 평균 생존 연수
를 말한다. 평균 생존 연수이므로 생명을 다해 살다가 죽는 경우만을 대상으로 

목표   취업의 대안이 아니라 언젠가는 해야 할 일로서 창업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창업 

준비의 필요성을 깨닫게 한다.  

1.  창업, 언젠가는 해야 할 일

1) 2013년 생명표 보도자료(통계청)를 참조해서 작성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50

51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 창업에 대한 이해 <<

제 1장

창업 휴학제  창업 휴학제 도입을 권장하여 창업으로 인한 학업단절 해소

  - 휴학 사유가 창업으로 인정될 경우 최대 2년(4학기) 연속 휴학이 가능하도록 유도

창업 대체학점 인정제   창업으로 인한 학업중단을 최소화하기 위해 창업을 통해 학습목표 달성이 가능한 교과목

은 창업 대체학점으로 인정토록 유도

  - 창업동아리 활동을 현장실습교과로 인정하여 최대 3학점 부여

  - 전공분야에 대한 창업을 ‘창업 인턴십’으로 인정하여 학점 인정범위 확대

창업학점 교류제   각 대학의 특화된 창업 강좌를 다른 대학 학생이 수강할 수 있도록 대학 간 창업학점 교류 강좌 

확대 권장

  - 창업교육 전담기구 간 협의체를 통해 학점 교류 활성화, 사이버 강좌 활용

목표   창업을 위해서든 아니든 청년들은 항상 미래의 변화를 예측하고 준비해야 한다. 

여기서는 미래사회에 경쟁력 있는 인재가 되기 위해 미래 산업과 소비자 트렌드의 
변화를 읽어내는 감각을 기르는 데 목표를 둔다. 

2.  미리 보는 미래

2.1  미래유망기술: 어떠한 기술이 미래를 바꿀 것인가

목표  

 

예비 창업가에게는 미래를 예측하는 일이 중요하다. 어떠한 기술이 미래 
산업을 주도할지 학습하면서 새로운 사업기회를 발견할 수 있도록 한다.

관련 내용

  1) 무인차(무인카)

 

2) 다양한 미래유망기술

 

3) 미래가 원하는 인재상 

2.1.1 무인카의 다양한 사례

활용하기

교과서 페이지 (31)

교재에서는 무인카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무인카 관련 내용을 더 자세히 다뤄
서 학생들의 흥미를 유도하고 무인카가 미래 사회를 어떻게 변화시킬지 예측하
도록 훈련시킨다.

  무인카의 이모저모

 ●

 19세기 말, 자동차는 동력(動力)의 변화를 통해 새로운 산업을 열었음. 대중적 운송
수단이 마차(馬車)에서 자동차로 전환됨. 

    - 당시 자동차의 이름은 ‘말(馬)이 없는 차(Horseless Carriage)’였음. 120여 년이 지

난 지금은 ‘운전자(Driver)’가 없는 자동운전 자동차(Driverless Car, Autonomous 
Car)가 개발되고 있음. 산업혁명이 개인용 운송수단이던 말(馬)을 내연기관으로 
대체했다면, 이제는 정보기술 혁명이 운전자를 컴퓨터로 대체하고 있음.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70

71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 창업에 대한 이해 <<

제 1장

관련 내용

  1) 현 정부의 창조경제 개념

 

2) 창조경제타운 사업

 

3) 창조경제혁신센터 사업

3.1  현 정부의 창조경제 개념

  창조경제의 등장 배경

 ●

 세계경제는 실물중심 산업경제(Industrial Economy)에서 정보・지식 중심 지식경
제(Knowledge Economy)로 전환하였으며, 최근 창조경제(Creative Economy)로 
바뀌는 패러다임 전환에 대한 논의 가속화.

 ●

 1990년 노무라 종합연구소는 정보화 사회를 잇는 패러다임으로 창조사회 제시.

    - 창조사회는 창조활동의 가치와 역할을 중시하는 사회로 창조산업이 새로운 성장

산업으로 떠오르고 문화력이 국력을 좌우하는 요소로 부상.

 ●

 2005년 8월 Businessweek는 창조경제 시대의 도래를 언급하고, 창조경제 시대에
는 경제 패러다임이 지식(Knowledge)에서 창조성(Creativity)으로 무게 중심을 옮
겨가게 될 것이라고 언급.

 ●

 이러한 변화는 엘빈 토플러의 물결이론에서 제시한 수렵사회 → 농업사회 → 산업
사회 → 정보화 사회로 전환하는 연속선상에 위치.

    - 창조경제의 등장은 농업사회에서 산업사회로 전환한 데 버금가는 변화로 인식.

목표   현 정부의 핵심 키워드인 창조경제를 이해하고, 창조경제 구현을 위한 다양한 사업을 

소개하여 학생들의 창업에 도움이 되는 정보를 제공한다.

3.  창조경제와 창업

    - Joseph Stiglitz는 미국의 1930년대 경제 대공황(Great Depression)은 농업경제에

서 산업경제로, 현재 경제 대침체(Great Stagnation)는 생산・지식경제에서 창조
경제로 전환하는 패러다임 전환 시기로 언급.

자료: 창조경제의 개념과 주요국 정책 분석(KISTEP, 2013)

【그림 27】  기술혁명과 사회 진화 패러다임의 변화

수렵
사회

농업혁명

(제1의 물결)

산업혁명

(제2의 물결)

정보화혁명

(제3의 물결)

창조혁명

(제4의 물결)

농업
사회

산업
사회

정보
사회

창조
사회

  창조경제의 개념

 ●

 창조경제는 기존의 자본 중심, 기술 중심 또는 영업 중심, 노동 중심의 경제 틀에서 
벗어나 아이디어나 창조적 마인드를 기반으로 한 새로운 경제 패러다임으로, 기존
의 시장을 단순히 확대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융합의 터전 위에 새로운 시장과 새로
운 일자리를 만드는 것임.

자료: 창조경제 홈페이지(www.msip.go.kr)

【그림 28】  창조경제 생태계

개인
기업
정부

창의적

자산

새 시장 창출

기존산업 강화

좋은

일자리

상상력

창의성

창업

공정한 

경쟁

과학기술

ICT

융합

세계화

    - 다양한 개인과 기업의 아이디어가 자유롭게 교류・소통하면서 과학기술・ICT와 

융합되어 상상을 현실로 만드는 창의적 자산(기술과 지식) 창출.

    - 창의적 자산이 도전정신을 바탕으로 창업으로 연결되거나 기존 제품・서비스와 

결합하여 새로운 산업과 시장을 만들어 내고 기존 산업의 경쟁력 강화.

    - 중소기업과 대기업이 상생・협력하며 세계로 진출하는 한편 다양하고 좋은 일자

리가 끊임없이 많이 생성.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장

기업가정신의 

이해

❶ 세상을 변화시키는 힘 ‘기업가정신’

❷ 기업가의 특성

❸ 기업가정신의 확산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78

79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 기업가정신의 이해 <<

제 2장

 ●

기업가의 사전적 개념

  -기업가정신(Entrepreneurship)의사전적의미를찾아보면통상적으로‘기업가

(Entrepreneur)의’혹은‘기업가적인(Entrepreneurial)’정신을나타냄.따라서기
업가정신의개념을설명하기에앞서기업가의 의미를 먼저 자연스럽게 소개하는 것
이 효과적.

  -아래[표1]의사전적정의가운데기업가의본래의미는단순히기업체를설립하

고조직하며운영하는관리자(manager,businessman)의개념을넘어어떠한영
역에서든지새로운가치를창출하는사람(valuecreator)이라는의미임을강조할
필요가있음.

【표 1】  기업가에 대한 사전적 정의

기업가(entrepreneur)에 대한 사전적 정의

네이버 지식백과

(사회학 사전)

이윤을 위해서 상품과 서비스를 판매하는 기업을 관리하는 일에 종사하는 자본의 소유주. 
주로 비즈니스 관리자에 대한 개념을 설명

네이버 지식백과

(HRD 용어사전)

사업체를 설립, 조직, 관리하고 내포된 위험을 감수하는 개인으로 주로 제1세대 경영자를 
칭하며, 변화를 탐구하고 변화에 대응하며 변화를 기회로 이용하는 사람을 의미

한국어 위키백과

한국에서는 기업인과 사업가라는 용어가 혼돈되어 사용되고 있음. 기업인(entrepreneur)은 
기존에 존재하지 않았던 가치를 만들어 내는 사람

  -기업가정신에서말하는기업가는우리가통상적으로생각하는경영자,관리자개

념의기업가(企業家)가아니라비즈니스영역을비롯한모든영역에서새로운가
치창출을추구하는사람(起業家)을가리킴.

【표 2】  기업가(entrepreneur)와 경영자(Manager)의 차이

entrepreneur

Manager

특정한 기회를 끊임없이 추구하려고 하며, 

외부자원의 활용과 시장지향적인 태도

내부자원의 효율적인 최적화에 주력

현실적이고 단기간에 사업 기회를 포착, 활용

장기적이고 점진적으로 사업 기회 활용

자원확보를 위한 의사결정시 

결정단계가 뚜렷하게 구분되지 않는 경향

위임된 권한 구조하에 체계적인 의사결정

다양한 비공식 네트워크를 가진 평면조직

계층조직을 전제로 수직화된 관료조직

자료: 민경호(2006), 기업가정신, 무역경영사, p.19.

1.1  기업가정신이란?

목표  

 

새로운가치창출활동을의미하는기업가정신의개념을올바르게이해하고
스스로 정의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개인 차원의 기업가정신을 더욱
확장하여변화와혁신을추구하는사내기업가정신과사회적가치창출로
이어지는사회적기업가정신에이르기까지기업가정신에대한이해의폭을
넓힌다.

관련 내용

 1)기업가정신



2)사내기업가정신



3)사회적기업가정신

용어 정리

 기업가,기업가정신,사내기업가정신,사회적경제,사회적기업가정신

1.1.1  기업가정신의 개념

활용하기

교과서 페이지 (74)

교재에서는앞장에서다룬창조경제및미래기술트렌드와연계하여기업가정
신의개념을제시하고있다.교사는기업가정신에대한다양한의미와사례소
개,토론등을통해학생들이기업가정신의중요성을인식할수있도록한다.

  기업가정신의  개념은  교재의  심화학습에서도  살펴볼  수  있듯이  하나의  정형화된 

개념으로  한정하여  정의하기보다는  다양한  사례와  몇  가지  공통된  중요  특성 
(Characteristics)을  설명함으로써  핵심  개념을  유추하고,  이를  통해  학생들  스스로 
개별적인 개념 정립이 가능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바람직.

목표   앞장에서 학습한 창조경제와 미래 기술 트렌드를 염두에 두고, 다양한 분야에서 변화와 
 

혁신을 통해 새로운 기회를 창출하는 기업가정신의 개념과 중요성을 이해하게 한다. 

 

다양한 사례 제시와 토론 등을 통해 학생들 스스로 기업가정신에 대한 개념을

 

정립하고 필요성을 인식하게 한다.

1.  세상을 변화시키는 힘 ‘기업가정신’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92

93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 기업가정신의 이해 <<

제 2장

제4전략 : 근검절약 

성공한 대한민국 기업가들은 한결같이 “부자가 되는 길은 부지런함과 검소함에 있다

고 말한다. 꼭 필요한 데에만 

돈을 쓰거나 헛되이 낭비하지 않는 정신을 근검절약정신이라고 한다. 한국 재벌총수들의 대표적 경영이념 가운데 하

나가 근검절약주의와 정신일도 하사불성이다. 그들은 근면하고 검소하며, 절약하고 저축하며, 신념을 지키며 부를 

쌓았다고 밝히고 있다.

제5전략 : 인재제일주의 

인재제일주의는 인간존중정신과 일맥상통하는 ‘기업은 사람이다’라는 신념을 아예 기업 경영전략으로 도입하는 

것이다. 인간을 존중하고 개인의 능력을 최대한 발휘하도록 여건을 조성하여 개인이 조직의 원동력이 되게 하는 정

신을 말한다. 

한편으로는 기존 인력 중에서 재주나 능력이 뛰어난 사람, 기술개발이나 혁신을 이끌 인재를 발탁하여 적재적소에 

배치하는 정신, 또 한편으로는 일의 성과를 향상시키는 유능한 인재, 능력을 갖춘 인재를 발굴하여 채용하는 정신을 

말한다. 성공한 기업가는 ‘국가와 기업의 장래가 모두 사람에 의해 좌우된다’는 신념을 간직하고 있었다. 미국에서는 

일찍이 벤처의 성공 요인은 첫째가 인재, 둘째가 기술, 셋째가 자금, 넷째가 시장이라고 규정하고 창업을 성공으로 이

끄는 가장 중요한 요소는 사람이며, 이를 달리 표현하면 그 사람이 지닌 기업가정신이라고 정의한 바 있다.

제6전략 : 고객만족주의 

성공한 기업가에게서 공통으로 나타나는 정신 가운데 하나가 바로 고객만족주의 정신이다. 경영의 모든 부문을 고

객의 입장에서 생각하고 진정한 의미에서 고객을 만족시켜 기업의 생존과 번영을 유지하고자 하는 경영전략이다. 우

리나라의 성공한 창업자 CEO 중에서도 일찍이 1950년대부터 ‘고객을 만족시켜야 사업이 성공한다’는 경영이념을  

실천한 사례를 찾아볼 수 있다. 고객과의 거래는 한 번에 그치지 않고 일생 동안 계속되며, 고객 한 사람이 불만을 느

끼게 되면 주위의 모든 사람에게 영향을 미쳐 결국 고객 한 명이 아니라 수백 명 또는 수천 명을 잃는 결과를 낳게 된

다는 점에서 고객만족주의 정신은 경영자가 늘 염두에 두어야 할 철학이다.

제7전략 : 정직과 정도경영  

성공한 기업가의 성공 비결 가운데 하나가 정직과 정도경영 정신이다. 테일러(F.W. Taylor)는 기업가의 자질 조

건 중에 정직(Honesty)을 생명으로 여기는 기업가가 성공한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사업은 신용을 기반으로 정직하

게 하는 것이 정도이다. 가끔 언론 보도에서 비윤리적 행위로 기업을 경영하거나 부패 문제로 망하는 회사를 본다. 

OECD를 비롯한 선진국의 경제기구가 21세기 기업의 경쟁력 원천은 윤리경영에 있음을 천명한 데서도 확인되듯이 

정직하고 투명한 기업만 경쟁에서 살아남을 수 있으며, 세계시장에 상품을 팔 수 있다. 

자료 : 신용보증기금 월간지 ‘신용사회’

2015년 2월호, No. 389, Special Theme, 대한민국 기업가정신 

관련 내용

 1)기업가의특성에대한오해



2)기업가정신의핵심요소



3)기업가정신테스트Tool

2.1  기업가에 대한 오해와 진실 

활용하기

교과서 페이지 (86)

성공한cEO들은대부분일반인과달리뭔가특별한능력과특성을가진사람
으로인식되는경향이있다.그런탓에대다수사람은‘내가과연훌륭한기업가
가될수있을까?’하며지레겁을먹기쉽다.여기서는기업가에대한잘못된선
입견을다양한사례를통해제시함으로써누구나기업가가될수있다는인식과
자신감을갖게하는데목표를둔다.

 기업가는 충분한 훈련이나 학습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

 ●

관련 연구 및 사례

  -미국babsoncollege의Entrepreneurship교수인줄리안랭(JulianLange)은학

생들을대상으로5년동안연구를진행해기업가의특성을타고나지못한학생에
게도지속적인교육과새로운아이디어체험기회를제공하면긍정적인영향을
미칠수있다고발표.

목표   여기서는 앞에서 학습한 기업가정신의 내용과 중요성을 다양한 사례를 통해 
 

다시 한 번 강조하면서 창조적인 기업가의 특성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그러한 이해를 바탕으로 학생들 스스로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인재가 

 

되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한지 고민하고 연구하게 한다.

2.  기업가의 특성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114

115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 기업가정신의 이해 <<

제 2장

관련 내용

 1)기업이바라는인재상,변화와혁신으로성장하는기업사례



2)사회적경제와사회적기업가정신



3)대학및공공기업가정신

3.1  사내기업가정신 

활용하기

교과서 페이지 (101)

여기서는사내기업가정신을다룬다.교사는기업가정신이창업에필요할뿐만아
니라기업의근로자에게도중요하다는점을인식시킨다.

  사내기업가정신의 개념

목표  여기서는 기업가정신이 일반적으로 창업 준비나 초기 창업기업 설립 같은    

 

 

영역에서뿐만 아니라, 기존 조직의 변화와 혁신 그리고 사회 전반에 걸친 가치 창출    

 

등으로 확산될 수 있다는 내용을 학습한다. 창업 과정뿐만 아니라 다양한 영역에서    

 

기업가정신을 가진 인재가 필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고 이해할 수 있게 한다.  

3.  기업가정신의 확산

사내 직원들이 기업가정신을 발휘할 때, 이를 사내기업가정신이라고 한다. 많은 사람이 창의적 아이디어나 혁신적

인 서비스를 통한 새로운 가치 제안(Value Proposition)은 뛰어난 기업가가 이끄는 벤처 조직에서 나온다고 생각한

다. 또 차고나 기숙사 방에서 시작된 아이디어로 출발한 사업가들이 기업공개(IPO)를 통해 억만장자가 되고 세계적

인 기업으로 성장하는 실리콘밸리 식의 성공 스토리 때문인지, 우리는 혁신, 창의, 위대함 같은 가치에 대해 이야기할 

때 종종 남들이 보지 못한 비전을 가진 개인의 기업가정신에 관심을 갖곤 한다. 

하지만 대부분의 사람은 아직도 시스템과 구조를 갖춘 기업이라는 조직의 구성원으로 일하는 고용인이다. 그리고 

이렇게 기업에 속한 구성원들 또한 스스로의 비전과 의지를 가지고 새로운 가치 제안을 만들어 낼 수 있다. 이들을 지

칭할 때 기업가라는 단어를 살짝 비틀어 사내기업가(Intrapreneur)라고 하는데, 경쟁이 심화되고 새로운 성장의 돌

파구를 찾기 어려운 오늘날에는 많은 기업이 사내기업가정신에 관심을 돌리고 있다. 

 “사내기업가정신은 혁신을 통해 새로운 사업을 창출함으로써 기업의 지속가능한 성장을 추구하는 것이다.” 사내 

기업가정신 분야 석학인 도나 켈리(Donna Kelley) 미국 뱁슨대(Babson College) 교수는 신사업 창출과 혁신, 이 

두 가지 요소의 결합이 사내기업가정신의 핵심이라고 주장한다. “기업가정신의 기본은 신사업 창출(Creating new 

business)이다. 새로운 매출원(New source of revenue) 발굴을 목표로 한다. 여기에 혁신 요소가 결합되어야 사내

기업가정신이라고 한다. 생수 사업을 하는 중견 기업을 예로 들어보자. 처음엔 미국에서만 생수를 팔다 아시아나 아

프리카 같은 다른 나라에서도 팔게 됐다. 당연히 매출액이 늘었을 것이다. 하지만 아시아나 아프리카에서도 미국 시

장에서 팔던 제품과 똑같은 생수를 판매한다면 단순히 기존 사업을 확장한 것에 불과하다. 이런 활동은 기업가정신

이라고 할 수 없다. 또한 생수 회사가 생수를 담는 용기, 용기 뚜껑, 라벨, 이 세 가지를 따로따로 만들지 않고 한 번에 

생산해 낼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고, 그로 인해 용기 조달 비용이 획기적으로 줄었다고 가정해 보자. 혁신을 통해 회

사의 이익은 늘었을지 모르지만 매출액이 급격하게 늘지는 않을 것이다. 기업가정신의 주된 목표는 이익을 확대하는 

게 아니라 성장을 꾀하는 것이다. 비용 절감이 기업가정신이 될 수 없는 이유다. 

  사내기업가정신의 사례

미국 상장 기업 중 가장 오래된 기업인 제너럴일렉트릭(GE)은 설립 130여 년이 지난 현재까지도 가장 혁신적인 기

업으로 평가받는다. 1878년 토머스 에디슨이 세운 전기조명 회사에서 출발해 항공, 헬스케어, 운송, 에너지 관리 등 

다양한 사업에 진출하며 글로벌 인프라 기술 기업으로 성공적으로 변모했기 때문이다.

 GE 최고마케팅책임자(CMO)인 베스 컴스톡 사장은 6일 동아일보와의 인터뷰에서 “GE가 오랫동안 혁신해온 비결

은 스피드와 간소화(Simplification) 전략”이라며 “다양한 사업을 하면서 변화의 흐름을 빨리 파악했던 게 혁신을 지

속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고 말했다. 그는 또 “기술 수준이 높아질수록 제품 개발에 너무 오랜 시간을 투자하거나 불

필요한 기능까지 넣는 실수를 범하게 된다”며 “2012년 새 경영 기법인 ‘패스트워크스(Fastworks)’를 도입해 불필요

한 업무 프로세스를 과감히 줄였다”고 강조했다.

 패스트워크스는 신속하면서도 품질 좋은 제품을 내놓는 것을 목표로 사내기업가정신(Intrapreneurship)을 고취하

고 벤처기업 같은 민첩성을 갖춰 시장과 고객에게 발 빠르게 대응한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컴스톡 사장은 속도를 중시하는 조직문화를 만들기 위해서는 “리더가 직원들에게 ‘과거에 했던 방식대로만 해야 하

는 건 아니다’란 인식을 심어주고 업무의 자율성을 줘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이러한 인식이 자리 잡으면 부서 간 

협력도 쉬워지고 더욱 빠른 해결책을 내놓게 된다”고 강조했다.

자료: 동아일보(2014. 11. 13)

GE의 130년 생존비법은 사내기업가정신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120

121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 기업가정신의 이해 <<

제 2장

 사회적 기업

 ●

사회적 기업(social Enterprise)의 개념 

  -우리나라는2007년제정된‘사회적기업육성법’을통해‘사회적기업이란취약계

층에게사회서비스또는일자리를제공하여지역주민의삶의질을높이는등의
사회적목적을추구하면서재화및서비스의생산,판매등의영업활동을수행하
는기업’으로정의.

  -영리기업이주주나소유주를위해이윤을추구하는것과는달리,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에게일자리와사회서비스를제공하는등사회적목적을조직의주된목
적으로추구한다는점에서차이가있음.

【그림 13】  사회적 기업의 영역

 자료: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www.socialenterprise.or.kr)

• 사회적경제는 사회적 가치를 추구하는 모든 경제적 활동을 의미하며, 건강한 공동체를 만들고 양극화를 

해소하는데 기여하는 한국경제의 새로운 대안이 될 수 있음.

• 이러한 사회적경제조직으로 사회적기업, 협동조합, 마을기업, 자활기업, 농어촌공동체회사 등이 다양하게 

출현하고  있으나  사회적경제조직들이  자생력을  갖고  지속적인  성장을  하기  위해서는  사회적경제의 

통합생태계를 조성하고 정책추진체계를 구축하기 위한 제도개선이 필요함.

• 이에 ‘사회적경제 기본법’을 제정하여 사회적경제 발전을 위한 정책의 수립·총괄·조정 등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을 정함으로써 사회적경제의 발전을 효율적으로 추진하도록 하는 한편, 사회적경제조직의 설립·운영 

및 지원에 관한 규정을 마련하여 체계적인 사회적경제 지원 환경을 조성하는 데 기여하려는 것임.

자료 : 새누리당 사회적경제기본법 발의원문 내용을 요약 정리함

   ▶동영상참고자료:
   http://www.socialenterprise.or.kr<알림마당<사회적기업홍보동영상
   (사회적기업홍보동영상)

 ●

‘사회적기업육성법’의 배경

  -외환위기이후짧은기간동안공공근로,자활등정부재정지원에의한일자리가

확대되었으나안정적인일자리로연결되지못함에따라정부재정지원의효과성
과관련한논란이지속적으로제기됨.

  -한편2000년대들어고용없는성장의구조화,사회서비스수요의증가등에대한

대안으로유럽의사회적기업제도도입과관련한논의본격화.비영리법인·단
체등제3섹터를활용한안정적인일자리창출및양질의사회서비스제공모델로
서사회적기업도입논의구체화.

  -사회적기업은공동체수요(Needs)에적합한사회서비스를확충하고,취약계층

에안정적일자리를제공할뿐만아니라,지역의인적·물적자원을활용하여고
용및복지를확대하고,경제활성화에기여.

  -최근저성장·저고용에따른고용구조변화와저출산·고령화시대에따른서비

스·일자리수요증가에대한대안으로사회적기업의역할부상.노동시장격차
와고용불안정성해소를위해‘착한소비·따뜻한일자리’를제공하는사회적기
업의육성및역할지속필요.

  -2007년7월‘사회적기업육성법’시행이후,사회적기업의확산과체계적지원을

위해‘기본계획’을수립하고‘관계부처협의체및육성TF’를구성·운영하는등지
속추진.

   ▶세부참고자료:국가법령정보센터‘사회적기업기본법’내용참고
(www.law.go.kr)

3.4 다양한 분야의 기업가정신 

활용하기

교과서 페이지 (122)

여기서는기술창업분야와대학에서요구되는기업가정신을비롯해다양한분
야의기업가정신을간략히소개하고,우리사회모든분야에서기업가정신이요
구된다는사실을인식하고이해하게하는데목표를둔다.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3장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및 기회포착

❶ 창의력은 어디에서 나오나

❷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나오나

❸ 아이디어를 어떻게 기회로 만들까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124

125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및 기회포착 <<

제 3장

실시되는 경우가 많은데, 그때그때 주문에 따라 생산하는 작업형태여서 생산시
설을 변경하지 않고 그대로 이용할 수 있는 기간이 짧아 간헐성 생산방식이 될 
수밖에 없다. 작업을 합리적으로 체계화하기 어렵고, 작업계획이나 작업상황을 
통제하기도 번거롭다. 생산효율이 소품종대량생산보다 못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다품종소량생산 [Small Quantity Batch Production, 多品種少量生産] (두산백과)

 다양한 정의

 ●

 발산적 사고(확산적 사고 Divergent Thinking): 다양하고 독특한 것을 많이 생각해 
내는 능력(Guilford, 1950).  - Guilford, J. P. (1950). Creativity. American Psychologist, 14, 205-208.

 ●

 질적으로 우수하고 적절하게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 내는 능력(Barron). 

- Barron,F.(1969). 

Creative person and creative process. NY: Holt, Rinehart & Winston.

 ●

기존의 정보나 지식을 요구조건에 맞춰 유용하고 새롭게 조합해 내는 능력.

 ●

 가치가 없다고 여겨지는 것을 의미 있고 중요하며 가치 있는 아이디어로 개발해 내
는 능력(Sternberg & Lubart). 예를 들어 옷에 지저분하게 달라붙는 야생풀에서 아
이디어를 얻어 벨크로 테이프(또는 찍찍이) 개발.  - Sternberg, R. J., & Lubert, T. I. (1991). An invest 
-ment theory of creativity and its development. Human Development, 34, 1-32.

 ●

 창의성은 지능이나 독창성이라는 단어와 혼동되어 사용돼 왔음. 물론 창의성은 지
능과 관련이 있고, 독창성도 창의성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지만 창의성이라는 개념
에서는 여러 가지 요소가 상호작용해야 하며, 다음과 같은 5가지 요소가 창의성을 
키우는 방법의 기본이 된다는 사실을 염두에 두어야 함. 이외에도 창의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로 자발성, 근면성, 변화에 대한 개방성, 지적호기심, 근면성 등이 있음. 

선택한 아이디어를 구체적이고 

실용적이며 정교하게 다듬어 냄

다른 사람과 변별되는 

새롭고 기발한 아이디어 제시

다른 사람은 그냥 지나칠 일에도 
민감하게 반응함

가능한 한 많은 아이디어와 
반응을 산출

같은 상황을 다양한 각도로 
접근하여 아이디어 응용

정교성

민감성

유창성

융통성

독창성

창의성의 

5가지 요소

【그림 1】  창의성의 5가지 요소

자료: http://booklog.kyobobook.co.kr/kids/encyclopedia/information/educationCreative.do

1.1  창의력이 중요한 이유

목표  

 

창업뿐만 아니라 취업과 일상생활에서도 창의력이 중요한 요소로 자리 잡고 
있음을 인식시킨다.

제공 내용 

창의성

 

인재상 

1.1.1  창의성

활용하기

교과서 페이지 (133)

창의성의 다양한 정의에 대해 살펴본다. 정보와 지식의 희소성이 사라지고 ‘아
이디어’와 ‘창의성’이 삶 속에 깊숙이 파고들고 있음을 이해시킨다.

용어해설

창의성

창조경제의 기본 요소는 창의성이다. 창의성은 특정한 아이디어나 산출물이 사
회·문화 속에서 가치를 지니고 실현 가능할 때 인정된다. 새롭고 독창적이기만 
해서는 창의적이라고 하기 어려우며, 사회·문화적 맥락에서 가치를 인정받고 
실현될 때 비로소 창의적이라고 할 만하다. 더욱이 ICT 융합의 발달로 사고가 
수평화, 개방화하면서 창의성의 개념과 가치가 크게 확장되고 있다. 

[네이버 지식백과] 창의성 (‘창조경제 정책의 이해’, 2014, 커뮤니케이션북스)

용어해설

다품종소량생산

동일한 생산시설을 이용해서 많은 품종을 각각 소량씩 생산하는 방식. 주문에 
의한 생산체계의 전형적 방식이다. 일반적으로 규모가 작은 만능기계 공장에서 

목표   창의력은 가지고 태어나는 것이 아니라 후천적으로 발전시킬 수 있음을 인식시키고 
 

다양한 사고기법의 사용 방법을 알게 한다. 

1.  창의력은 어디에서 나오나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제 3 장

 

<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및 기회포착 <<

146

147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목표   다양한 사례를 접해봄으로써 미처 알지 못했던 다양한 영역을 확인하고 찾아 
 

아이디어로 연결해 보도록 돕는다.

2.  아이디어는 어디에서 나오나

2.1  새로운 모색과 창조 이해하기

목표  

 

다양한 분야의 사례를 통해 학생들이 자신의 관심분야를 찾아 아이디어를 낼 
수 있도록 지도한다.

제공 내용 

다양한 분야 이해하기

2.1.1  다양한 분야 이해하기

활용하기

교과서 페이지 (154)

우선 어떤 분야에 관심이 있는지 알아야 흥미를 가지고 계속해서 진행할 수 있
다. 먼저 다양한 직업에 대해 살펴보고 창업이 너무 멀게 느껴지는 학생들을 위
해 창직 사례를 통해 아이디어의 다양한 활용 가능성을 열어준다.

용어해설

창직

창직(Job Creation)은 자기의 재능이나 아이디어를 혁신적으로 개발하고 추진
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함으로써 새로운 직종을 개발하고 자기 주도적으
로 일자리를 창출하는 것을 말한다. 

자료: 청년창직을 통한 지속가능한 일자리창출 방안 연구, 김진수 외, 2011

 직업 정보 검색

 ●

 워크넷(work.go.kr)에서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함. 홈페이지에 들어가 한국직업전
망이나 눈길끄는 이색직업, 테마별 직업여행, 직업인 인터뷰, 신직업, 외국직업 등 
다양한 직업 정보를 확인할 수 있음. 

    - [그림 10]은 눈길끄는 이색직업 중 식품/웰빙/여가 부문을 살펴본 것임. 유품정리

인, 정리수납컨설턴트, 옥상정원디자이너, 애견유치원교사, 라이프코치 등은 다음
에 설명된 창직의 결과로 탄생한 새로운 직업임. 

 

 창직

 ●

 창직은 새로운 직업을 만들어 가는 단계로 기존 직업의 융복합과 사회의 필요성에 
의해 나타남. <그림 11>과 같이 창직(創職)으로 나타나는 진로의 형태는 창업, 취업, 
프리랜서 등으로 새로운 직업이 창출될 경우 창직의 직무에 따라 진로의 결과가 다
양하게 나타날 수 있음.

    -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라는 창직의 경우를 예로 들면, 스마트폰  애플리

케이션 개발회사라는 전문기업을 설립하여 창업할 수도 있고, 스마트폰 애플리케
이션 개발이라는 전문성을 가지고 관련 회사에 취업도 가능. 또 다른 길로 창업도 
취업도 아닌 프리랜서로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개발 관련 용역 등을 수행할 
수도 있음. 

【그림 10】  워크넷 직업정보검색

자료: http://www.work.go.kr/consltJobCarpa/srch/jobInfoSrch/expSpecial.do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제 3 장

 

< 창의적 아이디어 발굴 및 기회포착 <<

174

175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 네이버 트렌드 : 구체적인 트렌드, 검색량 파악 가능, 최대 5개까지 비교분석, 네이

버에 한정된 자료(http://trend.naver.com/)

    - 소셜  매트릭스  :  다음  빅데이터  분석  도구,  한  달  무료버전,  인포그래픽  제공

(http://www.socialmetrics.co.kr/)

    - 맥킨지 : 경영 컨설팅 전문회사 자체 데이터 제공, 3D·인포그래픽 제공(http://

www.mckinsey.com/ )

    - 울프램 알파 : 광범위한 참고서적 활용, 가격·매출·상품소개·타 업체와의 비교 

등 다양한 정보 검색, 애플리케이션으로 사용 가능(http://www.wolframalpha.
com/,)

제공 내용 

고객과 시장

 

경쟁자

 

공급자

 

정부정책

 

글로벌 환경 

활용하기

교과서 페이지 (178)

각 항목별로 워크시트를 진행할 때 관련지어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작성할 수 있
도록 먼저 이론적 배경을 설명해 준다.

3.1  고객과 시장

 디자인 접근법

 ●

 디자인 접근법(Design Thinking)이란 인간중심의 창의적이고 분석적인 생각으로 
문제에 접근하여 혁신을 가속하는 방식. 

    - 공감 능력과 인간중심적 사고방식을 활용하여 다양한 사람의 관점으로 세상을 바

라보는 방법. 하버드비즈니스리뷰에서는 “인간중심의 접근 방법을 통해 겉으로 
드러난 요구뿐만이 아니라 숨겨진 욕구를 모두 충족시킬 수 있는 해결 방안을 찾
는 것”이라고 하였음.  

    - 인간중심의 접근 방식으로 겉으로 드러난 니즈(Needs)뿐만 아니라 숨겨진 니즈까

지 충족시킬만한 해결 방안을 찾을 수 있음. 디자인 접근법을 지속적으로 적용해 
조직 구성원 내부에서 디자인 접근법이 체화되면 고객 및 이해관계자에 대해서도 

목표   아이디어를 실행하기 위해 고객과 시장, 경쟁자, 공급자, 정부정책, 글로벌 환경 같은 
 

요소를 살펴보고 그 속에서 기회를 찾도록 지도한다.

3.  아이디어를 어떻게 기회로 만들까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4장

아이디어를 보호하는 

지식재산권

❶ 돈이 되는 지식재산권

❷ 특허권 만들기

❸ 비즈니스 파트너십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190

191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 아이디어를 보호하는 지식재산권 <<

제 4장

용에 직접적으로 기반을 둔 경제라고 정의하고 있다.

 산업구조의 변화

 ●

 일반적으로 경제가 발달하면서 1차 산업의 비중이 감소하고 2·3차 산업의 비중이 
차례로 증가하며 이러한 경향은 선진국의 산업구조에서도 나타남. 

【그림 1】  경제발달에 따른 산업비중의 추이

자료: 국토와 산업(국토환경지식정보)

100

(%)

75

50

25

0

노동력 비율

1차 산업

2차 산업

3차 산업

전 공업화

사회

전기 공업화

사회

후기 공업화

사회

탈 공업화

사회

 

 ●

 주요 선진국의 GDP에서 서비스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계속 확대되고 있으며, 
2005년을 기준으로 미국 78.8%, 프랑스 73.6%, 일본 69.6%에 이름. 한국의 서비스
산업 비중은 1970년 45.1%에서 꾸준히 증가하여 2005년 56.3% 차지.

【그림 2】  한국의 산업구조 변화(2005년 기준)

자료: 2008년 지식기반 경제의 이해(한국지식재산연구원)

100%

90%

80%

70%

60%

50%

40%

30%

20%

10%

0%

1970

37.1%

17.8%

45.1%

28.1%

24.4%

47.5%

23.1%

27.3%

49.6%

16.1%

29.4%

54.5%

1

5.3%

28.4%

56.3%

1990

1980

2000

2005

서비스업

제조업

1차산업 

 

1.1  특허는 특별하지 않다 

목표  

 

특허는 어렵고 특별한 사람만 가질 수 있는 것이 아니라 나와 같은 평범한 
사람도 생활 속의 빛나는 아이디어로 획득할 수 있는 것임을 여러 사례를 
통해 알게 한다.

관련 내용 

1) 지식기반경제

 

2) 지식재산권

 

3) 특허만료

1.1.1  지식기반경제1)

활용하기

교과서 페이지 (196)

교재에서는 경제 환경이 지식기반경제로 전환되면서 지식재산권의 중요성이 
점점 증가하는 추세라고 언급하고 있다. 지식기반경제로 이행해 온 경제발전단
계를 숙지시키고 미래에는 더욱더 지식으로 수익을 창출할 수밖에 없는 경제 환
경이 될 것임을 이해시킨다.

용어해설

지식기반경제

지식기반경제란 생산성이나 경제 성장이 지식에 더욱더 의존하는 경제를 말한
다. 생산 활동을 주로 인간의 단순한 힘이나 토지, 기계·기구의 물리적 작용에 
의지하던 시기와 비교해 볼 때, 동일한 생산 활동에 지식의 투입량이 더욱 많아
지는 경제이다. OECD(1996)는 지식기반경제를 지식과 정보의 생산·분배·사

목표   지식재산권 전반과 지식재산권의 화폐적 가치를 이해한다.

1.  돈이 되는 지식재산권

1 )  연구보고서 2008, 지식기반경제의 이해(한국지식재산연구원)를 참조해서 작성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제 4 장

 

< 아이디어를 보호하는 지식재산권 <<

218

219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라면 누구나 발명자가 의도한 것을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구체적으로 기재한
다.                                                                                                 [네이버 지식백과]

 특허명세서의 구조

 ●

 특허명세서는 발명의 명칭, 요약서, 발명의 내용을 기재한 명세서, 특허청구의 범위, 
도면으로 구성됨.

    - 발명의 명칭 : 발명의 내용을 대표할 수 있는 명칭.
    - 요약서

: 발명의 내용을 요약한 부분으로 통상적으로는 청구항과 발명의 효과를 

기재함.

    - 명세서

: 명세서는 기술 분야, 배경 기술, 발명의 내용을 기재하며, 발명의 내용에

는 해결하려는 과제, 과제의 해결 수단, 발명의 효과, 도면의 간단한 설명,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등을 기재함.

          ▪ 기술 분야 :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가 어느 분야인지 기재함.
        예) 본 발명은 수세식 변기의 절수장치에 관한 발명이다.
          ▪  배경 기술 :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현재까지 이루어진 기술 수준이 어

느 정도인지 기재하고, 현재 기술에서 문제점 및 극복해야 할 과제를 기술함.

        예)  수세식 변기에서 물이 낭비되고 있고, 세면대의 물을 재활용할 필요가 있다.
          ▪  해결하려는 과제 :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문제점 및 과제 중에서 본 발명

이 해결하려 한 과제를 기술함.

        예) 본 발명은 세면대의 물을 수세식 변기에 재활용하기 위한 발명이다.
          ▪  과제의 해결 수단: 본 발명이 해결하려 한 과제를 어떤 수단으로 해결하려는지 

기술함. 이러한 수단이 발명의 구성요소로서 설명됨.

        예)  본 발명은 세면대와 수세식 변기를 일체화하고, 여과장치, U자형 배수관을 

구성요소로 한다.

          ▪  발명의 효과: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효과를 기술함.
        예)  본 발명에 의한 일체형 세면대 변기는 세면수의 오물을 여과하고 이를 재활

용할 수 있다.

          ▪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 본 발명의 구성이 어떻게 작동하여 발명

의 효과를 내는지 자세히 설명하는 부분임.

          ▪  도면과 도면의 간단한 설명: 본 발명의 구성을 그림으로 표현하고, 각 그림이 무

엇을 설명하는 것인지 간단히 설명하는 부분임.

2.1  내 아이디어는 특허를 받을 수 있을까 

목표  

 

특허를 받을 수 있는 조건을 알고 그 조건에 맞춰 자신의 아이디어를 분석 및 
개량하는 방법을 습득한다.

관련 내용 

1) 특허명세서의 구조 

 

2) 신규성과 진보성

 

3) 특허출원 절차 

2.1.1  특허명세서의 구조

활용하기

교과서 페이지 (230)

교재에서는 특허조사를 할 때 카테고리마다 특허조사 키워드를 구별하여 조사
하도록 하고 있다. 특허의 카테고리는 특허명세서의 구조에 따른 구분임을 이해
하고 특허청구범위와 명세서 전체에 어떤 키워드를 각각 구분하여 적용할지 이
해하게 한다.

용어해설

특허명세서

특허명세서란 특허청구 내용을 공개하고, 이를 보호받고자 하는 내용을 기재한 
문서를 말한다. 특허명세서에는 발명 내용을 간명하게 표시할 수 있는 발명 명
칭과 영문 명칭을 함께 기재하고, 발명의 목적 및 구성, 효과 등을 상세히 기재
해야 한다.
또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 및 그 분야의 종래 기술과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
술적 과제 등에 대해 해당 발명의 기술 분야에 대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

목표   특허권을 획득하기 위한 준비방법, 특허의 권리관계, 분쟁 시 대응방안을 이해한다.

2.  특허권 만들기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제 4 장

 

< 아이디어를 보호하는 지식재산권 <<

240

241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②  특허권이 공유인 경우에는 각 공유자는 다른 공유자 모두의 동의를 받아야만 그 

지분을 양도하거나 그 지분을 목적으로 하는 질권을 설정할 수 있다.

    ③  특허권이 공유인 경우에는 각 공유자는 계약으로 특별히 약정한 경우를 제외하

고는 다른 공유자의 동의를 받지 아니하고 그 특허발명을 자신이 실시할 수 있다.

    ④  특허권이 공유인 경우에는 각 공유자는 다른 공유자 모두의 동의를 받아야만 그 

특허권에 대하여 전용실시권을 설정하거나 통상실시권을 허락할 수 있다.

 ●

 공유 특허권의 해석

    - 공유 특허권은 공유자 각자 자유롭게 특허권 전체를 실시할 수 있다. 다만, 특별한 

계약이 있을 경우 계약에 따른다.

    - 공유 특허권자는 자신의 지분을 처분하거나 실시권을 허락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다른 공유자의 동의를 얻어야 한다.

3.1.2  실시권

활용하기

교과서 페이지 (262)

교재에서는 특허권을 이용한 수익 창출 방법으로 실시권을 언급하고 있다. 실시
권은 특허의 판매와 다르고 전용실시권과 통상실시권 두 가지 형태가 있으며 각
각 독점적이거나 그렇지 않은 특징이 있음을 이해시킨다.

용어해설

실시권

특허법에서 ‘실시’란 물건의 발명인 경우 그 물건의 생산 등을 하는 행위, 방법
의 발명인 경우 그 방법을 사용하는 행위 등을 말한다. 
실시권은 특허권에 대하여 ‘실시’할 수 있는 권리를 말한다. 실시권에는 전용실
시권과 통상실시권이 있다.  

 특허법 규정

 ●

 특허법 제2조

    - ‘실시’란 다음 각 목의 구분에 따른 행위를 말함.

  가.  물건의 발명인 경우: 그 물건을 생산·사용·양도·대여 또는 수입하거나 그 

물건의 양도 또는 대여의 청약(양도 또는 대여를 위한 전시를 포함한다. 이하 
같다)을 하는 행위.

    나. 방법의 발명인 경우: 그 방법을 사용하는 행위.

3.1  라이선싱과 로열티 

목표  

 

라이선싱의 종류와 그것의 법적인 효력을 알고 라이선싱의 종류를 선택할 줄 
알게 한다.

관련 내용 

1) 공동 특허권자

 

2) 실시권 

3.1.1  공동 특허권자

활용하기

교과서 페이지 (262)

교재에서는 특허권을 일부만 판매할 수 있다고 밝히고 있다. 특허를 일부만 판
매하는 경우에는 특허의 일부를 산 자와 공동 특허권자가 되며, 공동 특허권자
는 자유롭게 특허권을 실시할 수 있음을 이해시킨다.

용어해설

특허권의 공유

특허권의 공유란 특허권자가 2인 이상인 경우를 말한다. 특허권자가 2인 이상
인 경우는 출원인이 2인 이상인 경우, 출원인은 1인이었으나 특허등록 후 타인
에게 특허권을 일부 매각하여 공동으로 특허권을 소유하게 된 경우 등이 있을 
수 있다.  

 특허법 규정

 ●

 특허법 제99조(특허권의 이전 및 공유 등)

    ① 특허권은 이전할 수 있다.

목표   특허권을 기반으로 파트너와 함께 비즈니스를 계획할 때 필요한 요소 가운데 특허권에 

대한 비즈니스 유형 및 계약서 작성 방법을 이해한다.

3.  비즈니스 파트너십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5장

비즈니스 모델과 

린 스타트업

❶ 비즈니스 모델의 이해

❷ 린 스타트업의 이해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46

247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 비즈니스 모델과 린 스타트업 <<

제 5장

 ●

‘ElectronicCommerce:StrategiesandModelsforBtoBTrading’(Wiley출판사,
2000.1.1)에서비즈니스모델정의.

  -B2B전자상거래와관련된핵심이슈들을구체적으로다뤄B2B전자상거래에서

경쟁우위를확보하는방법안내.

  -Amazon.com,MarshallIndustry,Fedex,Industry.net,Citius벨기에,Tradezone

같은성공적인기업의사례를토대로B2B전자상거래의근본적인구조적문제를
명확하게설명.

  -아울러신경제는무엇인가,채널구조가어떻게변화하고있는가,어떻게필요한

변화를실행하고있는가,가치는어디에있는가와같은질문에대한답변제시.

  -제품,서비스및정보의흐름에대한청사진(여러비즈니스주체및각각의역할

정의).

  -다양한비즈니스주체가얻는잠재적효익및수익출처정의.
  -즉,비즈니스모델에는누가사업에참여하고이들에게주어지는대가는무엇이

며어떻게돈을벌수있는가하는내용이담겨야함.

1.1  비즈니스 모델이란 무엇인가 

목표  

 

비즈니스 모델에 대한 설명과 다양한 정의를 확인하며, 창업기업에게
비즈니스모델이가지는의미를설명한다.

관련 내용 

1)다양한비즈니스모델정의

 

2)비즈니스모델키워드/소셜분석

 

3)봉투변기피푸(PeePooBag)사례

1.1.1  다양한 비즈니스 모델 정의

활용하기

교과서 페이지 (274)

교재에서는비즈니스모델에대한학자들의정의를정리하였다.교사는학자들
과그들의이론에대해좀더확인하고학생들에게전달한다.

 폴 티머스 비즈니스 모델

 ●

폴티머스(PaulH.Timmers)는유럽연합의연구기술개발과비즈니스파일럿프로
그램에서전자상거래분야유럽위원회정보사회국총장임.

  -전자상거래중소기업들의진흥을위한글로벌협력기구인G8GlobalMarket

placeforSMEs에서총무를맡고있음.

  -다국적컴퓨터및통신회사에서소프트웨어개발및제품관리매니저로일했음.
  -네덜란드네이메헌(Nijmegen)대학에서이론물리학박사학위를받았고영국워

릭경영대학원(WarwickBusinessSchool)에서MBA수학.

목표   비즈니스 모델의 의미와 필요성, 구성요소 등을 살펴보고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 

작성을 통해 비즈니스 모델을 이해시킨다. 

1.  비즈니스 모델의 이해

【그림 1】  폴 티머스1)

1) https://www.youtube.com/watch?v=b9fi2mL8ni0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72

273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 비즈니스 모델과 린 스타트업 <<

제 5장

  -가정을검증하기위해서필요한최소요건제품을어떻게만드는지살펴보고,실

제로성과를내는지평가하기위한측정방식을확인.

  -현재시점에서방향전환을해야할지,현재운영하는제품과기능을고수해나갈

지를결정하는방법확인.

 ●

가속 :스타트업이사업을확장하면서속력을높이는방법

  -린제조중에서소량생산처럼스타트업에적용할수있는기법확인.
  -조직설계,서비스를키우는방법,린스타트업의원칙들을작은스타트업뿐만아

니라대규모조직에어떻게적용하는지확인.

 린 스타트업의 다섯 가지 원칙   

 ●

창업가는 어디에나 있다

  -불확실성속에서새로운제품과서비스를만드는조직이라면모두스타트업.
  -린스타트업방법론은다양한종류의산업에모두적용가능.

 ●

창업가 정신은 관리다 

  -스타트업이불확실성속에서성공하려면새로운방식의관리가필요.
  -미래성장동력을찾기위한혁신쪽에서일하는모든사람이창업가.

 ●

 유효한 학습

  -스타트업은지속가능한사업을어떻게만들지학습하기위해존재.
  -창업가비전의여러요소를빈번하게실험하면서과학적검증필요.

 ●

만들고 측정하고 배운다 

  -스타트업의핵심은고객의반응을측정한후지금이대로유지해야하는지아니

면방향전환을해야하는지학습하기.

  -스타트업이성공하려면피드백순환이최대한빨리이루어져야함.

 ●

 혁신 회계

  -창업가로서좋은성과를내려면지루한것에집중해야함.
  -성과를어떻게측정하고,마일스톤을어떻게세팅하며,일의우선순위를어떻게

정할지집중.

2.1  린 스타트업의 출현 배경과 필요성 

목표  

 

린스타트업의필요성을확인한다.

관련 내용 

1)‘린스타트업(LeanStartup)’

 

2)‘기업창업가매뉴얼(TheStartupOwner’sManual)’

2.1.1  ‘린 스타트업(Lean Startup)’22)

활용하기

교과서 페이지 (306)

교재에서는린스타트업의출현배경을설명하였다.교사는에릭리스의저서인
‘린스타트업’의내용을확인하여학생들에게좀더상세한내용을전달한다.

 ‘린 스타트업’의 구성 

 ●

비전 :창업가적경영의새로운원칙

  -어떤사람이창업가인지,스타트업은무엇인지정의.
  -‘유효한학습’이라는새로운성과측정방법설명.
  -‘유효한학습’에서는스타트업이지속가능한비즈니스를만들기위해과학적실

험방법을사용할수있음을보여줌.

 ●

조정 :린스타트업방법론구체적설명

  -‘만들기-측정-학습’으로표현되는피드백순환확인.

목표   린 스타트업의 개념과 구성요소를 이해하고, 비즈니스 모델 캔버스와 린 캔버스의 

차이점을 이해한다.

2.  린 스타트업의 이해

22)  린 스타트업(Lean Startup), 저자 에릭 리스, 역자 이창수·송우일, 인사이트, 2012.11.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6장

팀 빌딩과 

엘리베이터 피치

❶ 이상적인 팀 구성

❷ 리더십과 갈등관리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86

287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 팀 빌딩과 엘리베이터 피치 <<

제 6장

 ●

1인 창조기업의 범위

  -1인창조기업은지식서비스,제조업등을영위하는자로서그주된사업이다음에

해당하는업종을말함(「1인창조기업육성에관한법률시행령」제2조제1항별
표1)

  -다만,위지식서비스업,제조업등을영위하는공동창업자,공동대표,공동사업자

등(이하“공동창업자등”이라함)은공동으로사업을영위하는자가5인미만인
경우에1인창조기업으로간주함(「1인창조기업지원사업운영등에관한고시」
제3조제1항).

 ●

1인 창조기업의 요건 확인

  -1인창조기업에해당하여국가로부터지원을받으려면1인창조기업의요건에해

당해야함.

  -이에따라중소기업청장은1인창조기업인정의구체적인내용의판단을위하여

필요하다고인정하는경우에는다음의증빙서류를요청할수있으며,이때요청
을받은자는다음의해당증빙서류를중소기업청장에게제출해야함(「1인창조
기업지원사업운영등에관한고시」제4조).

    ▪사업자등록증또는법인설립허가증사본(해당자에한함)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또는국민연금사업장가입자명부
    ▪위1인창조기업의범위에해당하는사업을수행했던계약서또는실적을증빙

할수있는자료(해당자에한함)

1.1  창업팀과 팀 빌딩

목표  

 

창업을 준비하는 과정에서 1인 창업과 팀 창업의 장단점을 살펴보고,
창업팀이필요한이유와적절한팀구성인원등을이해한다.

관련 내용

 1)1인창조기업



2)엑셀러레이터및엔젤투자자



3)린스타트업과MVP

1.1.1  1인 창조기업

활용하기

교과서 페이지 (337)

교재에서제시한1인창업과팀창업의장단점을사례별로제시해준비된자원
과상황에따라창업시적절한형태를선택할수있는판단력을습득하도록유
도하는것이중요하다.

  

‘1인  창조기업’이란  창의성과  전문성을  갖춘  1인이  상시  근로자  없이  지식서비스, 
제조업 등을 영위하는 경우를 말하며, 1인 창조기업에 해당하여 국가로부터 지원을 
받으려면 1인 창조기업의 요건에 해당해야 함. 1인 창조기업이 규모 확대의 이유로 
1인 창조기업에 해당하지 않게 된 경우라도 그 사유가 발생한 연도의 다음 연도부터 
3년간은 1인 창조기업으로 간주함.

목표   팀(Team) 빌딩 활동의 필요성을 인식할 수 있게 유도하고, 
 

실제 팀 빌딩 과정에서 고려해야 하는 다양한 주제를 고민하고 토론하면서    

 

 

대응방안을 습득할 수 있게 한다.

1.  이상적인 팀 구성

‘창의성’이란 새로운 아이디어를 활용하여 독창적인 산물이나 서비스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을 말함(1인 창조기

업 지원사업 운영 등에 관한 고시 제3조 제2항 제1호 참조)

‘전문성’이란 해당 분야의 교육연수를 이수하였거나 전문자격을 취득한 경우 또는 경력이나 프로젝트 수행능력

및 그 밖의 직무수행에 필요한 지식, 기술, 소양 등을 갖추었다고 인정되는 것을 말함(1인 창조기업 지원사업 운

영 등에 관한 고시 제3조 제2항 제2호 참조)

창의성과 전문성

/proj/swwu/download/1524116590695/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316

317

손에 잡히는 기업가정신   

 

< 팀 빌딩과 엘리베이터 피치 <<

제 6장

관련 내용

 1)직무몰입도향상법



2)주주계약서및주식매수선택권

2.1  직무 몰입도 향상법 

활용하기

교과서 페이지 (358)

리더십을갖춘기업가가되기위해서요구되는다양한직무몰입도향상법을이
해하고실제활용할수있도록지도한다.

 직원 몰입(Employee Engagement)

 ●

직원몰입도는조직에대한만족에그치지않고조직의성과향상을위해구성원들
이이성적,감성적으로추가노력하고행동하고자하는상태를의미

 ●

직원몰입도는크게이성적(Rational),감성적(Emotional),동기적(Motivational)측
면으로구분이가능함

  -몰입된구성원은조직의전략과가치,비즈니스수행방식을지원(Think)하며,조

직에강한유대감을갖고함께일하는것을자랑스러워(Feel)하고,조직에공헌하
며조직의성공을위해열정을갖고열심히일하게(Act)됨

 ●

기업별직원몰입도의격차는기업의최종재무성과에서현격한차이로이어짐.
TowersWatson이91개글로벌기업을대상으로연구한결과직원몰입도가높은
조직은재무적성과측면에서성장을보인방면,몰입도가낮은조직은성과가떨어

목표   기업가에게 요구되는 리더십의 다양한 요소를 학습하고, 실제 창업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갈등요소를 체험해 봄으로써 기업가의 역량을 함양한다. 

2.  리더십과 갈등관리

【그림 6】  직원 몰입도 개념

자료 : ‘직원몰입도 향상을 위한 방안 제언’ 보고서, Towers Watson 

【그림 7】  Towers Watson 직원 몰입도 모델

자료 : ‘직원몰입도 향상을 위한 방안 제언’ 보고서, Towers Watson 

지는것을알수있음

  -타워스왓슨의미국내연구결과‘몰입도’의증가는매출과고객서비스수준의

향상그리고매출원가의감소와직접적인연관관계가있음이증명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