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2022-2024년_전문대학_혁신지원사업_자율혁신계획_수원여자대학교 공개용.pdf

닫기

background image

권역
구분

수도권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2022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사업계획 -

2022. 5.

수원여자대학교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 성과지표 및 재정투자 계획 개요 】

구분

지표명

단위

기준값

(현재값)

달성목표값

향상률

(%)

(2024년 목표값/

기준값

)

비고

2022년 2023년 2024년

핵심성과

지표

①재학생 충원율, ②전임교원 확보율, ③교육비 환원율, ④취업률

자율성과

지표 

① 교육혁신지수

%

100

118.5

137.8

170.1

170.1

② 학생지원 

성과지수

%

100

105.0

112.0

117.0

117.0

③ 학생 취업경쟁력 

지수

%

100

102.6

106.7

110.8

110.8

④ 산학협력 

역량지수

%

100

104.2

109.0

112.4

112.4

⑤ 지역사회 

협업지수

%

100

112.8

137.8

167.8

167.8

재정 투자 

계획

영역

국고지원금

(백만원)

비율

(%)

비고

2022년

2023년

2024년

교육 혁신

2,404.8

1,983.0

1,798.6

54.8%

산학협력 혁신

675.1

885.3

1,085.3

23.4%

기타 혁신

204.7

304.8

304.8

7.2%

사업관리 및 운영

477.4

588.9

573.3

14.5%

합 계

3,762.0

3,762.0

3,762.0

100.0%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자율혁신계획 목차

Ⅰ.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 1

Ⅱ. 적정규모화 계획(’23~’25) ·········································

1. 적정규모화 계획 ···································································
2. 대학 적정규모화 현황 자체 진단 ··············································
3. 세부 적정규모화 추진 계획 ·························································
4. 적정규모화 계획과 연계한 학사구조 개편 및 특성화 전략 ····························

Ⅲ.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22

1. 혁신전략 ································································ 22

1.1. 대학의 영역별 혁신전략 및 기대효과(총괄) ·································· 22

1.1.1. 수원여대형 혁신 WAVE : Digital - Network 2 Track 전략 ······················ 22
1.1.2. 영역별 혁신전략 세부추진계획 및 기대효과 ··································24

1.2. 대학의 운영 혁신전략 ···················································26
1.3. 영역별 혁신전략 ······················································27

1.3.1. 교육 혁신전략 ······················································27

1.3.1.1. 총괄 ···························································· 27
1.3.1.2. 세부내용 1 : 교육혁신을 위한 학사제도 유연화 ······················· 28
1.3.1.3. 세부내용 2 : 교수-학습 지원 및 교육의 질 관리 고도화 ·················· 33
1.3.1.4. 세부내용 3 : 전공 기반 비교과 프로그램 특화 및 내실화 ·····················39
1.3.1.5. 세부내용 4 : 학생성공·학생행복 지원시스템 혁신 ·······················44

1.3.2. 산학협력 혁신전략 ·························································51

1.3.2.1. 총괄 ···························································· 51
1.3.2.2. 세부내용 1 : 산학협력 기반 현장 친화형 협업 생태계 조성 및 구축  ············ 52

1.3.3. 기타 혁신전략 ······················································56

1.3.3.1. 총괄 ···························································· 56
1.3.3.2. 세부내용 1 : 대학-지역 협력 기반 고등직업교육 거점 기관 구축  ············57
1.3.3.3. 세부내용 2 : 대학-지역사회 상생의 가치 실현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 ···········59
1.3.3.4. 세부내용 3 : 전공연계 해외 현장실무 경험 및 해외 취업 지원 ············· 61

1.4. 대학 공공성 및 사회적 가치실현 ··········································62

1.4.1. 대학 공공성 및 투명성 강화 계획 ················································· 62
1.4.2. 대학의 사회적 가치실현 계획 ···············································65
1.4.3. 대학 간 공유·협력 계획 ··············································67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자율혁신계획 목차

2. 재정 투자계획 ·································································· 69

2.1. 대학 재정 투자전략 ······················································ 69
2.2.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재정투자 계획 ········································70

2.2.1. 총 사업비 구성 ····················································· 70
2.2.2. 1차년도 사업비 구성 ················································ 72

Ⅳ. 사업관리체계 구축 및 성과관리 ·································77

1. 거버넌스 구축 ·································································· 77

1.1. 거버넌스 총괄 체계 ······················································ 77

1.1.1. 사업총괄 관리체계 ·························································77
1.1.2. 대학혁신위원회 ····················································78
1.1.3. 대학혁신운영위원회 ················································· 78
1.1.4. 사업전담관리 조직 ·························································81

1.2. 거버넌스 구축·운영 방안 및 거버넌스별 주요 기능 ··························· 82

1.2.1. 사업추진 관련 운영 규정 ·············································· 82
1.2.2. 구성원의 참여 ······················································83

2. 성과관리 체계 ·································································· 84

2.1.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자율혁신계획-재정투자계획-성과관리의 일관성 및 연계성 ···· 84
2.2. 대학 전반의 역량관리 체계 ···············································86

2.2.1. 자율혁신계획 역량관리 방안 ··············································86
2.2.2. 역량 관리 환류 체계 ···················································· 87

2.3.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성과관리체계 ···········································87

3. 성과지표 ································································ 89

3.1. 성과지표 설정 및 목표달성 계획 총괄표 ····································· 89

3.1.1. 자율성과지표명 : 교육혁신지수 ············································ 89
3.1.2. 자율성과지표명 : 학생지원 성과지수 ···································91
3.1.3. 자율성과지표명 : 학생 취업경쟁력 지수 ·································· 92
3.1.4. 자율성과지표명 : 산학협력 역량지수 ···································93
3.1.5. 자율성과지표명 : 지역사회 협력지수 ···································94

Ⅴ. 사업추진 상 대표 프로그램 ·····································96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Ⅰ.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1 ❙

1.

대학의 비전 및 목표

1.1.

대학의 건학이념 및 인재상

○ 우리대학의 기본 인재상은 ‘성실’,‘박애’,‘봉사’의 교육이념을 구체화하고 대학의 사명을 실현

하기 위해 전문지식 습득과 실무능력 개발에 주력하는 실천여성 인재양성

, 나눔과 봉사 인성을

함양하고 실천하는 공감여성 인재양성

, 산업 및 사회변화에 창의적으로 도전하는 창의여성 

인재양성

, 국제적 감각과 소통 능력 개발에 적극적인 소통여성 인재양성이라는 4대 교육목표를

설정함

1.2.

대학의 비전 및 중장기 발전 목표

○ 국가와 사회가 요구하는 인재상의 핵심을 ‘인성’과 ‘전문성’으로 선정하고, ‘숲’이 지구 생태계에

미치는 선순환에 대한 가치와 

‘숲’의 성장과 기여에 대한 개념을 교육의 공간에 접목시켜 ‘인성과

전문성이 자라는 큰 숲

’을 대학이 추구하는 가치 실현의 비전으로 정함

○ 우리대학은 2025년까지 대학사명과 대학의 비전을 실현하고, 사회에 공헌하는 전문 여성 인재

양성을 위해 중장기발전계획 

VISION 2025+ 를 수립함

○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은 투명하고 민주적인 교육경영 혁신기관으로서, 직업교육 수월성을 선도

하는 우수 직업교육기관으로서

, 공감·소통·협력 기반 서비스 문화를 창조하고 선도하는 우수 

사회공헌대학으로서

, Co-op교육기반 산학협력 성과 창출 선도대학으로서, 대학 경쟁력 주요 

교육성과지표 

A+(상위 10%)대학으로서의 위상 확립을 목표로 대학구성원 전체의 강력한 실천

의지를 담고 있음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 Part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 2 ❙

○ 대내외 환경분석, 구성원 의견수렴, SWOT 분석 그리고 미래의 환경변화에 지향점을 두고 중

장기발전계획을 정교하게 계승

·발전·특화시킨  VISION 2025+ 를 수립하여 중장기발전계획을

고도화 하였음

○ VISION 2025+ 는 중장기발전계획 5대 추진전략을 바탕으로‘수원여대형 디지털캠퍼스 구축’,

‘성인학습자 친화형 평생교육 운영체제 구축’, ‘산학협력친화형 대학 체질 개선’, ‘여학생 감성
특화 캠퍼스 환경 구축

’의 영역별 융합 특화 4대 과제를 구체화하여 대학 경쟁력을 제고하고자

하였음

1.3.

대학의 특성화 및 혁신 목표

○ 중장기발전 혁신 목표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3 ❙

2.

대학 현황분석 및 진단

2.1.

대학 외부 여건 분석

○ 4차 산업혁명 기술변화, 인구구조의 변화, 코로나 팬데믹 등 대학 외부여건을 다차원적으로 

분석하여 인재상 정립을 비롯하여 대학교육 운영 분야

, 인재양성 분야의 혁신 방향을 중장기 

발전계획에 반영함

2.1.1.

외부환경 변화와 

4차 산업혁명시대의 특징

○ 초연결(네트워크), 초지능화

- 사람과 사람의 연결에서 사람과 사물과 공간을 연결하는 네트워킹의 수평적 확장 
- 인터넷과 모바일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는 사이버물리 시스템과 인공지능을 기축으로 하는 

사회 시스템 간의 상호작용이 한층 심화되는 네트워킹의 수직적 확장 

○ 물리적 공간에서 디지털공간으로의 확장

- 소셜 네트워크의 확산 → 수많은 데이터와 정보의 생산 → 빅데이터 분석과 활용을 통한 새로운

비즈니스 기회가 창출 

○ 융합·복합: 제조업과 IT의 결합

- 미래 주도산업 변화
- IT, 우주, 로봇, AI·보건, 의료 식량·신에너지, 환경, 물

○ 독점과 단독에서 공유와 협력경제로

○ Needs 충족에서 Wants 충족으로

- 물질소비에서 디자인, 감성에 따른 정신소비로

○ 산업 자원의 변화 

- 물리적 자연자원에서 인간 활동의 데이터 자원으로 변화
- 광물채굴에서 데이터마이닝으로

○ 일자리 유연성 심화 

- 정규직 종신직에서 비전형적인 고용 확산
- 노동시간, 장소, 고용주에 종속되지 않는 고용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 Part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 4 ❙

○ 대학 개념의 변화

- 개방형 평생교육기관으로 변화

○ 테크놀로지 활용 교육 확산

- 디지털 방식의 플랫폼, 스마트폰 중심의 생태계 혁신 기반 경쟁

2.2.

대학 내부여건 분석

2.2.1.

대학 자체 재정현황

○ 2022년 2월 기준 대학 적립금 규모는 333억원이며, 대학등록금 수입의 경우 2021년 결산 기준

으로 

260.8억원으로 전년도 대비 21.2억 감소되었음

○ 중장기 발전계획 투자 현황의 경우 2018년, 2019년, 2020년 중장기 발전계획 추진에 255억원의

재정이 투입 되었으며

, 3년간 발전계획 대비 집행률은 92.8% 수준으로 발전계획 실현에 대한 

대학의 의지와 노력이 적극적이었음

○ 2021년을 포함한 향후 4년간(2022년~2025년) 중장기 발전계획 추진을 위해 456.1억원을 투자

할 계획임 

2.2.2.

대학 기본역량 진단평가 대비 주요지표 성과 분석

구분

연도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 결과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전임교원 확보율
(재학생기준_고등교육통계 기준)

53.1%

57.7%

56.6%

55.2%

60.6% 6.715점(7점 만점)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5 ❙

2.3.

대학 역량 분석

2.3.1.

중장기 발전계획과 학사구조 및 학사제도 간 연계성

○ 대내·외 환경분석 결과와 이에 대응한 중장기 발전계획 추진전략을 기반으로 인력양성의 학

사구조와 학사운영 제도를 추진함

구분

연도

대학기본역량진단 

평가 결과

2017년 2018년 2019년 2020년 2021년

교사 확보율(정보공시 기준)

105.97%

3점(3점 만점)

교육비 환원율(정보공시 기준)

157.4% 174.2% 170.1% 159.9% 168.1% 3.930점(4점 만점)

장학금 지급률

15.6%

16.7%

16.9%

15.7%

16.8%

2점(2점 만점)

정원내 신입생 충원율

100%

86.3% 7.943점(8점 만점)

재학생 충원율(정보공시 기준)

92.5%

92.9%

92.3%

94.8%

88.3% 7.943점(8점 만점)

졸업생 취업률(정보공시 기준)

75.0%

72.0%

71.5%

71.3%

71.1% 7.943점(8점 만점)

등록금 의존율(등록금수입/운영수입)

66.9%

62.4%

59.4%

62.4%

63.3%

전체 대학 평균 

대비 –8%

학생정원 1인당 교육투자기여수입 
(단위 : 천원)

3,469

4,393

4,953

4,439

4,244

전제 대학 평균 

대비 –34%

재학생 1인당 교육비(단위 : 천원)

10,098 10,996 10,832 10,393 10,915

전체 대학 평균 

대비 –9%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 Part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 6 ❙

○ 인재상, 특성화 방향 등과 연계한 학과 설치·운영 및 학사제도 개선 사례

(2020-2021학년도 개선 적용 사례)

2.3.2.

교육의 질 관리체계

○ 질 보장 평가 체제 구축 측면 2개 학사제도 신설 운영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7 ❙

2.3.3.

정부 및 지자체 지원사업 추진현황

. 교비 회계 보조금 지원사업 실적

○ 경기도청 위탁어린이집 수탁사업 외 국가장학금을 제외한 교비 회계 보조금

(단위:천원)

연도

2018

2019

2020

2021

사업비

266,441

3,000,894

3,741,694

3,377,295

. 산학협력단 회계 보조금 지원사업 실적

○ 화성시 기배노인보건센터 수탁사업 외 산학협력단 회계 보조금

(단위:천원)

연도

2018

2019

2020

2021

사업비

1,449,807

2,184,595

2,129,709

2,078,242

2.3.4.

중장기 발전계획 수립을 위한 

SWOT 분석을 통한 전략목표 도출

○ 대내외 환경분석 및 대학 SWOT분석을 바탕으로 대학의 혁신을 보다 구체화하기 위해 융합 

특화 

4대 과제를 도출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 Part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 8 ❙

2.3.5.

대학 구성원 의견 수렴 및 분석

증빙 pp.22~34

○ 재학생 포함 대학 구성원의 대학혁신 요구 조사를 실시하고, 의견수렴과 분석을 바탕으로 대학

자율혁신계획의 수정과 보완 그리고 공감대 형성을 통해 대학 혁신의 목표 달성을 위해 노력함

. 교직원 의견수렴 주요내용

○ 교직원 대상 대학자율혁신계획 수립을 위한 요구 조사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항목 5개, 유

·강화가 필요한 항목 3개로 나타남

. 재학생 의견수렴 주요내용

○ 재학생 대상 대학자율혁신계획 수립을 위한 요구 조사에서 개선이 필요하다는 항목 4개, 유지·

강화가 필요한 항목 

4개로 나타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9 ❙

3.

대학의 중장기 발전전략 및 중점 특성화 분야

3.1.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고도화 과정

증빙 pp.35~38 

○ 대내외 고등교육 환경의 변화에 선제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중장기 발전계획의 

지속적인 고도화 작업을 진행하였음

3.2.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VISION 2025+

○ 대학혁신을 위한 5대 추진전략에 따른 28개 추진과제와 59개 세부 추진과제를 수립함

○ 2차 고도화 단계에서는 추진과제를 보다 구체화하여 영역별 4대 융합 특화과제를 도출하였으며,

특히 디지털 전환 시대 등 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고자 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 Part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 10 ❙

 추진전략 

: 대학경영

○ 투명하고 민주적인 교육경영 혁신기관으로서의 위상 확립을 목표로 함

추진과제

세부추진과제

빅데이터 관리 및 지원체제 구축 운영

[융합특화과제 연계] 

디지털캠퍼스 구축

1.1.1 빅데이터 기반 교육혁신 지원체제 구축 운영

1.1.2 데이터 기반 학생모집 지원체제 강화 

디지털 인재 양성 교육체제 혁신

1.2.1 디지털캠퍼스 구축 학사구조 혁신

1.2.2 디지털 인재 양성 교원 확보 

교육 및 복지시설 확충

[융합특화과제 연계] 

캠퍼스 환경 개선

1.3.1 캠퍼스 교지 및 교육공간 확충

1.3.2 기숙시설 확보

1.3.3 고품질 학생 휴게 편의시설확충

구성원 의사소통 참여 활성화 

1.4.1 교직원 위원회 활동 강화

1.4.2 교직원 전문성 강화 및 제안제도 활성화 

인사평가 및 급여체제 공정성 강화

1.5.1 예측 가능한 교직원 인사평가 제도 구축 운영

1.5.2 급여체제 정비 

대학 재정 운영 안정성 확보

1.6.1 (대학 균형발전 지향 중심) 자율예산제도 개선

1.6.2 외부 재정지원 확보 지원 체제 강화

수요자 중심의 시설인프라 개선

[융합특화과제 연계] 

캠퍼스 환경 개선

1.7.1 디자인캠퍼스 구축

1.7.2 효율적 캠퍼스 운영

 추진전략 

: 교육품질

○ 직업교육 수월성을 선도하는 우수 직업교육기관 위상 확립 목표로 함

추진과제

세부추진과제

개방-자율-협력-연결지향 학사운영체제 확립

[융합특화과제 연계] 

디지털캠퍼스 구축

2.1.1 수원여대 특화 수요자 맞춤형 학사구조 개편 및 학사제도 도입운영

2.1.2 학습수요자 중심의 교육운영 및 교육과정 개발모형 개발적용

미래형 교육운영 플랫폼 개선 및 운영 활성화

[융합특화과제 연계] 

디지털캠퍼스 구축

2.2.1 미래형 열린 학사운영 플랫폼 구축

2.2.2 원격교육 운영 체제 강화

2.2.3 원격교육 및 학습 서비스 클라우드 구축 운영

역량기반 교육품질관리 체제 구축

2.3.1 역량 기반 교육품질 관리 체제 개선

2.3.2 Best practice 우수교육 교류 확대

역량 중심 교양교육 강화

2.4.1 수원여대 특화 교양교육 정책 수립 및 시행

2.4.2 대학 특화 교양 코스 정비 및 개발

교원전문성 강화 및 교원 운용방법 혁신

2.5.1 교원 역량 및 전문성 강화체제 확립

재학생 학습역량강화 체제 개선

[융합특화과제 연계] 

디지털캠퍼스 구축

2.6.1 학생 교육성과 진단 및 인증체제 구축운영

2.6.2 학생 학습활동 강화체제 혁신

2.6.3 외국어 학습역량 강화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11 ❙

 추진전략 

: 서비스

○ 공감·소통·협력 기반 서비스 문화를 창조하고 선도하는 우수 사회공헌대학 위상 강화를 목표로 함

추진과제

세부추진과제

디지털 기술 기반 대내외 소통체제 혁신

[융합특화과제 연계] 

디지털캠퍼스구축

3.1.1 디지털 기술 기반 대내외 소통 확대

3.1.2 스토리텔링 홍보 강화

장학금 확충 및 운영전략개선

3.2.1 교내외 장학금 유치 활성화 

학생복지 지원 강화 

3.3.1 학생과의 소통 기반 학생지원강화(디지털캠퍼스 구축 과제연계)

3.3.2 대학생활 적응 및 성공 진로를 위한 상담활동 지원 강화

“학교 밖 학교” 평생교육 지역거점 대학추진

[융합특화과제 연계] 

평생교육운영체제 구축

3.4.1 성인학습자 친화형 고등평생직업 교육체제 구축

3.4.2 지역혁신 기반 평생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3.4.3 대학·지역 특성 기반 평생직업교육거점 기능 강화

공감·소통·협력 기반 사회공헌대학 위상강화

3.5.1 학생 및 교직원 재능기부활동 강화

3.5.2 사회봉사단 활동 강화

 추진전략 

: 산학협력

○ Co-op교육기반 산학협력 성과 창출 선도대학을 목표로 함

추진과제

세부추진과제

부가가치 창출 산학협력 브랜드 기반 구축

[융합특화과제 연계] 

산학협력 친화형 대학 체질 개선

4.1.1

산학협력 성과관리체계 고도화를 통한 산학협력 브랜드 가치 
제고

미래산업 대비 여성인재양성 학사구조개편

[융합특화과제 연계] 

산학협력 친화형대학 체질 개선

4.2.1

사회 맞춤형 학과/교육프로그램 설치 및 운영확대
<교육영역 발전 지역연계 추진>

4.2.2 산학협력 친화형 인적·물적·재정적 지원체제 강화

학생 취·창업 역량강화 체계 구축

[융합특화과제 연계] 

산학협력 친화형대학 체질 개선

4.3.1 기업가 정신 함양 프로그램 강화

4.3.2 산업체 주문형(맞춤형) 프로젝트교육 활성화

4.3.3 취업연계형 단계별 현장실습 운영체계 구축운영

4.3.4 창업 인재 양성 학사 운영체제 개선 

4.3.5 취업정보 데이터 지원체제 구축 

산학협력 수익모델 발굴 및 추진

[융합특화과제 연계] 

산학협력 친화형대학 체질 개선

4.4.1 수익모델 발굴 및 사업화 지원체제 구축 

4.4.2 산학연 연구지원체제 구축운영

산학협력 지속성 제고 협업생태계조성

[융합특화과제 연계] 

산학협력 친화형대학 체질 개선

4.5.1 산학협력 촉진 유인 교원인사제도 혁신

4.5.2 지속적 산학협력 성과촉진을 위한 평가체제 강화

직업교육프로그램의 글로벌화추진

[융합특화과제 연계] 

산학협력 친화형대학 체질 개선

4.6.1 우리대학 직업교육 프로그램 해외교류 활성화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 Part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 12 ❙

 추진전략 

: 교육성과

○ 대학 경쟁력 주요 교육성과지표 A+(상위 10%)대학 위상 확립을 목표로 함

추진과제

세부추진과제

교육수요자 요구도 및 만족도조사 체계 개선 

5.1.1 교육수요자 요구도 및 만족도 빅데이터 축적·활용체제 강화

5.1.2 요구도 및 만족도 조사 설문시스템 개발

교육품질관리 체제 지속적 개선

5.2.1 교육품질 관리 실행체계 표준화

5.2.2 Best Practice 공유활동 강화

교육성과 관리 및 평가체제 혁신

(성과중심) 

5.3.1 교육성과 기반 평가관리 체계 구축

5.3.2 평가지표의 지속적 개선 체제 구축

5.3.3 학생 교육성과 평가 체제 구축 

대외 평가에서의 우수대학 위상 확보

5.4.1 교육성과 대외 경쟁력 A+달성

3.3.

중점특성화 부분

3.3.1.

사업 분야별 특성화

사업 특화분야

주요 추진 분야

추진 목적 

연계 학과

사회봉사를 통한 

사회공헌

Ÿ 지역사회 문화·예술·공연 서비스를 

통한 지역사회 문화 창달 

생애 초기 공정한 출발 
지원 및 문화격차 해소

전 학과

Ÿ 의료·보건·사회복기 봉사활동을 통한 

지역사회 보건 서비스 강화

지역주민의 삶의 질 향상

Ÿ 교육 프로그램 지원

지역주민 평생학습권 지원

Ÿ 재능 기부

예비 대학생 진로 탐색 

기회 부여 

교육운영체제

Ÿ 개방-자율-협력-연결지향 학사 운영 

체제(수요자 중심 개방형 학사제도)

학생의 성공 학습 지원

전 학과

3.3.2.

인력양성 분야 특성화

○ Health Care Service, Food Tech Service, Art & Culture Service 분야

특화분야

관련 분야

주요 참여 학과

교내 연계 특화 조직 

의료보건 분야 

인력

Ÿ 간호, 치위생, 물리치료 등 의료 및 

건강 관련 학과 

Ÿ 사회복지 등 의료보건 지원 연계 학과

Ÿ 예술계열 
Ÿ 의료보건계열

식품분석센터

아이웰센터

아동교육 및 

문화·예술 분야 

인력

Ÿ 아동교육 및 교육 연계 지원 학과 

Ÿ 아동교육 계열
Ÿ 예술계열

4차산업 연계 

디자인 및 콘텐츠 

제작 분야 인력

Ÿ 식품, 디자인, 패션, 미용, 콘텐츠 등 

4차 산업시대 성장 동력 관련 학과 

Ÿ 식품계열 
Ÿ 예술계열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13 ❙

4.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22~’24) 목표 및 추진 방향

4.1.

혁신지원사업 미션

○ 혁신지원사업을 통해 미래사회 변화의 물결 WAVE에 대응하고 미래사회를 선도하는 인재 양성

을 위해

, 디지털 Digital·차별성 Distinction 그리고 네트워크 Network를 기반으로 한 미래형 

고등교육환경 구축으로

, 수원여자대학교형 직업교육체제 혁신을 추구함

○ 수원여대형 D-WAVE & N-WAVE 여성인재양성 직업교육체제 혁신은 ‘확장성(Wide)’, ‘고도화

(Advancement)’, ‘다양성(Variety)’, ‘수월성(Excellence)’ 4가지 가치실현의 의지를 담고 있음

4.2.

대학의 비전과 혁신지원사업 목표

○ 대학의 비전인 ‘인성과 전문성이 자라는 큰 숲’에서 미래형 고등교육환경 변화와 요구에 대응

하기 위해 

‘숲’을 ‘디지털 숲’으로 새롭게 정의하고, 두 개의 물결 WAVE의 핵심가치와 연계

하여 혁신지원사업의 구체적 목표를 제시함

○ 대학의 비전과 연계하여 우리 대학이 양성하고자 하는 인재상은 ‘실천여성인재’, ‘공감여성인재’,

‘창의여성인재’, ‘소통여성인재’임

○ 인재상 구현에 필요한 핵심역량은 ‘창의역량’, ‘인문역량’, ‘리더역량’, ‘윤리역량’,‘소통역량’,

‘글로벌역량’, ‘전문역량’으로 7대 핵심역량을 설정함

○ 대학의 비전과 목표 그리고 인재상과 핵심역량은 대학혁신지원사업의 목표와 연계되는 유기

적 구조를 갖추고 있음

○ 수원여대형 D-WAVE, 수원여대형 N-WAVE를 가치 실현을 위한 미션 개념으로 설정하고, 혁

신지원사업의 목표를 

‘디지털 여성인재양성 직업교육체제 혁신’으로 정하여 대학의 비전과 

대학의 혁신을 달성하고자 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 Part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 14 ❙

○ 사업목표 실현 가능성을 제고하기 위해 6대 추진목표를 설계함

① 학사제도의 확장성 확보를 통한 교육혁신
② 교수-학습 지원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교육혁신
③ 비교과과정 다양성 확보를 통한 교육혁신
④ 학생지원시스템의 수월성 확보를 통해 교육혁신
⑤ 산학연 인프라 확장 및 산학연 친화형 고도화를 통한 혁신
⑥ 대학-지역사회 협력 강화 및 전공연계 글로벌 역량 강화를 통한 혁신

4.3.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과 혁신지원사업의 연계성

○ 대학 중장기발전계획은 고등교육 환경변화 및 산업지도의 변화에 따라 실현 가능성과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해 

VISION 2025+로 진화하였으며, 구체적인 목표와 전략을 담고 있음

○ VISION 2025+와 자율혁신계획의 체계적인 연계를 통해 ‘인성과 전문성이 자라는 큰 숲’이라는

대학의 비전 실현 가능성을 극대화함

○ 연계성과 체계성을 확보하기 위해 내부 구성원의 의견 수렴을 토대로 교육 혁신영역, 산학협력

혁신영역

, 기타 혁신영역에서 주요 과제들을 추출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15 ❙

○ 자율혁신계획의 핵심인 교육은 4개 혁신전략과 12개 세부과제를 도출하고 구체적인 프로그램

으로 설계함

○ 산학협력은 3개 혁신전략과 6개 세부과제를 도출하여 신산업 산학연에 중점을 두고 있음

○ 기타혁신에서는 3개 혁신전략과 3개 세부과제를 도출하여 전공 연계한 해외프로그램과 봉사

프로그램 운영 및 지역 특화 인프라 구축을 통해 대학혁신을 추구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 Part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

❙ 16 ❙

혁신지원사업

중장기발전계획과 연계성




혁신전략

세부과제

5대전략

융합특화 4대과제
























자 












라 





교육혁신을 위한 
학사제도 유연화 

Ÿ 역량기반 전공학사제도 유연화 및 

교육과정 개편

Ÿ 교양 교육과정 혁신

Ÿ 혁신모델 맞춤형 스마트 학습 존 

(Zone) 구축

교수-학습 지원 및 

교육의 질 관리 

고도화

Ÿ 교수-학습 프로그램 및 지원 체계화

Ÿ 디지털 기반 인프라 구축 및 지원 

체계화

Ÿ SUCCA 핵심역량 인증제 고도화 및 

교육의 질 관리

전공기반 비교과 

프로그램 특화 및 

내실화

Ÿ 교과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체계 구축

Ÿ 수요자 중심 학과연계 대표 브랜드 

프로그램 개발

Ÿ 비교과 프로그램 질 관리 및 통합관리 

고도화

학생성공·학생행복 

지원시스템 혁신

Ÿ 학생 맞춤형 진로·취업·창업 역량강화 

지원 고도화

Ÿ 대학적응력 향상을 위한 심리·정서 

지원 체계화

Ÿ 학생행복 지원서비스 혁신






신산업 기반 산학연계 
현장중심 창의 융합형 

인력양성 및 친화형 

인프라 강화 혁신

Ÿ 현장중심 창의융합형 교육과정 혁신

Ÿ 신산업 기반 산학연 거버넌스 구축

Ÿ 산학연 연계 친화형 교육환경 구축

산학연계 취·창업 

역량강화 모델 혁신

Ÿ 산학 연계 취·창업 역량강화 모델 고도화

Ÿ 산학 연계 교수·학생 실무역량 강화

Ÿ 취·창업 혁신공간 구축




대학-지역사회 협력 

기반 고등교육 
거점기관 구축

Ÿ 지역 특성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운영 

기반 구축

대학–지역사회 

상생의 가치 실현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

Ÿ 대학 전공 연계 지역 사회 공헌 활동

전공연계 해외 

현장실무 경험 및 

해외 취업 지원

Ÿ 전공연계 해외 현장 실무 경험 및 

해외 취업 지원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Ⅲ.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22 ❙

1.

혁신전략

1.1.

대학의 영역별 혁신전략 및 기대효과

(총괄)

1.1.1.

수원여대형 혁신 

WAVE : Digital - Network 2 Track 전략

○ 대학 중장기발전계획의 비전과 목표 달성을 위한 혁신지원사업의 목표를 ‘디지털 여성인재

양성 직업교육체제 혁신

’으로 설정하고 목표 달성 및 가치 실현을 위한 ‘수원여대형 혁신 

WAVE 전략’을 수립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23 ❙

○ 수원여대형 혁신 WAVE 전략은 W(확장성)를 통해 교육체계 및 제도, 역할의 확장을 모색하여

교육

-산업계의 변화에 대응하는 대학 혁신의 기틀을 마련하고, A(고도화)를 통해 대학 혁신의

전반적 질 향상을 모색

, 그 성과를 바탕으로 V(다양성) 전략을 통해 대학 구성원 및 산업체,

지역사회

, 글로벌 교육산업 전반으로 범위를 확장하여 대학의 공공성 및 공유·협력을 통한 

대학의 사회적 가치 실현을 달성하며

, E(수월성)을 바탕으로 교육수요자 맞춤형 교육체계 

혁신 달성을 목표로 함

○ 수원여대형 혁신 WAVE 전략 목표 달성을 위하여 디지털 혁신 인프라 구축을 위한 D-WAVE,

교육혁신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N-WAVE 2 Track 전략을 수립하여 교육수요자 맞춤형 디지털

중심 교육을 통한 교육혁신

, 미래 산업 수요 맞춤형 현장중심 산학협력을 통한 산학협력혁신,

글로벌과 지역 수요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혁신을 통한 글로컬

(기타) 혁신을 달성하고자 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24 ❙

1.1.2.

영역별 혁신전략 세부추진계획 및 기대효과

○ 수원여대형 혁신 WAVE 전략의 목표 달성을 위한 영역별 9개 추진전략에 따른 25개 추진과제를

도출하고 세부추진계획 및 프로그램을 수립함

○ 영역별 현황(As-Is)에 따른 세부과제 혁신전략(To-Be) 및 기대효과



현황 분석(As-Is)

대학 혁신전략/방향(To-Be)

발전/혁신 방향

혁신사업 계획 반영 내용

세부내용

세부과제

1


교육자 관점의 경직된 
학사제도 운영에 따른 

교육수요자 만족도 정체

미래사회의 능동적 

대응 가능한 

창의·융합·혁신인재 

육성을 위한 유연한 

학사제도 혁신

교육혁신을 

위한 

학사제도 

유연화

Ÿ 역량기반 전공 학사제도 

유연화 및 교육과정 개편

Ÿ 교양 교육과정 혁신
Ÿ 혁신모델 맞춤형 스마트 

학습존 구축

급변하는 신성장 산업 

주도 시대에 적합한 

교육과정개발 및 

교육환경 구축 미흡

미래교육 수요자 세대 

요구에 부합하는 

디지털 기반 교수-학습 

지원체계 혁신

교수-학습 

지원 및 

교육의 질 

관리 고도화 

Ÿ 교수-학습 프로그램 및 지원 

체계화

Ÿ 디지털 기반 인프라 구축 및 

지원 체계화

Ÿ SUCCA 핵심역량 인증제 고도화 

및 교육의 질 관리

행정부서 주도의 여러 
프로그램 개설에 따른 

중복 문제 발생 및 

프로그램 개발의 

통합적·장기적 계획 미흡

학생 및 사회수요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질 

관리 체계 혁신

전공 기반 

비교과 

프로그램 

특화 및 

내실화

Ÿ 교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체계구축

Ÿ 수요자 중심 학과연계 대표 

브랜드 프로그램 개발

Ÿ 비교과 프로그램 질 관리 및 

통합관리 고도화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25 ❙



현황 분석(As-Is)

대학 혁신전략/방향(To-Be)

발전/혁신 방향

혁신사업 계획 반영 내용

세부내용

세부과제

1


수요자 관점의 다양한 

대학적응 프로그램 운영 

중이나 효과성 검증 

미흡

대학생활 적응력 

향상과 성공적인 사회 

진출을 위한 학생 

맞춤형 역량관리시스템 

혁신

학생성공·학생 

행복 

지원시스템 

혁신

Ÿ 학생 맞춤형 진로·취업·창업 

역량강화 지원 고도화

Ÿ 대학적응력 향상을 위한 

심리·정서 지원 체계화

Ÿ 학생행복 지원서비스 혁신

기대효과

Ÿ 교수-학습 프로그램 및 지원 체계화 혁신을 통한 교육 수요자 중심 맞춤형 역량기반 교육 실현
Ÿ 디지털 기반 인프라 구축 및 지원 체계화 혁신을 통한 교수-학습 프로그램 교육의 질 관리 실현
Ÿ 데이터 기반 핵심역량인증 평가/환류 및 대학성과관리 고도화를 통한 교육성과 및 수요자 

만족도 개선

Ÿ 산업계와 사회수요를 반영한 학습자 맞춤형 교과연계 비교과 교육과정을 통한 실무 중심 교육 

실현

Ÿ 심리·정서 상담 지원체계 시스템 체계화를 통한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력 향상

2




단편적 사업 위주의 

프로그램 운영 및 산학 

특화 인프라 부족, 

교원중심의 산학협력 

프로그램 운영에 따른 

산업체 및 학생 참여 

미흡

산업체 니즈 반영과 

대학-기업의 상생구조 

마련을 위한 산학연 

연계형 융복합 교육환경 

혁신

신산업 기반 

산학연계 

현장중심 창의 

융합형 

인력양성 및 

친화형 인프라 

강화 혁신

Ÿ 현장중심 창의융합형 

인력양성 교육과정 운영

Ÿ 산업체 수요기반 현장 

친화형 직업교육 거버넌스 
구축

Ÿ 산학연 연계 친화형 

교육환경 구축

산학협력이 친교행사 

중심으로 진행되어 
교육수요자를 위한 

실질적 산학교류 성과 

부족

교육수요자 맞춤형 

지역사회 연계 산학협력 

공유 협업 교육체계 

혁신

산학연계 

취·창업 

역량강화 모델 

혁신

Ÿ 산학 연계 취·창업 역량강화 

모델 고도화

Ÿ 산학 연계 교수·학생 실무 

역량 강화

Ÿ 취·창업 혁신공간 구축

기대효과

Ÿ 산업 기반 융복합 교육을 통한 현장 친화형 교육 생태계 구축에 따른 수요자 만족도 향상 및 

융복합 역량함양

Ÿ 기업지원센터(ICC) 운영을 통한 산학협력 기업지원 활동 활성화
Ÿ 취·창업 혁신공간 구축을 통한 체계적인 학생 취·창업지원 및 취업률 제고

3


일반 교양 중심의 학점 
은행제 기반 학위 중심 

교육체계로 인한 지역 

연계성 및 재정기반 취약

지역사회와의 동반 

성장, 상생을 위한 

맞춤형 직업교육체계 

혁신

지역 특성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운영 기반 

구축

Ÿ 지역사회 직업교육 수요조사 

및 분석

Ÿ 지역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개발 및 운영

Ÿ 성인친화형 직업교육 운영 

교육 인프라 구축

대학 평생교육센터 및 

사회봉사단의 행사 중심 

지역활동 추진으로 

전문성 및 신뢰성 제고 

필요

지역사회 수요 맞춤 

사회공헌 프로그램 및 

사회봉사 실행 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전공 

연계 사회공헌형 
경험학습 활성화

대학 전공연계 
지역 사회봉사 

활동

Ÿ 지역 맞춤형 사회공헌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Ÿ 전공연계 사회봉사 활동 및 

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26 ❙

1.2.

대학의 운영 혁신전략

○ 대학 혁신지원사업의 공공성 및 투명성 강화를 대학구성원 및 산업체, 지역사회의 적극적 의견

수렴 및 환류를 통한 공공성 확보

, 대내·외 감사 및 모니터링, 평가환류를 통한 회계 투명성 확보,

지역

-산업체-대학간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사회적 가치창출 전략을 수립함



현황 분석(As-Is)

대학 혁신전략/방향(To-Be)

발전/혁신 방향

혁신사업 계획 반영 내용

세부내용

세부과제

3


코로나19 감염병 사태로 

인한 해외 

교류활동침체와 이에 

따른 비교과 프로그램 

중심의 제한된 운영 

글로벌 시대에 필요한 

마인드 및 외국어 

소통역량 강화를 통한 

글로벌 여성인재 

양성체계 혁신

전공연계 해외 
현장실무 경험 

및 해외 취업 

지원

Ÿ 전공연계 해외 전공 연수 

특화 프로그램 운영

Ÿ 글로벌 현장학습 프로그램 

운영

기대효과

Ÿ 지역사회 협력 중심 인력양성 기반 평생직업교육 운영을 통한 지속적인 상생 체제 구축
Ÿ 평생학습 참여의 물리적 장애 환경 개선을 통한 성인학습자 참여 확대 및 지역 밀착형 인재

양성으로 지속적인 입학자원 기반 마련

Ÿ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사회공헌 인재 양성 실천
Ÿ 국제적 감각, 세계 시민사회교육, 다문화 이해 등 글로벌 마인드 함양 및 취업역량 강화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27 ❙

1.3.

영역별 혁신전략

1.3.1.

교육 혁신전략

1.3.1.1.

총괄

사업미션

수원여대형 D-WAVE : 디지털 여성 인재양성 직업교육체제 혁신 

중장기 

발전

계획과의 

연계성

교육
혁신
전략 
세부 
추진
계획 
요약

세부내용

과제명

재정투자계획

1. 교육혁신을 위한 

학사제도 유연화

 역량기반 전공학사제도 유연화 및 교육과정 개편

656.4백만원

 교양 교육과정 혁신

 혁신모델 맞춤형 스마트 학습 존 (Zone) 구축

2. 교수-학습 지원 및 

교육의 질 관리 
고도화

 교수-학습 프로그램 및 지원 체계화

346.0백만원

 디지털 기반 인프라 구축 및 지원 체계화

 SUCCA 핵심역량 인증제 고도화 및 교육의 질 관리

3. 전공기반 비교과 

프로그램 특화 및 
내실화

 교과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체계구축

15.2백만원

 수요자 중심 학과연계 대표 브랜드 프로그램 개발

 비교과 프로그램 질 관리 및 통합관리 고도화

4. 학생성공·학생 

행복 지원시스템 
혁신

 학생 맞춤형 진로·취업·창업 역량 강화 지원고도화

1,387.2백만원

 대학적응력 향상을 위한 심리·정서 지원 체계화

 학생행복 지원서비스 혁신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28 ❙

1.3.1.2.

세부내용 

1 : 교육혁신을 위한 학사제도 유연화

. 추진배경 및 목표

○ 4차 산업혁명 시대는 기술의 빠른 변화와 사회구조의 융·복합성 증대로 인해 창의적 인재에 

대한 수요 증가

. 수원여대 교육의 과제는 글로벌이슈를 해결하는 창의·융합·혁신인재 육성이 

필요함

○ 미래사회에 필요한 교육혁신을 달성하기 위한 기존의 교육방식과 차별되는 창의적인 혁신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과정혁신을 지원

○ 전공 교육과정의 유연성 및 산업 연계성을 높여 미래사회에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능력을

키우기 위하여 신산업 관련 혁신모델에 기반한 스마트환경 강의실 구축을 통해 체험형 교육이

공존하는 체질 개선

. 추진계획

 세부과제명 

: 역량기반 전공 학사제도 유연화 및 교육과정 개편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교육과정 개발과 관련된 학습자, 교수자, 산업체의 니즈를 반영한 미래형 전공 학사제도 개편 

및 개발

○ 학사제도 유연화 개선 및 융합 부전공 교육과정 참여확대

○ 융합 부전공 교육과정 설계 전산지원시스템 고도화 연계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29 ❙

○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개편 확대

추진일정

추진항목

추진내용 및 방법

추진일정

‘22 ‘23 ‘24

제도 개선 및 규정 정비

학사제도 개선 TFT운영, 관련학칙·규정 개선정비

융합 부전공 교육과정 지원 제도 

개선

융합부전공 교육과정 지원제도개선 및 참여 홍보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및 

시스템 고도화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및 이수지원 전산시스템 
고도화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및 개편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을 위해 지원

기대효과

○ 개별 학습자의 니즈에 맞는 맞춤형 교육가능

○ 전공설계·이수 과정 편의성 제고 및 융합 부전공 교육과정 학생 참여율 확대

○ 구성원 의견수렴을 바탕으로 한 역량기반 융합형 교육 실현 및 참여학생의 창의·융합 역량 향상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 학사제도 유연화 개선

- 학생의 전공·학습 선택 자율성 확대를 위한 학사 유연화 제도 개선 추진
- 개선 TFT 구성 → 분야별 연구결과 공유 → 학칙 및 규정 개선 정비
- 분야 : 학사제도 유연화, 융합 부전공 교육과정, 융합교과형, 학습경험인정제 등 

○ 융합 부전공 교육과정연구를 바탕으로 설계 및 참여 신청 및 이수 확대

- 융복합 이수 및 융합교과형, 모듈형 교육과정 연구를 통해 설계. 융합부전공제 도출 뒤, 활성화를

위한 교수

·학생 대상 참여 홍보

- 융합 부전공 교과 이수 및 모듈형 교육과정 확대, 국내 대학 학점 교류 활성화, 집중 수업 및 

이수제 체계 마련

- 관심분야 전공 및 필요역량 탐색, 진로 관련 전공 검색, 이수필요 교과목군 선정
- Academic Advisor와 이수계획 설계 상담, 다전공 혹은 융복합 이수계획 신청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30 ❙

○ 역량기반 교육과정 설계 및 이수 통합지원 전산시스템 기능 고도화 및 활용 분야 확대

- 전공역량강화 프로그램 참여 및 자격 취득 정보 포트폴리오 탑재, 인증연계활용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학사제도 컨설팅, TFT 운영, 개선안 도출, 학칙·규정 
정비

융합 부전공 교육과정 연구를 통한 설계 및 모듈개발 & 
이수 지원 개선 및 학생참여 홍보

학생 융합 부전공 교육과정 설계 및 이수과정 통합지원 
전산시스템 고도화

 세부과제명 

: 교양 교육과정 혁신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학습자 맞춤형 교양 발전계획 수립 및 체계 정립

○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교육과정 개선 운영 

○ 교양교육 질 제고를 위한 교양담당 교수역량 강화

추진일정

추진항목

추진내용 및 방법

추진일정

‘22 ‘23 ‘24

대학교양교육 

발전계획 수립

Ÿ 대학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발전계획 수립 및 체계 정립
Ÿ 대학 맞춤형 진로교육과 연계한 교양교육 체계 수립

교양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Ÿ 대학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Ÿ 진로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진로탐색 모델 개발연구를 바탕으로 

한 대학공통교양 교육과정 개발

교수역량 강화 및 

교양교육 질관리

Ÿ 교양교육 담당교수의 교수역량 강화 및 교양교육 질 관리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31 ❙

기대효과

○ 대학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교양과목 브랜드 개발 및 확산

○ 대학 교양교육 혁신을 통하여 산업수요 맞춤형 인력의 인성과 기초역량을 육성

○ 교양교육 내실화 및 교양담당 교수역량 강화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 대학 교양교육 발전계획 수립 및 체계 정립

- 대학 교양교육 발전계획 수립, 추진과제 및 실행과제 도출, Action Plan 마련
- 대학 맞춤형 진로교육과 연계한 교양교육 체계 수립
- 대학 교양교육 인프라 개선 : 대학 교양 강의실 환경개선, 교원 대상교육지원

○ 교양교육 혁신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 

- 대학 교양교육 브랜드 개발 : 인성특화 교과목 공통컨텐츠 개발(ex.인제인성교양), 디지털 기반

특화교과목 개발

(ex. 코딩교육)

- 대학 교양교육 특화교과목인 코딩교육 확대를 위한 스마트환경 교실 확충
- 대학맞춤형 진로교육과 연계한 대학 공통교양 교과목 개발을 위하여 1차년도에  수원여대형 

진로교육과정 모델 개발연구 진행 및 운영

(ex.나의삶 나의진로)

- 대학의 핵심역량과의 관련성을 제고하여 교양교육 이수체계 및 프로그램 체계화
- 교수 인프라 활용 융합 교양 교과목 개설

○ 교양교육 질 제고를 위한 교수역량 강화

- 교양교육 내용·교과별 역량 강화 : 영역별 교과목 구성·운경 개선, 교양교과목 별 교수진 워크숍

운영

- 대학교양교육 교수(teaching)역량 강화: 대면/비대면 수업운영 및 동영상 강의제작 기법 워크숍

운영

, 교수법 강좌 동영상 콘텐츠 제작, 공통교과목 담당교수별 연구회 개최 등

- 전임·비전임 대학교양교육 담당교원 역량강화 확대 : 교수법 온라인 수강 및 동영상 강의 제작비

지원

- 교양교육 질 관리 : 교과목별 단위 CQI 작성, 질 관리 환류 진행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대학교양교육 발전계획 정비, 인프라 개선, 교양교육 
브랜딩

교양교육과정 개발·운영:교과&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교양 담당 교수(teaching)역량 강화 및 교육의 질 관리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32 ❙

 세부과제명 

: 혁신모델 맞춤형 스마트 학습존 구축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역량기반 인재 양성을 위해 캠퍼스 내 공간혁신을 통한 혁신수업 운영 필요

○ 혁신적인 수업 운영을 위한 제도 마련 및 운영 지원을 통해 교수자의 교육역량 향상 및 학습자 

중심의 혁신적 교수법에 대한 요구 충족

○ 기존의 획일적이고 정형화된 공간을 다양한 교수법 활용이 가능한 공간으로 제작하여 다목적 

공간 마련

○ 혁신모델에 기반한 융합체험형 인프라 구축

추진일정

추진항목

추진내용 및 방법

추진일정

‘22 ‘23 ‘24

혁신모델 맞춤형 

스마트환경 

인프라 구축

Ÿ 정형화된 강의실을 탈피하여 첨단환경 학습존 조성 및 구축

Ÿ 디지털 실습 교육을 위한 환경구축 및 고도화

Ÿ 스마트 학습존 연계 기자재 확보 및 운영

기대효과

○ 4차 산업혁명시대 선도대학으로 나아가기 위한 스마트 학습환경 기반을 조성하여 학습자 중

심의 학문 생태계 마련 

○ 다양한 스마트환경 활용 교수방법의 실천이 가능한 효과적·효율적인 학생중심의 교육기반 확보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 융합체험형 교육 및 스마트환경 현장중심 교육을 위한 미래형 강의실 및 캠퍼스 고도화

- 기존 캠퍼스 공간을 혁신수업을 위한 새로운 공간(스마트 학습존)으로 조성

○ 학생의 질 높은 스마트 환경 현장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융합 교육이 가능한 실험·실습 기자재 

확보 및 실습 운영 

- 스마트 환경 기반 및 현장 맞춤형 교육과정 운영에 필요한 기자재 지원 및 실험·실습 기자재 

지원으로 실무능력 배양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33 ❙

○ 장소에 구애받지 않고 실습이 가능한 스마트러닝 실습강의실 체제 구축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정형화된 강의실을 탈피하여 첨단환경 학습존 조성 및 
구축 마련

디지털 실습 교육을 위한 환경구축 및 고도화추진

스마트 학습존 연계 기자재 확보 및 운영

1.3.1.3.

세부내용 

2 : 교수-학습 지원 및 교육의 질 관리 고도화

. 추진배경 및 목표

○ 미래교육 수요자 세대 요구에 부합하고, 급변하는 미래사회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대학의 지원 전략 혁신 필요

○ 주제와 대상별 요구 수준에 맞춘 교수-학습 지원 및 e러닝 코스웨어 체계 구축

○ 데이터 기반 교수-학습역량지원을 강화하고 디지털 기반 교수-학습 인프라를 구축하여 체계적

으로 교육의 질 관리 고도화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34 ❙

. 추진계획

 세부과제명 

: 교수-학습 프로그램 및 지원 체계화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수요자 중심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교수-학습역량 관리를 위한 전산관리시스템 구축 및 활용

○ 교과목 운영기반 맞춤형 교수-학습법 지원

○ 디지털기반 교수-학습 운영이 실현화되도록 교수법 선제 교육 및 교과목연계구축 

추진일정

추진
항목

추진내용 및 방법

추진일정

‘22

‘23

‘24

교수
지원

Ÿ 교육역량: 티칭포트폴리오, 좋은수업을 위한 컨설팅 등 교육관련 역량 지원

Ÿ 교수역량: 메타버스, 디지털 기반 교수법, 교수학습공동체 등 교수법 역량 지원

Ÿ 소통역량: 우수강의 & 상담사례 공유 등 교수, 재학생간의 소통역량 지원 

학생
지원

Ÿ 기초학습 문해역량: 고등교육 수혜를 위한 기본학습역량 지원

Ÿ 맞춤형 학습: 집중케어 등 대상자 맞춤형 학습지원

Ÿ 전공지원 학습: 학습&교과 멘토링 등 전공관련 학습지원

Ÿ 교양지원 학습: 재학생의 교양역량강화를 위한 지원

기대효과

○ 개별 맞춤형 학생지원 서비스를 개발의 근거로 마련하여 과학적, 체계적인 학생지도 시스템 구축

○ 대학이 제공하고 있는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기 위한 환류체계를

통해 교수

-학습 프로그램의 교육의 질 관리 실현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 수요자 중심 교수-학습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 교내 프로그램 참여 학생 대상 만족도 설문 등 의견 검토
- 교수, 학생 요구사항 내용 분석, 요구를 수용한 교수-학습지원 프로그램 개선·운영
- 대상별 프로그램 및 권장이수 로드맵 개선 : 교원의 경력주기별 교수(Teaching)역량, 학생의 

학년별 학습

(Learning)역량, 학생 맞춤형 특화 프로그램 등 

○ 교수-학습역량 관리를 위한 전산관리시스템 구축 및 활용

- 교수자 대상 e-티칭 포트폴리오, 학생 대상 e-학생 포트폴리오 구축 활용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35 ❙

○ 교과목 운영기반 맞춤형 교수-학습법 지원

- T(Teaching ; 교수)-C(Course ; 교과목)-L(Learning; 학습)연계지원 프로그램 개선 정비
- T-C-L 주제사례 : 블랜디드 러닝 기반 학습, 메타버스 기반 학습, 팀 기반 학습, 문제 중심학습,

플립러닝

, 사례 중심학습, 융합교수법 등 

- 교과목 운영 과정 및 결과를 활용한 수업연구, 학술발표, 학술논문 작성 등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수요자중심 교수-학습 프로그램개발 및 운영

교수-학습 역량관리 체계구축 활용

교과목 운영 연계 교수-학습법 지원

 세부과제명 

: 디지털 기반 인프라 구축 및 지원 체계화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코로나19 및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한 원격수업 운영 등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학습관리

시스템

(LMS) 도입 및 고도화

○ 디지털 기반 e-러닝 코스웨어 및 메타버스 기반 강의 & 블랜디드 러닝 체계화로 목적과 수준에

맞는 콘텐츠 개발

·활용

○ 코스, 단위별 학습지원을 위한 디지털 기반 e-러닝 학습자료 유형화, 자료 개발 및 활용사례 공유

○ 디지털 기반 e-러닝과 스마트러닝 연구·지원 전문 인력과 환경 인트라 구축 및 질 관리 체계 운영

추진일정

추진항목

추진내용 및 방법

추진일정

‘22 ‘23 ‘24

코로나19 및 미래 환경변화 

대응학습관리시스템(LMS) 구축

Ÿ 원격수업 운영 등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학습관리시스템(LMS) 도입 및 고도화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36 ❙

기대효과

○ 코로나19 및 미래 교육환경 변화에 대응한 원격수업의 교육의 질 개선

○ 디지털 기반 e-러닝 및 메타버스 기반 교수의 다양화 및 활용 편의성 제고

○ 디지털 기반 스마트러닝 환경 학습자 활동 활성화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 코로나19 및 미래환경변화에 대응한 원격수업 운영 등 교육의 질 개선을 위한 학습관리시스템

(LMS)구축 및 도입

○ 디지털 기반 e-러닝 코스웨어 및 메타버스 기반 강의 & 블랜디드 러닝 체계화 및 원격강좌 

콘텐츠 개발

·활용

- e-러닝 목적과 수준에 따라 코스웨어 및 메타버스 기반 강의 & 블랜디드 러닝 설계 체계화
- 전문대 협의회 주최 메타버스 기반 컨소시엄 사업 지속적으로 참여 및 확대

○ 디지털 기반 e-러닝 학습자료 체계화 및 활용사례 공유

- 우리대학 디지털 기반 e-러닝 학습자료 유형과 활용 현황 분석 : K-MOOC자료, LMS자료, 학습

보조형 강좌 등

- 목적과 자료 유형(내용자료, 방법자료)에 따른 분류 및 관리기준 도출
- 디지털 기반 e-러닝 학습자료 유형별 콘텐츠 개발, 자료관리, 활용, 성과확산 계획수립 및 운용

○ 디지털 기반 e-러닝과 스마트러닝 연구·지원 인프라 구축 및 질 관리 환류

- 디지털 기반 e-러닝 요구분석, 교수-학습 지원, 질 관리를 담당할 전문조직과 인프라 구축·활용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코로나19 및 미래환경변화에 대응한 학습관리시스템 
(LMS) 구축

디지털기반 e-러닝 코스웨어 및 메타버스기반 강의 & 
블랜디드 러닝 체계화, 콘텐츠 개발·활용

디지털기반 e-러닝 학습자료 활용사례 공유 및 활성화

디지털기반 e-러닝/스마트러닝 인프라 개선 및 질 관리

추진항목

추진내용 및 방법

추진일정

‘22 ‘23 ‘24

디지털 기반 e-러닝 체계화

Ÿ 디지털기반 e-러닝 코스웨어 및 

메타버스기반 강의 & 블랜디드 러닝 체계화 

디지털 기반 e-러닝 학습자료 공유

Ÿ 디지털기반 e-러닝 학습자료 및 

메타버스기반 교수 활용사례 공유 및 활성화

디지털 기반 스마트러닝 질 관리

Ÿ 디지털기반 e-러닝/스마트러닝 인프라 개선 

및 질 관리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37 ❙

 세부과제명 

: SUCCA 핵심역량 인증제 고도화 및 교육의 질 관리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학생역량 차원의 SUCCA(Suwon Women’s University Core Competence Assessment) 핵심

역량 인증제 체계화 및 성과 분석

○ 핵심역량 인증제에 기반한 비교과 교육과정을 통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 양성을 도모하며

비교과 교육과정 연계 인증제 체계화 및 성과 분석

○ 학생 중심의 교육성과 진단 및 환류를 토대로 데이터 기반 성과관리 모델 개발

추진일정

추진항목

추진내용 및 방법

추진일정

‘22 ‘23 ‘24

SUCCA 핵심역량 인증제와 디지털 

배지 개발 연계 운영 고도화

Ÿ 핵심역량 인증제 운영 및 성과분석
Ÿ 디지털 배지개발 운영

비교과 교육과정 연계 인증제 운영

Ÿ 비교과 교육과정 연계 인증제 운영 및 

성과분석

학생중심의 교육성과 관리

Ÿ 학생 중심의 교육성과 진단 및 환류

데이터 기반 대학성과관리 모델 구축

Ÿ 데이터기반 대학성과관리 모델 기반 구축

기대효과

○ 대학의 교수·학습 정책에 부합하는 교과목 및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질 관리 및 인증 평가실시

○ 핵심역량 인증제도 재정립 및 핵심역량 인증 평가방법 타당성 제고

○ 디지털 배지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및 역량을 관리하는 핵심역량 인증체제 고도화 마련

○ 교육성과 및 수요자 만족도 개선

○ 데이터 기반 대학성과관리 고도화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38 ❙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 학생역량 차원의 SUCCA(Suwon Women’s University Core Competence Assessment) 핵심

역량 인증제 체계화 및 성과 분석

- 핵심역량 인증체계 수정 개발 및 운영
- 핵심역량 인증제의 운영성과 및 효과성 분석 보고서 발간
- 핵심역량 인증제 결과물 및 우수사례 도출
- 최근 미국과 영국에서 활용되고 있는 역량기록 디지털 배지를 대학의 상황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방안 기초연구

- 디지털 배지 도입 및 활용 방안에 관한 홍보 컨텐츠 제작
- 연구된 내용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기반 디지털 배지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및 역량을 관리

하는 핵심역량 디지털 배지 교육체제 마련

○ 비교과 교육과정 연계 인증제 체계화 및 성과 분석

- 비교과 교육과정 인증제의 교내 제도화 방안 정립 : 유관 업무와 유기적 연계

○ 학생중심의 교육성과 진단 및 환류

- 데이터기반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 관리체계 수립, 학생 핵심역량진단 및 환류
- 만족도 조사결과 공유를 위한 환류체계 다각화,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 및 환류
- 우리대학의 학생중심 교육성과 및 교육수요자 만족도 관련 조사·분석 주요사례총괄: 학생핵심

역량진단

, 교육수요자만족도, 수업만족도, 프로그램 만족도 등

- 조사·분석 진행 절차 및 관리체계 총괄

○ 데이터기반 대학의 성과관리 모델 개발

- 기획처 산하 평가팀 주축으로 데이터 기반 성과관리 위원회(가칭)구성 및 발족
- 데이터 기반 대학교육 질 관리 및 평가팀 운영사례 벤치마킹 실시, 보고서 제작
- 우리 대학에 적합한 성과관리 모델 개발
- 성과관리 모델 운영을 위한 추진방안 수립(조직, 인력, 예산, 업무 등)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SUCCA 핵심역량 인증제 체계화 및 성과 분석

비교과 교육과정 연계 인증제 체계화 및 성과 분석

학생중심의 교육성과 진단 및 환류

데이터 기반 대학성과관리 모델 기반 구축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39 ❙

1.3.1.4.

세부내용 

3 : 전공 기반 비교과 프로그램 특화 및 내실화

. 추진배경 및 목표

○ 대표 브랜드 프로그램 육성, 학생 및 사회수요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학생역량 향상 및 

대학 이미지 제고 

○ 비교과 프로그램 평가 및 질 관리 체계화를 통한 학생 만족도 향상

○ 차세대 학사행정 시스템을 통한 비교과 통합관리 전산 체계 고도화로 학생 접근성 및 운영의 

효율성 제고

. 추진계획

 세부과제명 

: 교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체계구축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정규과목과 병행한(Cocurricular) 비교과 교육과정 고도화를 통한 미래산업 융합형 인재 양성. 이를

통해 비교과 교육과정의 운영 방향을 양적인 측면에서 질적 성과 향상으로 전환하는 체계 구축

○ 학과주도형 교과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을 지속적으로 확대실시 할 수 있도록 통합

체계 구축 및 지원 

: 2021년도 부전공 자격제 프로그램(2개 학과 50명 이수), 2021년도 자격기반

프로그램

(3개 학과 109명 이수) 체계화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40 ❙

추진일정

추진항목

추진내용 및 방법

추진일정

‘22 ‘23 ‘24

교과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체계마련 

Ÿ 교과연계 비교과 교육과정 제도도입 & 운영기반 마련
Ÿ 부전공자격제 및 자격기반 비교과 통합 지침 마련

교과연계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Ÿ 교과연계 비교과 교육과정 홍보 및 설명회 개최
Ÿ 교과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심의/선정

교과연계 비교과 

교육과정 평가개선

Ÿ 교과연계 비교과 교육과정 자격검정 및 취득기준 마련
Ÿ 관련 위원회 심의를 통한 이수증 발급 및 이수학생 만족도 조사

기대효과

○ 학과 및 산업체 현장이 요구하는 수준의 직무수행역량을 갖춘 학생역량 증대
○ 정규교육과정과 비정규 교육과정을 연계한 프로그램을 통하여 자격증 기반 취업역량을 갖춘 

교육 실현

○ 학과의 개별 학습자의 니즈에 맞는 맞춤형 교과연계 비교과 교육과정 및 진로개발 가능
○ 산업계 관점과 사회수요 반영을 통한 실무 중심 교육 실현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 교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체계마련

- 제도 도입 및 운영기반을 마련하기 위하여 규정 및 지침 마련
- 기존 부전공 자격제 운영지침과 자격기반 비교과 운영지침을 수정하여 교과 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통합 지침 마련

○ 교과 연계 비교과 교육과정 개발 

- 교과 연계 비교과 교육과정 홍보 및 설명회 개최를 통해 기존에 부전공 자격제 프로그램과 

자격기반 비교과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던 학과 이외에 추가적인 운영학과 확대

○ 교과 연계 비교과 교육과정 평가개선

- 교과 연계 비교과 교육과정 자격검정 기준을 마련하고 취득 기준을 마련하여 이수 학생 수를 

확대하고 이수율 상승 

- 관련 위원회의 심의를 통하여 체계적인 이수증 발급 마련 및 이수 학생들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환류체계 마련

- 교과 연계 비교과 교육과정의 성과평가를 위한 워크숍 운영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교과연계 비교과 교육과정 제도도입 & 운영기반 마련

교과연계 비교과 교육과정 홍보및 설명회 개최
교과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심의/선정

교과연계 비교과 교육과정 자격검정 및 취득기준 마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41 ❙

 세부과제명 

: 수요자 중심 학과연계 대표 브랜드 프로그램 개발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학과연계 대표브랜드 프로그램 육성을 위한 프로그램 선정 및 질 관리체계 수립

- 대학 비전, 중장기 전략 등을 반영한 대표 프로그램 선정
- 학생역량 향상 및 대학 이미지 제고를 위한 대표 프로그램의 지속적 질 관리 

○ 대학 중장기 발전계획에 부합하는 수요자 중심 학과연계 프로그램 개발·운영

- 프로그램 개발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학생 핵심역량 수준, 사회수요 등 분석
- 학생의 성취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수요자 중심 학과연계 프로그램 콘텐츠 개발연구 및 운영

추진일정

추진항목

추진내용 및 방법

추진일정

‘22 ‘23 ‘24

프로그램 선정 및 질 관리

Ÿ 프로그램 개발 TFT 구성·운영

대표 프로그램 질 관리

Ÿ 대표 프로그램 질 관리 방안 연구 및 질관리 추진

프로그램 개선 및 운영지원

Ÿ 프로그램콘텐츠 개발연구 및 개선& 운영지원

기대효과

○ 학과연계 대표 비교과 프로그램 선정 및 지속적 질 관리를 통한 이미지 제고

○ 수요자 중심 학과연계 프로그램 개발·운영을 통한 학생역량 향상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 학과연계 대표 프로그램 선정 및 질 관리/ 프로그램 개선 및 개발 방안 TFT 구성·운영

- 전공연계한 학과 학습, 진로 및 심리상담, 취·창업 영역 등 대학을 대표하는 프로그램 선정
- 재학생의 성취동기를 향상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 개선 및 개발 영역 선정

○ 학과연계 대표 프로그램 질 관리 방안 체계 수립을 위한 연구 수행 

- 비교과 프로그램 종합평가 결과, 프로그램 운영 결과보고 등 프로그램 운영 성과 분석
- 전공연계 대표 프로그램 선정 및 질 관리 방안 연구보고서 작성, 운영부서 협의 추진

○ 수요자 중심 학과연계 프로그램 개선 및 콘텐츠 개발의 타당성 확보를 위한 연구 수행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42 ❙

○ 선정된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을 위한 운영부서 컨설팅 실시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Ÿ 학과연계 프로그램 선정 및 질 관리
Ÿ 프로그램 개발 TFT 구성·운영

Ÿ 학과연계 대표 프로그램 질 관리 방안 연구

Ÿ 프로그램 개선 및 콘텐츠 개발연구 & 운영지원

 세부과제명 

: 비교과 프로그램 질 관리 및 통합관리 고도화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비교과 프로그램 평가/분석 실시, 조정

- 비교과 프로그램 인증평가 도입을 통한 CQI 체계 고도화
- 비교과 교육과정 위원회 운영, 비교과 프로그램 컨설팅 및 특강 등의 운영 지원
- 균형적인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프로그램 개폐 관리 체계화 

○ 비교과 통합관리 시스템 고도화

- 비교과 통합관리 시스템의 지속적 개선을 통한 시스템 활용성 제고
-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효율화를 위한 관리시스템 고도화
- e-학생 포트폴리오, e-핵심역량진단시스템 등 학생이력관리시스템 연계기능강화

추진일정

추진항목

추진내용 및 방법

추진일정

‘22 ‘23 ‘24

비교과 교육과정 CQI체계확립

Ÿ 비교과 교육과정 CQI 체계 확립 및 고도화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지원

Ÿ 비교과 교육과정 위원회 운영 및 총괄 운영지원

비교과프로그램 관리 체계화

Ÿ 비교과 프로그램 개폐 관리 체계화

비교과 통합관리 시스템 활용

Ÿ 비교과 교육과정 통합관리 시스템 활용성 제고

비교과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 

고도화

Ÿ 비교과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 고도화 및 학생 

이력관리 시스템 연계기능 강화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43 ❙

기대효과

○ 비교과 교육과정 CQI 체계 확립 및 고도화를 통한 우수 프로그램 확대 

○ 비교과 프로그램 질 관리를 통한 학생 핵심역량 향상 및 만족도 증대

○ 비교과 통합관리 시스템 개선을 통한 학생 접근성 및 운영 효율성 증대

○ 학생 이력관리 통합체계 구축을 통한 학내 시스템 간 연계 강화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 비교과 프로그램 교육과정 CQI 체계 확립 및 고도화

- 비교과 프로그램 종합평가, 인증평가 체계 수립 및 설명회 등 비교과 프로그램 질 관리를 위한

환류체계 고도화 

○ 비교과 교육과정 위원회 운영 및 총괄지원 체계 확립 

- 비교과 프로그램 평가 체계 수립 및 인증평가 관련사항 심의
- 학습, 진로 및 심리상담, 취·창업 등 비교과 교육과정 분과 위원회 운영 고도화

○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지원

- 비교과 프로그램 컨설팅 확대운영, 비교과 프로그램 체계화 연구 및 홍보물제작 
- 진로설계, 진로·취업역량 진단검사 시스템 고도화 및 메뉴얼 제작
-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개선을 위한 타 대학 벤치마킹

○ 비교과 프로그램 개폐 관리 체계화

- 신규 프로그램 개발 요건 정립 및 개발 타당화 검토
- 신규 및 폐지 프로그램 관리체계 정립 및 유관부서 협의 운영

○ 학생 접근성 제고를 통한 비교과 통합관리 시스템 활용강화

- 차세대 학사행정시스템을 활용한 비교과 통합관리 시스템 고도화를 위한 요구조사 실시
- 시스템 활용률 제고를 위한 학생 대상 시스템 홍보 활동 강화 

○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 효율화를 위한 관리 시스템 고도화 및 학생이력관리 시스템 연계기능 

강화 

- 사용자 중심의 프로그램 운영 관리 메뉴 개선
- 프로그램 평가의 효율화를 위한 평가 관리 시스템 구축
- 프로그램 운영 담당자 대상 시스템 활용 설명회 개최
- e-학생 포트폴리오, 마일리지, e-핵심역량진단 및 관리 시스템 연계기능 강화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비교과 교육과정 CQI 체계 확립 및 고도화

비교과 교육과정 위원회 운영 및 총괄 운영지원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44 ❙

1.3.1.5.

세부내용 

4 : 학생성공·학생행복 지원시스템 혁신

. 추진배경 및 목표

○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해 학생의 자기 주도적 참여와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학생중심의 지원체계 구축 필요

○ 학생성공 및 학생행복 제고를 위한 디지털 기반 학생지원 서비스 구축

○ 대학생활 적응력 향상을 위한 심리·정서 및 마음건강 지원 체계 구축

○ 학생의 성공적인 사회 진출을 위한 진로·취업·창업지원 프로그램 내실화

○ 학생 맞춤형 역량개발을 위한 학생주도형 학생역량 관리시스템 체계화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비교과 프로그램 개폐 관리 체계화

비교과 교육과정 통합관리 차세대시스템 활용성 제고

비교과 프로그램 관리 시스템 고도화 및 학내 
학생이력관리 시스템 연계기능 강화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45 ❙

. 추진계획

 세부과제명 

: 학생 맞춤형 진로·취업·창업 역량강화 지원 고도화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미래설계 역량 함양을 위한 학생 맞춤형 진로 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핵심역량에 기반한 실전 맞춤형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취·창업 경쟁력 강화

○ 학생의 성공적인 사회진출을 위한 성장과 실전에 맞춰진 내실 있는 진로·취업·창업 지원 체계 

구축

○ 디지털 기반 ‘역량 및 학습수준 진단-수준별 맞춤 지원-학생성장’의 선순환 체제 구축

추진일정

추진항목

추진내용 및 방법

추진일정

22

23

24

수원여대형 

진로탐색 모델

개발 및 운영

Ÿ 교과 및 비교과 연계 진로탐색 로드맵 개발 및 운영
Ÿ 진로검사 기반 맞춤형 진로상담 및 지도 확대
Ÿ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고도화 및 매뉴얼 개발
Ÿ 진로탐색 캠프 개발 및 운영
Ÿ 전공 부적응 학생을 위한 힐링 진로체험 캠프 개발 및 운영

학생 맞춤형 

취·창업역량개발 지원

Ÿ 전공 맞춤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
Ÿ 수준별 창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취·창업 실전준비 

지원 체계 강화 및 

고도화

Ÿ 취업 희망카드 연계 맞춤형 취업상담 체제 구축
Ÿ 현장 중심의 단계별 맞춤 취업 준비 지원
Ÿ 취·창업 실전준비지원 강화

학생이력관리 및 

스마트 앱 시스템 

고도화

Ÿ 심리·학습·진로·취업·창업 진단검사 시스템 구축
Ÿ 진로·심리 상담시스템 구축
Ÿ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 추천 및 관리시스템 구축
Ÿ 실전 취업준비 및 취업정보제공 시스템 고도화
Ÿ 학생성공 포트폴리오 관리 시스템 고도화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46 ❙

기대효과

○ 학생의 진로설계 능력 신장 및 적성과 소질에 맞는 진로 탐색의 기회 제공

○ 실전에 맞춰진 취·창업지원체계 구축을 통한 취·창업 성과 제고

○ 양질의 취·창업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학생의 핵심역량 및 학습성과 신장

○ 학생이력관리 시스템과 스마트 앱 시스템 고도화를 통한 통합 학생주도형 역량관리 체계 구현

○ 학생 웹서비스 고도화를 통한 학생들의 진로·취·창업지원 서비스 접근성 및 참여도 제고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 수원여대형 진로탐색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입학시점부터 졸업시점까지 교과 및 비교과 연계 진로탐색 로드맵 개발
- 진로검사 기반 맞춤형 진로상담 및 지도 확대
- 진로집단상담 프로그램 고도화 및 매뉴얼 개발
- 진로탐색 캠프 프로그램 개발
- 전공 부적응 학생을 위한 힐링 진로체험 캠프 프로그램 개발

○ 학생 맞춤형 취·창업역량개발 지원

- 전공 맞춤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
- 수준별 창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 취·창업 실전 준비 지원 체계 강화 및 고도화

- 취업 희망카드 연계 학생별 맞춤 취업상담 체제 구축
- 현장 중심의 단계별 맞춤 취업 준비 지원
- 취·창업 실전 준비 지원 강화

○ 학생이력관리 및 스마트 앱 시스템 고도화

- 진단검사 기반 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 추천 및 관리 시스템 구축
- 실전 취업준비 및 취업정보제공 시스템 고도화
- 학생성공 포트폴리오 관리 시스템 고도화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수원여대형 

진로탐색 모델

개발 및 운영

Ÿ 교과 및 비교과 연계 진로탐색 

로드맵 개발

Ÿ 진로검사 기반 맞춤형 진로상담 및 

지도 확대

Ÿ 진로탐색 캠프·힐링 진로체험 캠프 

프로그램 개발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47 ❙

 세부과제명 

: 대학적응력 향상을 위한 심리·정서 지원 체계화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심리·정서 상담 지원을 위한 시스템 체계화

○ 학생 맞춤형 대학적응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고도화·운영

○ 마음건강 지원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운영

추진일정

추진항목

추진내용 및 방법

추진일정

‘22 ‘23 ‘24

심리·정서 상담 

지원을 위한 

시스템 체계화

Ÿ 책임 지도교수 상담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체계구축 및 운영
Ÿ 상담 지원 인력 인프라 구축 및 전문성 강화 교육 체계화
Ÿ 디지털 상담 및 마음힐링 공간구축

학생 맞춤형 

대학적응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Ÿ 학과 및 학년 맞춤형 심리·정서 역량강화 프로그램 개발·고도화 

및 운영

Ÿ 심리·정서 문제 유형별 맞춤형 프로그램 개발·고도화 및 운영
Ÿ 학업중단예방 프로그램 개발·고도화 및 운영

마음건강 지원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운영

Ÿ 마음건강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Ÿ 고위험군 학생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Ÿ 위기학생을 위한 One-Stop 지원체계구축 및 운영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학생 맞춤형 

취·창업역량개발 

지원

Ÿ 전공 맞춤 취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및 지원

Ÿ 수준별 창업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취·창업실전준비 

지원 체계 강화 

및 고도화

Ÿ 취업 희망카드 연계 맞춤형 

취업상담 체제 구축

Ÿ 현장 중심의 단계별 맞춤 취업 

준비 지원

Ÿ 취·창업 실전준비지원 강화

학생이력관리 

및 스마트 앱 

시스템 고도화

Ÿ 진단검사 시스템 구축·맞춤형 

비교과 프로그램 추천 및 
관리시스템 구축·학생성공 
포트폴리오 관리 시스템 고도화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48 ❙

기대효과

○ 심리·정서 상담 지원체계 시스템 체계화를 통한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력 향상

○ 심리·정서 상담 프로그램 개발·고도화 및 운영을 통한 학생 맞춤형 심리·정서 지원 구현

○ 마음건강 지원체계 구축을 통한 위기학생 조기 개입 및 건강한 캠퍼스문화 조성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 심리·정서 지원을 위한 시스템 체계화

- 책임지도교수 및 상담지원 인력 상담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안 도출 및 교육실시
- 학생이력관리 시스템 내 학생상담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 화상상담, 사이버 상담 등의 지원을 위한 디지털 상담 및 마음힐링공간 구축

○ 학생 맞춤형 대학적응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대학생활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계획수립·운영·평가
- 프로그램 공유 확산을 위한 매뉴얼 제작

○ 마음건강 지원을 위한 시스템 구축 및 운영

- 마음건강 증진 프로그램·고위험군 학생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위기학생 One-Stop 지원체계 구축을 위한 위기학생 지원 매뉴얼 제작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심리·정서 

지원 시스템 

체계화

Ÿ 책임지도 교수 및 상담 지원인력 

상담역량 강화 교육안 도출 및 교육실시

Ÿ 학생상담 통합관리 시스템 구축

Ÿ 디지털상담 및 마음힐링공간 구축

학생 맞춤형 

대학적응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운영

Ÿ 대학생활 적응력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요구도 조사 및 계획 
수립·운영·평가

Ÿ 프로그램 공유 확산을 위한 매뉴얼 

제작

마음건강 

지원을 위한 

시스템 

구축·운영

Ÿ 마음건강 증진 프로그램·고위험군 

학생 지원 프로그램 개발·운영

Ÿ 위기학생을 위한 One-Stop 

지원체계 구축 및 대처 매뉴얼 제작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49 ❙

 세부과제명 

: 학생행복 지원서비스 혁신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소속감 향상을 위한 학생 맞춤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학생행복충전 지원서비스 구축 및 운영

○ 자기주도학습지원 및 디지털 One-Stop 지원서비스 체계 구축·운영

추진일정

추진항목

추진내용 및 방법

추진일정

‘22 ‘23 ‘24

소속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Ÿ 신입생 적응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Ÿ 소수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Ÿ 성인학습자 전형 학생 대학생활 적응 지원
Ÿ 학생자치활동 활성화를 위한 지원 강화

행복충전 지원서비스 구축 및 운영

Ÿ 마음건강 지원을 위한 행복충전 공간구축 
Ÿ 행복충전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자기주도학습지원 및 디지털 

One-Stop 지원서비스 체계 

구축·운영

Ÿ 자기주도학습지원을  위한  러닝커먼스  공간 

및 e-커머스 시스템 구축 및 운영

Ÿ 디지털  One-Stop  학생서비스를  위한  챗봇 

서비스 구축 및 운영

기대효과

○ 학생성공을 위한 자기주도적 참여와 다양한 경험 제공

○ 학생의 대학생활 적응력 및 소속감 향상과 만족도 제고

○ 신입생 및 재학생 중도탈락률 감소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50 ❙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 소속감 향상을 위한 학생 맞춤 지원 프로그램 구축 및 운영

- 신입생 소속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 소수 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및 교육 인프라 구축 
- 성인학습자 전형 학생 지원을 위한 제도 마련
- 학생자치 활동 지원 강화

○ 행복충전 지원서비스 구축

- 마음건강 지원을 위한 행복충전 공간 구축
- 행복충전 지원 프로그램 개발

○ 자기주도학습 지원·디지털 One-Stop 지원 서비스 체계 구축

- 자기주도학습 지원을 위한 러닝커먼스(Learning commons) 공간 및 e-커머스 시스템 구축
- 챗봇 서비스 구축을 위한 요구도 조사, 우수기관 벤치마킹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소속감 향상 

프로그램 구축 

및 운영

Ÿ 소속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현황 및 요구도 조사, 우수기관 
벤치마킹

Ÿ 신입생 소속감 향상 프로그램 개발

Ÿ 소수학생 소속감 향상 프로그램 

운영

Ÿ 성인학습자 전형 학생 지원을 위한 

제도 마련

Ÿ 학생자치 활동 지원 강화

행복충전 

지원서비스 

구축 및 운영

Ÿ 마음건강 지원을 위한 행복충전 

공간구축

Ÿ 행복충전 지원 프로그램 개발

자기주도학습 

지원·디지털 

One-Stop 지원 

서비스 체계 

구축 및 운영

Ÿ 러닝커먼스 공간 및 e-커머스 

시스템 구축

Ÿ 챗봇 서비스 구축을 위한 요구도 

조사, 우수기관 벤치마킹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51 ❙

1.3.2.

산학협력 혁신전략

1.3.2.1.

총괄

추진목표

수원여대형 N-WAVE : 산학연 인프라 확장 및 산학연 친화형 고도화를 통한 혁신 









신산업 기반 산학연계 현장중심 창의 융합형 

인력양성 및 친화형 인프라 강화 혁신

산학연계 취·창업 역량강화 모델 혁신

Ÿ 현장중심 창의융합형 교육과정 운영 

고도화

Ÿ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
Ÿ 특화분야 중심 ICC 기반한 산학연계 

교육환경 강화

Ÿ 산학연 연계 친화형 교육환경 구축

Ÿ 산학 연계를 통한 취·창업 역량 강화 모델 

고도화

- 산업체 인사 활용 취업 프로그램 운영
- 창업제품 개발 지원

Ÿ 교원·학생의 실무역량 강화를 위한 친화형 

프로그램 운영








Ÿ 산학협력 혁신 전략 추진 계획

세부내용

산학협력 기반 현장 친화형 협업 생태계 조성 및 구축 

세부과제명

추진과제명

재정투자계획

1. 신산업 기반 산학연계 

현장중심 창의 융합형 
인력양성 및 친화형 인프라 
강화 혁신

 현장중심 창의융합형 교육과정 혁신

582.6 백만원

 신산업 기반 산학연 거버넌스 구축

 산학연 연계 친화형 교육환경 구축

2. 산학연계 취·창업 역량강화 

모델 혁신

 산학 연계 취·창업 역량강화 모델 고도화

92.5 백만원

 산학 연계 교수·학생 실무 역량 강화

 취·창업 혁신공간 구축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52 ❙

1.3.2.2.

세부내용 

1 : 산학협력 기반 현장 친화형 협업 생태계 조성 및 구축 

. 추진 배경 및 목표

○ 신산업 성장에 부응하고 미래사회에 적합한 융복합 인재양성을 위한 대학의 교육환경 구축 

및 고도화 필요

○ 산학 연계 및 산업체 수요 맞춤 현장 친화형 교육 과정 운영 및 강화

○ 현장중심 창의융합형 산업체 인력양성, 채용연계(우대) 교육과정을 통한 인증제 활성화 및 취업

역량 강화 

 세부과제명 

: 신산업 기반 산학연계 현장중심 창의 융합형 인력양성 및  친화형 

인프라 강화 혁신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산업체 수요맞춤형 교육과정 운영 강화

○ 미래사회에 적합한 창의융합형 교육과정 고도화 운영

○ 특화분야 중심 기업지원센터(ICC) 설립 및 운영

○ 산학 연계 친화형 인프라 구축을 위한 가족회사제도 강화와 등급제 운영

○ 현장기반 실무강화를 위한 산학연 연계 친화형 교육환경 구축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53 ❙

추진일정

추진항목

추진내용 및 방법

추진일정

‘22 ‘23 ‘24

현장중심 창의융합형 

교육과정 혁신

Ÿ 캡스톤디자인, 주문식교육과정, 표준현장실습학기제 

등 정규 교육과정 운영

Ÿ 산학공동프로젝트 등 비정규 교육과정 운영 
Ÿ 산학연계 학습 성과 공유제도 마련

Ÿ 산업체 위탁반, 계약학과 운영

특화분야 중심 ICC 기반한 

산학연계 교육환경 강화

Ÿ 특화분야 중심 ICC 설립, 인프라 구축, 운영 등

신산업 기반 산학연 

거버넌스 구축

Ÿ 가족회사제도 강화 및 등급제 운영
Ÿ 산학협력 마일리지 도입 및 운영 
Ÿ 학과 산학협력촉진위원회 고도화
Ÿ 산학연 협의체 구성 및 운영

산학연 연계 친화형 

교육환경 구축

Ÿ 산업체 미러형 실습실 및 기자재 구축
Ÿ 현장실습 온라인 시스템 구축

기대효과

○ 현장중심 창의융합형 정규, 비정규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학생 취업역량 강화

○ 산업체 수요 맞춤형, 채용연계 교육과정 운영을 통한 대학 취업률 강화 

○ 특화분야 중심으로 ICC 설립 및 ICC 연계 산학협력 연계 인프라 구축

○ 가족회사제도 고도화를 통한 산학협력 인프라 강화

○ 산학협력 마일리지 운영을 통한 산학 연계 프로그램 활성화

○ 산학연 연계 친화형 교육환경 구축을 통한 산업체 맞춤형 인재양성 강화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 현장중심 창의융합형 교육과정 운영 고도화

- 정규교육과정 운영: 캡스톤디자인, 주문식교육과정, 표준현장실습학기제 등 운영
- 비정규교육과정 운영: 산학공동프로젝트 운영 

○ 취업역량 강화를 위한 프로그램 운영

- 산학연계 학습 성과 공유제도 마련

○ 특화분야 중심 ICC 기반한 산학연계 교육환경 강화

- 대학 특화분야 선정 및 ICC 설립
- 지속가능한 ICC 운영을 위한 제도 및 조직 구성
- ICC 기반 내에서 운영 가능한 프로그램 개발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54 ❙

○ 신산업 기반 산학연 거버넌스 구축

- 가족회사 등급제 운영
- 산학협력 마일리지 도입 및 운영
- 학과 산학협력촉진위원회 고도화 운영
- 산학연 협의체 구성 및 운영

○ 산학연 연계 친화형 교육환경 구축

- 산업체 미러형 실습실 구축을 통한 현장중심형 교육과정 운영 강화
- 현장실습 온라인 시스템 구축을 통한 현장실습 활성화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현장중심 

창의융합형 

교육과정 혁신

Ÿ 캡스톤디자인, 주문식교육과정, 

표준현장실습학기제 등 정규 
교육과정 운영

Ÿ 산학공동프로젝트 등 비정규 

교육과정 운영 

Ÿ 산학연계 학습 성과 공유제도 마련

특화분야 중심 ICC 

기반한 산학연계 

교육환경 강화

Ÿ 특화분야 중심 ICC 설립, 인프라 

구축, 운영 등

신산업 기반 

산학연 거버넌스 

구축

Ÿ 가족회사제도 강화 및 등급제 운영

Ÿ 산학협력 마일리지 도입 및  운영 

Ÿ 학과 산학협력촉진위원회 고도화

Ÿ 산학연 협의체 구성 및 운영

산학연 연계 친화형 

교육환경 구축

Ÿ 산업체 미러형 실습실 및 기자재 구축

Ÿ 현장실습 온라인 시스템 구축

 세부과제명 

: 산학연계 취·창업 역량강화 모델 혁신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산학 연계 취·창업 역량 강화 모델 고도화

○ 교원·학생의 실무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산학 연계 현장 친화형 프로그램 운영

○ 체계적인 학생 취·창업 지원을 위한 혁신공간(Startup Zone & JOB Study Zone) 구축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55 ❙

추진일정

추진항목

추진내용 및 방법

추진일정

‘22 ‘23 ‘24

산학 연계 취·창업 

역량강화 모델 고도화

Ÿ 산업체 인사 활용 취업 프로그램
Ÿ 창업제품 개발 지원

산학 연계 교수-학생 

실무역량 강화

Ÿ 교원 산업체 직무연수, 교수-학생 동반 산업체 연수
Ÿ 산업체 탐방 프로그램 등 운영
Ÿ 산학협력 혁신 모델 개발 및 발굴 공모

취·창업 혁신공간 구축

Ÿ 취업 스터디 존(JOB Study Zone) 구축

Ÿ 창업 스타트업 존(Startup Zone) 구축

기대효과

○ 산업체 참여 확대, 산학 연계 프로그램 활성화를 통한 취·창업 확대 및 취·창업의 질 제고

○ 교원의 산업체 직무연수를 통한 실무능력배양 및 학생의 취업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양질의 

교육 운영

○ 학생의 현장 적응력 및 실무교육의 효과성 제고

○ 취·창업 혁신공간 구축을 통한 체계적인 학생 취·창업지원 및 취업률 제고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 산학 연계를 통한 취·창업 역량 강화 모델 고도화

- 산업체 인사 활용 취업 프로그램 운영(실전 맞춤 모의면접, 취업멘토링 등)
- 창업 시제품 개발 지원(창업전문가 멘토링, 개발아이템 권리화 지원 확대 등)

○ 교원·학생의 실무역량을 강화를 위한 현장 친화형 프로그램 운영

- 산업체 동향 파악, 현장의 전공지식 습득을 위한 교원 산업체 직무연수, 교수·학생 동반 산업체

연수 시행

- 산업체 탐방 프로그램, 전공 교육과정과 연계한 현장 체험학습 등 운영
- 산학협력 활성화를 위한 산학협력 혁신 모델 개발 및 발굴 공모과제 선정 수행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산학 연계 취·창업 

역량 강화 모델 

고도화

Ÿ 산업체 인사 활용 취업 

프로그램 운영

Ÿ 창업제품 개발 지원

산학 연계 교수-학생 

실무역량 강화

Ÿ 교원 산업체 직무연수, 

교수-학생 동반 산업체 연수

Ÿ 산업체 탐방프로그램 등 운영

Ÿ 산학협력 혁신 모델 개발 및 

발굴 공모 과제 선정 및 수행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56 ❙

1.3.3.

기타 혁신전략

1.3.3.1.

총괄

사업미션

수원여대형 N-WAVE : 평생교육기관 구축 및 글로벌 여성 인재양성 









대학-지역사회 협력기반 

고등교육 거점기관 구축

대학-지역사회 상생의 가치 

실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전공연계 해외 현장실무 

경험 및 해외 취업 지원

지역특성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운영 기반 구축

대학전공연계

지역 사회봉사 활동

전공연계 해외 현장실무 

경험 및 해외 취업 지원








Ÿ 기타 혁신 전략 추진 계획

세부내용 1.

대학-지역사회 협력 기반 고등교육 거점기관 구축

재정투자계획

과 제

지역 특성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운영 기반 구축

12.0백만원

Ÿ 지역사회 직업교육 수요 조사 및 분석을 통한 지역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개발 및 운영

Ÿ 성인친화형 직업교육 운영 교육 인프라 구축

세부내용 2.

대학 –지역사회 상생의 가치 실현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

재정투자계획

과 제

대학 전공 연계 지역 사회공헌 활동 

42.7백만원

Ÿ 지역 맞춤형 사회공헌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Ÿ 전공연계 사회봉사 활동 및 역량강화 프로그램 운영

세부내용 3.

전공연계 해외 현장실무 경험 및 해외 취업 지원

재정투자계획

과 제

전공연계 해외 현장 실무 경험 및 해외 취업 지원

150.0백만원

Ÿ 전공연계 해외 전공 연수 특화 프로그램 운영

Ÿ 글로벌 현장학습 프로그램 운영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57 ❙

1.3.3.2.

세부내용 

1 : 대학-지역 협력 기반 고등직업교육 거점 기관 구축 

. 추진 배경 및 목표

○ 정부의 전문대학에 대한 평생직업교육 기관으로의 전문대학 육성 정책 및 제도적 요구에 대한대응

○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산업과 직업구조 변화에 따른 고숙련 전문직업교육 확대 요구에 따른 평생

직업교육 체제로의 전환 필요

○ 지역 평생직업교육 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다양한 학습자 맞춤형 직업교육 프로그램 제공 필요

. 추진계획

 세부과제명 

: 지역 특성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운영 기반 구축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지역 지자체, 주민, 기관, 산업체 등의 수요조사를 통하여 요구를 분석, 지역 특화 및 맞춤형 평생

직업교육 분야 선정 업무 수행

○ 지역사회 수요조사를 통한 지역사회 맞춤형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지역 친화형 평생직업교육 운영 인프라 구축(개선)

○ 대학 성인학습자 전담 학위과정 연계 계속 교육

지역사회 분석, 수요조사

평생직업교육 분야 도출

직업교육 과정 개발 및 운영

Ÿ 지역사회 여건분석, 산업체 분석, 

지역주민  등  평생직업교육  수요
조사 실시

Ÿ 지역사회 수요조사 결과 분석

을 통한 지역 맞춤형 직업교육 
분야 도출

Ÿ 지역 특화분야 직업교육 및 

지역 수요 맞춤형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Ÿ 교육운영 교육환경 구축

추진 일정

추진항목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일정

‘22 ‘23 ‘24

지역사회 직업교육 수요조사

Ÿ 지역사회 평생직업교육 수요조사 및 분석

직업교육 프로그램 도출

Ÿ 수료 조사 결과 반영 지역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분야 선정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Ÿ 지역 맞춤형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Ÿ 성인친화형 원격 e-콘텐츠 개발 및 제작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 운영

Ÿ 지역 맞춤형 직업교육 프로그램 운영

직업교육 교육 인프라 구축

Ÿ 온라인 평생학습 운영 시스템 구축

- 원격학습관리시스템(LMS), HW 구축

Ÿ 직업교육 전용 강의실/실습실 개선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58 ❙

기대효과

○ 지역 여건 분석, 산업 현황, 지역 주민 대상 수요조사를 반영한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운영을 통하여 지역사회와의 협력 기반을 마련함 

○ 지역 수요자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토대로 지역 거점 평생직업교육기관 구축 

○ 성인학습자 전담 학과와 연계한 직업교육 심화과정 개설을 통하여 교육 참여자의 학과 진학 

연계를 통하여 안정적인 입학자원 학보 기여 

○ 지역사회-대학 협력 평생직업교육 운영 중·장기발전계획 수립을 통한 지속적인 상생 체제

구축을 통하여 평생직업교육 거점 기관 정착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 지역사회 평생직업교육 수요조사 및 분석

- 지역사회 여건 분석, 산업 현황, 지역주민 직업교육 요구 등 수요조사 추진

○ 지역 수요 반영 평생직업교육 분야 도출

- 지역 여건 분석, 수요조사 결과 분석을 통하여 지역 특화 직업교육 분야 도출
- 지역 주민 직업교육 수요조사 결과 분석을 통한 맞춤형 직업교육 분야 도출

○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지역 특화 분야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지역 주민 맞춤형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성인학습자 전담 학과 연계 심화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 평생직업교육 운영 교육 환경 개선

-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 운영 강의실(실습실) 및 실습기자재 확충

○ 평생직업교육 과정 참여자 만족도 조사

- 평생직업교육 프로그램 수혜자 교육 만족도 조사 실시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별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Ÿ 지역사회 평생직업교육 수요조사 및 분석

Ÿ 지역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분야 선정

Ÿ 지역 맞춤형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

Ÿ 성인친화형 e-콘텐츠 개발 및 제작 

Ÿ 지역 맞춤형 직업교육 프로그램 운영

Ÿ 온라인 평생학습 운영 시스템 구축

- 원격학습관리시스템(LMS), HW 구축

Ÿ 직업교육 전용 강의실/실습실 개선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59 ❙

1.3.3.3.

세부내용 

2 : 대학-지역사회 상생의 가치 실현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

. 추진배경 및 목표

○ 정부의 전문대학에 대한 지역 고등교육기관으로서의 지역사회와의 교육, 산업체 연계 인력양성,

가용자원 공유 등 지역 기반 상생 제도 제시

○ 지역 대학 기관으로서 지역현안 문제, 지역 사회 공헌 등 사회적 가치실현 활동을 통한 지역사회

중심 교육 활동 연계 요구

○ 지역사회와 연계, 협력, 공유를 통한 대학-지역사회 상생 모델 구축

지역사회 사회봉사 실천

사회적 가치실현 선도

사회공헌 활동 조직 강화

Ÿ 전공연계 사회공헌형 지역사회 

경험학습 운영

Ÿ 재학생 전공연계 1인 1봉사 

체제 구축

Ÿ 지역사회 맞춤 사회공헌 

프로그램 개발

Ÿ 외부 단체 연계 봉사교육 

확대

Ÿ 사회봉사 활동 보상 강화
Ÿ 봉사역량 강화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운영

Ÿ 사회공헌 리더십 프로그램 운영

. 추진계획

 세부과제명 

: 대학 전공 연계 지역 사회 공헌 활동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전공 연계 사회공헌형 경험학습 활성화를 통한 사회봉사 활동 실천

○ 상생·협력 중심의 사회적 가치실현 선도를 위한 지역사회 수요 맞춤 사회공헌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학생과 교직원의 사회봉사 실행역량 강화를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추진일정

추진항목

추진내용 및 방법

추진일정

‘22 ‘23 ‘24

지역사회 경험학습 활성화를 

통한 사회봉사 활동 실천

Ÿ 전공 연계 사회공헌형 지역사회 경험학습 운영
Ÿ 재학생 전공 연계 1인 1봉사 체제 구축

상생·협력 중심의 

사회적 가치실현 선도

Ÿ 지역사회  맞춤  사회공헌  프로그램  개발(온라인, 

비대면) 및 운영

Ÿ 생애주기에 맞춘 사회봉사 활동 활성화
Ÿ 외부단체와의 봉사 교류 확대 체제 구축

사회공헌 활동 보상 

및 조직 역량 강화

Ÿ 사회봉사 활동 보상 강화-배지제 도입 운영
Ÿ 봉사역량 강화 교육 콘텐츠 개발 및 운영
Ÿ 사회공헌 리더십 프로그램 운영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60 ❙

기대효과

○ 지역사회 경험학습 활성화를 통한 공동체 의식 제고 및 리더십 함양

○ 대학의 사회봉사 지원 역량 강화 및 효과성 증대

○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사회공헌 인재 양성 실천

○ 대학과 지역사회 간 유기적인 파트너십 형성

○ 사회공헌 실천 선도대학으로의 이미지 제고에 기여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 사회공헌형 경험학습 활성화를 통한 사회봉사 활동 실천

- 전공 교과에서 제공하는 전문적인 지식, 기술 등 학생들이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지역사회에

스스로 적용하는 기회 제공

- 전공 연계 사회봉사 활동을 통해 수업에 대한 이해 도모, 시민 의식 배양
- 운영 : 프로그램 신청 공고-프로그램 선정-학과 간담회, 활동계획서 제출 및 지원금 지급, 팀별

활동

-활동 정리 및 보고-우수 전공 봉사활동팀 선발(공모전 운영)-선발 및 시상

○ 지역사회 수요 맞춤 사회공헌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 지역사회 사회적 가치 실현 아이디어 공모전 및 수요조사 시행

: 온라인, 비대면 방식의 프로그램 개발

- 생애주기에 맞춘 사회봉사 활동 활성화

1) 영유아 대상 문화예술 프로그램 운영(유아교육과, 아동보육과 등 연계)
2) 초등학생 대상 멘토링(정서 멘토링 및 방과 후 학습 멘토링) 프로그램 운영
3) 청소년 대상 진로체험 프로그램 운영 
4) 노인 등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봉사활동 전개: 이동 세탁봉사, 재가봉사, 김장봉사 등

- 외부 단체와의 봉사 교류 확대 체제 구축: 정기봉사 및 소식 공유 체계 구축

○ 사회공헌 활동 보상 강화 및 봉사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 사회봉사 활동 보상 강화를 위한 실적 수준별 배지 개발
- 봉사역량 강화 콘텐츠 개발 및 교육 운영: 사회봉사 가이드 북 제작, 기본 및 역량 강화 교육 운영
- 사회공헌 리더십 프로그램 운영: 사회봉사 실천 리더 선발, 사회봉사단 주관 각종 봉사 프로

그램

, 기획 및 홍보, 봉사활동에 직접 참여

세부 프로그램 내용 및 방법

추진 일정

재원별 활용계획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혁신비

교비

Ÿ 사회공헌형 경험학습 프로그램 운영

Ÿ 수요 맞춤 사회공헌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Ÿ 사회공헌활동 보상 강화 및 봉사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61 ❙

1.3.3.4.

세부내용 

3 : 전공연계 해외 현장실무 경험 및 해외 취업 지원

. 추진배경 및 목표

○ 4차 산업혁명 기반 글로벌 시장의 진입 전문 직업인력 양성

○ 해외 취업 및 진출의 수요에 대한 어학능력, 마인드 및 해외 현장 실무 역량 함양 교육 지원

○ 전공 연계 해외 현장 실무 경험을 통한 해외 취업 역량 강화

. 추진계획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전공 실무 지식기반 해외 연수 경험을 통한 해외 취업역량 강화

○ 글로벌 현장실습 프로그램 및 전공연계 해외 특화 프로그램 운영

○ 재학생 외국어 어학능력 향상 및 글로벌 마인드 함양

세부 추진계획 및 방법

추진계획

추진방법

추진일정

‘22 ‘23 ‘24

외국어 능력 향상 지원 프로그램 

운영

Ÿ 재학생 대상 어학능력 향상 프로그램 운영
Ÿ 해외어학연수 프로그램 운영

글로벌 마인드 함양 및 소양 개발 

프로그램 운영

Ÿ 특강 및 외국어 인문학 프로그램 등 운영

전공연계 해외 직무연수 프로그램 

운영

Ÿ 해외 전공직무연수 프로그램 운영
Ÿ 글로벌 현장학습 프로그램 운영 

기대효과

○ 전공 연계 해외 연수 경험을 통한 해외 취업역량 강화

○ 글로벌 현장학습 수행에 따른 해외취업 지원 및 관심도 제고 

○ 해외 취업을 위한 글로벌 어학능력 및 커뮤니케이션 능력 향상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개요

○ 어학능력 향상 및 글로벌 마인드 함양 지원 프로그램 운영

○ 글로벌 현장학습 추진 및 해외 전공직무연수 지원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62 ❙

세부 추진계획 및 방법

추진항목

세부 추진 계획 내용

재원별 활용계획

혁신비

교비

어학능력 향상 지원

Ÿ 외국어 능력 향상 프로그램 운영

글로벌 마인드 함양

Ÿ 다문화, 해외취업준비 특강 등 프로그램운영

글로벌 현장학습 

프로그램

Ÿ 전공특화 연계 해외 직무연수 프로그램 추진
Ÿ 글로벌 현장학습 참여

1.4.

대학 공공성 및 사회적 가치실현

증빙 pp.39~46 

1.4.1.

대학 공공성 및 투명성 강화 계획

. 규정 현황

○ 대학은 대학 운영의 공공성, 회계 투명성 확보, 연구윤리 정착을 위한 규정을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으며

, 사립학교법과 고등교육법에 의거하여 법령상 위원회의 법적요건에 부합한 위원회 구성

및 회의 개최

, 운영, 결과를 공개 하고 있음

. 자체 제도 및 주요 추진내용

○ 대학은 대학 운영의 공공성 확보를 위한 내부감사

- 대학은 매년 1회 정기적으로 법인, 전체 부서 및 학과를 대상으로 다음 절차에 의해 내부감사

제도를 시행하고 있음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63 ❙

○ 대·내외 의견수렴

- 대학은  의사결정 참여 및 소통 지원 규정 에 따라 학내에서 이루어지는 주요 사업이나 제도,

의사결정 사항을 공개하고 있으며

, 대·내외 의견수렴 및 개선을 위해 정례적으로 다음과 같은

제도를 마련하여 운영하고 있음

○ 회계 투명성 확보를 위한 예결산 모니터링 및 회계 외부감사

- 대학은 예산편성·심의·집행·결산에 대한 모니터링을 진행하고 자금집행 및 결산에 대한 회계

외부감사 시행 등 회계 투명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고 있음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64 ❙

. 추진방법 및 전략

○ 대학 운영의 공공성 및 회계 투명성 확보를 위한 자체 제도 및 전략

- 대학은 운영 전반에 대하여 구성원의 의사결정 참여를 기본으로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개선하고

, 내부감사 및 회계감사 등을 정기적으로 시행하여, 대학

운영의 공공성 및 회계 투명성을 확보하고자 함

.

○ 연구윤리 정착 추진방법 및 전략

- 대학은 교원의 정직하고 책임 있는 연구윤리 정착을 위하여 매년 연구윤리 교육을 필수로 이수

하고 있으며

, 추후 연구윤리 강화를 위한 교육콘텐츠 개발을 진행하고자 함

- 대학은 매년 전임교원을 대상으로 순수학문과제를 지원 하고 있으며, 연구책임자 및 공동

연구원을 대상으로 연구윤리 확보를 위한 지침을 안내하여 숙지하도록 하고 있으며

, 지속적

으로 강화하고자 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65 ❙

1.4.2.

대학의 사회적 가치실현 계획

. 사회적 가치실현 제도 및 시스템 현황

(1) 지원 조직 체계 현황 및 운영의 한계점과 개선 방향

사회적 가치

지원 조직 및 체계

지원 내용

사회적 약자 

학생처

사회봉사단

Ÿ 지역사회 수요 분석 및 계획 수립, 사회공헌활동 전개
Ÿ 사회공헌활동 기금 조성
Ÿ 사회공헌협력 네트워크 구축 관리

상생협력
지역경제

산학

협력처

산학협력팀

Ÿ 산학협력 인프라 및 산학협력 사업 운영 및 관리
Ÿ 산학협력 네트워크 구축 관리
Ÿ 교원 산학협력, 연구윤리준수관리 및 활동 지원
Ÿ 산·관·학 협력사업

현장실습지원센터

Ÿ 대학공통 국내현장 실습수업 운영 및 수행점검

취창업지원팀

Ÿ 학생 취창업 교육 및 지원
Ÿ 메이커스페이스 관리

산학

협력단

재정지원사업 관리

Ÿ 정부기관 지원사업
Ÿ 지자체 지원사업 
Ÿ 기타 기관 지원사업

지역사회

부속기관

평생교육원

Ÿ 지역사회 관련 평생교육과정 운영

한계점 및 
개선 방향

Ÿ 대학의 역량과 특성, 지역사회의 수요를 고려한 체계적인 사회공헌활동 추진 필요
Ÿ 지역과 지역 산업체의 수요 맞춤형 산학 협력 프로그램 개발·운영 시스템 필요
Ÿ 글로컬 수요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혁신

. 사회적 가치실현을 위한 협력 및 관리체계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66 ❙

. 추진계획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다양한 사회적 요구,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사회공헌활동 전개 및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원 강화

○ 지역사회 주민의 삶의 질 증진을 위한 지자체 위탁사업(노인보건센터, 생활문화창작소 등)의 

체계적 운영

○ 대학과 지역사회의 동반 성장을 위한 산학협력 중심의 네트워크 구축·운영

○ 글로컬 수요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운영으로 지역주민에게 필요한 교육 제공을 통한 사회적 

가치실현

추진내용 및 방법, 일정

추진항목

추진 방법

추진 일정

‘22 ‘23 ‘24

사회공헌활동 실천 

강화

Ÿ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원 강화 

Ÿ 지역주민의 삶의 질·복지증진을 위한 지자체 위탁사업의 

체계적 운영

상생·협력 중심의

산학협력 활동 추진 

Ÿ 대학·산업체·지자체 간 산학협력 및 공유 시스템 구축

Ÿ 산학 동반 성장의 가치실현을 위한 유기적 네트워크 구축

글로컬 수요 맞춤형 

직업교육 운영 

Ÿ 직업교육 인프라 구축

Ÿ 지역사회 수요에 맞춘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기대효과

○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사회공헌 인재 양성 및 사회공헌 실천 선도대학으로의 이미지 제고에 

기여

○ 산학 협력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산학연계 교육 활성화 및 취업률 제고

○ 대학과 지역사회 간 유기적인 파트너쉽 형성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 사회적 취약계층을 위한 사회공헌활동(이동세탁, 김장봉사, 재가봉사 등) 추진 및 지원(장애

학생 지원 강화

, 장애인 근로자 채용 확대 등) 강화

○ 산학활동 협력 및 성과 공유를 위한 대학·산업체·지자체 간 협력 협의체 구축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67 ❙

○ 대학의 산학협력 활동성과 및 지역산업 연계 활성화를 위한 산학 페스티벌 운영

○ 글로컬 수요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수요조사 및 개발분야 선정, 직업교육 프로그램 개발·운영

1.4.3.

대학 간 공유

·협력 계획

. 추진배경 및 목표

○ 입학자원 감소로 인한 전문대학 위기 가속과 어려운 재정여건으로 효과적 교육운영체계 구축에

한계

○ 교육 패러다임의 새로운 변화 속에서 대학 교육과정 및 교육자원 운영에도 공유경제 적용을 

통해 상생할 수 있는 대학 운영모델 제시 

○ 대학 간 상호 공유와 협력으로 융·복합 공동 교육과정 개발과 다양한 교육기회 제공을 통한 미래

인재 양성

. 추진계획

(1) 3개년 추진계획(’22~’24년)

개요

○ 대학 간 교육과정 개발·운영, 교원 교류, 교육콘텐츠 공동개발 등 공유·협력을 통해 공동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동반 성장의 고등교육 생태계 조성

○ 최적의 비용으로 최선의 교육환경 마련, 대내외 다양한 학습기회 제공을 통한  학생 교육 선택권

확대

추진내용 및 방법, 일정

추진계획

추진방법

추진일정

‘22 ‘23 ‘24

공유·협력 대학 협약체결

Ÿ 대학 내 사업추진체계 구성

Ÿ 대학 간 공유·협력방안 모색 및 협약 체결

개방형 학사제도 구현

Ÿ 대학 간 공유·협력 제도실행을 위한 학사제도 수립

Ÿ 대학 간·학과 간 학점교류 추진  

공동 교육과정 개발·운영

Ÿ 대학 간 (가칭)교육과정위원회 구성

Ÿ 융합·표준 교육과정(비교과 포함) 개발·운영

Ÿ 권역별 원격교육지원센터 교육콘텐츠 개발·운영

인적·물적 교육인프라 공유

Ÿ 교직원 인적자원 교류 및 업무노하우 공유

Ÿ 대학에서 개발한 온라인 교육콘텐츠 공유

Ÿ K-MOOC 개설강좌 활용 및 학점인정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68 ❙

기대효과

○ 대학교육과 운영에 공유·협력의 공유경제 활성화를 통해 대학 간·지역 간 교육격차 해소

○ 대학의 인적·물적 인프라 공동대응을 통한 교육공유 플랫폼 구현

(2) 2022년 세부 추진계획

개요

○ 대학 간 공유·협력 추진체계 구축 및 실현을 위한 학사제도 개선

○ 대학 간 공동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을 통한 협력체계 구성

세부 추진계획 및 방법

추진항목

세부 추진계획 내용

추진일정

1분기 2분기 3분기 4분기

공유·협력 추진체계 

마련

Ÿ 대학 내 사업추진체계 구성

Ÿ 대학 간 공유·협력 추진방안 검토 

Ÿ 공유·협력대학 모색 및 협약 추진

공유·협력 실현을 위한 

학사제도 수립

Ÿ 공유·협력 체제 적용을 위한 학사제도 구축

Ÿ 관련 규정 제·개정

공동 교육과정 

개발·운영

Ÿ 협력대학(학과) 간 (가칭)교육과정위원회 구성

Ÿ 권역별 원격교육지원센터에서 주관하는 교육

콘텐츠 개발·운영에 참여

K-MOOC 활용 

·학점인정

Ÿ K-MOOC 개설강좌 수강계획 조사·검토 

Ÿ K-MOOC 이수결과 정규학점 인정

추진전략 이행을 위한 공유·협력 강화 방안

항목

주요내용

참여교직원 

지원

Ÿ 교육과정 개발·운영 등 사업참여 교직원에게 연구비(인센티브) 지급
Ÿ 교육과정 개발·운영 결과물(실적) 업적평가 반영
Ÿ 기타 교육·연수기회 제공 등 다양한 우대방안 마련

참여학생 

지원

Ÿ 교육과정(프로그램) 이수 학생에 대한 인증
Ÿ 진로, 취업, 창업 등 교내외 프로그램 참여시 선발 우대
Ÿ 포상, 마일리지 부여 및 장학금 지급 등 다양한 지원방안 마련

성과 공유 

및 확산

Ÿ 공유·협력 참여대학의 지속적 확대
Ÿ 공유·협력 우수사례를 대내외 공개, 워크숍·포럼 등을 통해 확산
Ÿ 공유·협력 사업 참여(수혜)대상을 재학생에서 졸업생, 일반인 등으로 단계적 확대를 

통해 평생직업교육 체제로의 기반 강화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69 ❙

2.

재정 투자계획

2.1.

대학 재정 투자전략

< 대학 중장기 발전을 위한 연차별 예산 투입계획(안) >

(단위: 백만원)

구분

교육

산학협력

기타

사업관리 및 운영

비율

‘22

교육부

혁신지원

2,404.8

675.1

204.7

477.4

48.5%

타부처

-

-

23.9

-

0.3%

지자체

-

-

2,733.7

-

35.2%

자체재원

755.7

232.2

255.0

-

16.0%

‘22년 소계

3,160.6

907.3

3,217.3

477.4

100%

‘23

교육부

혁신지원

1,983.0

885.3

304.8

588.9

48.5%

타부처

-

-

23.9

-

0.3%

지자체

-

-

2,733.7

-

35.2%

자체재원

755.7

232.2

255.0

-

16.0%

‘23년 소계

2,738.8

1,117.5

3,317.4

588.9

100%

‘24

교육부

혁신지원

1,798.6

1,085.3

304.8

573.3

48.5%

타부처

-

-

23.9

-

0.3%

지자체

-

-

2,733.7

-

35.2%

자체재원

755.7

232.2

255.0

-

16.0%

‘24년 소계

2,554.4

1,317.5

3,317.4

573.3

100.0%

‘22~’24년 합계

8,453.8

3,342.3

9,852.1

1,639.6

○ 중장기발전계획 추진 5대 전략(재정 투자계획)과 자율혁신사업 과의 연관성

부문

과제(사업)

자율혁신사업

연관영역

중장기발전계획 예산(백만원)

비율

주요과제

2022년 2023년 2024년

합계

1.

대학
경영

1. 빅데이터 관리 및 지원 체제 구축 운영

교육혁신

(학생지원)

230

140

100

470

2.7%

2. 교육 및 복지시설 확충

3,700 2,100 3,900

9,700

54.8%

소계

3,930 2,240 4,000 10,170

57.5%

2.

교육
품질

1. 개발-자율-협력-연결지향 학사 운영체제 확립

교육혁신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비교과 및 

글로벌)

66

66

66

198

1.1%

2. 미래형 교육운영 플랫폼 개선 및 운영 활성화 

1,200

710

520

2,430

13.7%

3. 역량기반 교육품질관리 체제 구축

131

111

111

353

2.0%

4. 교원전문성 강화 및 교원운용 방법 혁신

20

20

20

60

0.3%

5. 재학생 학습역량 강화 체제 개선

160

160

160

480

2.7%

소계

1,577 1,067

877

3,521

19.9%

3.

서비스

1. 디지털 기술 기반 대내외 소통 체제 혁신

평생교육 및 

사회공헌

100

100

110

310

1.8%

2. “학교 밖 학교” 평생교육 지역거점대학 추진

368

430

480

1,278

7.2%

3. 공감, 소통, 협력기반 사회공헌대학 위상 강화

7

205

7

219

1.2%

소계

475

735

597

1,807

10.2%

4.

산학
협력

1. 학생 취·창업 역량강화 체계 구축

산학협력

340

370

440

1,150

6.5%

2. 산학협력 수익모델 발굴 및 추진

40

40

40

120

0.7%

3. 산학협력 지속성 제고 협업 생태계 조성

200

230

230

660

3.7%

소계

580

640

710

1,930

10.9%

5.

교육
성과

1. 교육수요자 요구도 및 만족도 조사 체계 개선

사업관리 

및운영

30

60

30

120

0.7%

2. 교육품질관리체제 지속적 개선

30

30

30

90

0.5%

3. 교육성과 관리 및 평가체제 혁신(성과중심)

15

15

20

50

0.3%

소계

75

105

80

260

1.5%

합계

6,637 4,787 6,264 17,688 100.0%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70 ❙

2.2.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재정투자 계획

연계 프로그램

(혁신지원사업 기준)

타 재정지원사업

사업명

연계내용 및 재정지원사업별 역할분담

투입예산

해당사항 없음

2.2.1.

총 사업비 구성

영역

세부내용

세부과제

1차년도

(‘22.3~’23.2)

2차년도

(‘22.3~’23.2)

3차년도

(‘22.3~’23.2)

합계

타 

사업 
연계
여부

19-

21 

혁신
연계 
여부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교육
혁신

교육혁신을 

위한 

학사제도 

유연화

① 역량기반 전공학사제도 

유연화 및 교육과정개편

41.4

1.1

35.4 0.9%

41.0

1.1

117.9

1.0

② 교양교육과정 혁신

15.0

0.4

85.0

2.3

15.0

0.4

115.0

1.0

③ 혁신모델 맞춤형 스마트 

학습존 구축

600.0

15.9

590.0

15.7

680.0

18.1 1,870.0

16.6

소계

656.4

17.4

710.4

18.9

736.0

19.6 2,102.9

18.6

교수-학습 

지원 및 

교육의 

질 관리 

고도화

① 교수-학습 프로그램 및 

지원 체계화

91.0

2.4

185.8

4.9

185.8

4.9

462.5

4.1

② 디지털 기반 인프라 

구축 및 지원체계화

250.0

6.6

300.0

8.0

30.0

0.8

580.0

5.1

③ SUCCA 핵심역량인증제 

고도화 및 교육의 질 관리

5.0

0.1

5.5

0.1

5.5

0.1

16.0

0.1

소계

346.0

9.2

491.3

13.1

221.3

5.9 1,058.5

9.4

전공기반 

비교과 

프로그램 

특화 및 

내실화

① 교과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체계구축

9.7

0.3

9.7

0.3

9.7

0.3

29.2

0.3

② 수요자 중심 학과연계 

대표 브랜드 프로그램 
개발

5.0

0.1

25.0

0.7

30.0

0.8

60.0

0.5

③ 비교과 프로그램 질 

관리 및 통합관리고도화

0.5

0.0

1.0

0.0

1.0

0.0

2.5

0.0

소계

15.2

0.4

35.7

0.9

40.7

1.1

91.7

0.8

학생성공· 

학생행복 

지원시스템 

혁신

① 학생 맞춤형 진로·취업· 

창업 역량강화 지원 고도화

327.9

8.7

288.0

7.7

293.0

7.8

908.9

8.1

② 대학적응력 향상을 위한 

심리·정서 지원 체계화

43.9

1.2

128.6

3.4

68.6

1.8

241.1

2.1

③ 학생행복 지원서비스 

혁신

1,015.4

27.0

329.0

8.7

439.0

11.7 1,783.4

15.8

소계

1,387.2

36.9

745.6

19.8

800.6

21.3 2,933.4

26.0

교육혁신 소계

2,404.8

63.9 1,983.0

52.7 1,798.6

47.8 6,186.5

54.8

(단위 : 백만원, %)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71 ❙

영역

세부내용

세부과제

1차년도

(‘22.3~’23.2)

2차년도

(‘22.3~’23.2)

3차년도

(‘22.3~’23.2)

합계

타 

사업 
연계
여부

19-

21 

혁신
연계 
여부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금액

비율

산학
협력

신산업 기반 

산학연계
현장중심 

창의 융합형 
인력양성 및 

친화형 

인프라 강화 

혁신

① 현장중심 창의융합형 

교육과정 혁신

364.0

9.7

372.1

9.9

372.1

9.9 1,108.1

9.8

② 신산업 기반 산학연 

거버넌스 구축

38.6

1.0

38.6

1.0

38.6

1.0

115.7

1.0

③ 산학연 연계 친화형 

교육환경 구축

180.0

4.8

280.0

7.4

280.0

7.4

740.0

6.6

소계

582.6

15.5

690.6

18.4

690.6

18.4 1,963.8

17.4

산학연계 

취창업

역량강화 
모델혁신

① 산학연계 취창업 

역량강화 모델 고도화

38.5

1.0

40.7

1.1

40.7

1.1

119.9

1.1

② 산학 연계 교수-학생 

실무역량 강화

54.0

1.4

54.0

1.4

54.0

1.4

162.0

1.4

③ 취·창업 혁신공간 구축

0.0

100.0

2.7

300.0

8.0

400.0

3.5

소계

92.5

2.5

194.7

5.2

394.7

10.5

681.9

6.0

산학협력 소계

675.1

17.9

885.3

23.5 1,085.3

28.8 2,645.7

23.4



대학-지역 

사회 협력 

기반 

고등교육 
거점기관 

구축

① 지역 특성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운영 기반 
구축

12.0

0.3

12.0

0.3

12.0

0.3

36.0

0.3

소계

12.0

0.3

12.0

0.3

12.0

0.3

36.0

0.3

대학-지역 

사회 상생의 
가치 실현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

① 대학 전공 연계 지역 

사회공헌활동

42.7

1.1

42.7

1.1

42.7

1.1

128.2

1.1

소계

42.7

1.1

42.7

1.1

42.7

1.1

128.2

1.1

전공연계 

해외 

현장실무 

경험 및 

해외 취업 

지원

① 전공연계 해외 현장실무 

경험 및 해외취업 지원

150.0

4.0

250.0

6.6

250.0

6.6

650.0

5.8

소계

150.0

4.0

250.0

6.6

250.0

6.6

650.0

5.8

기타혁신 소계

204.7

5.4

304.7

8.1

304.7

8.1

814.2

7.2

사업
관리 

및 

운영

사업관리 및 

운영

사업관리·운영

97.4

2.6

108.9

2.9

93.3

2.5

299.6

2.7

인건비

200.0

5.3

3000

8.0

300.0

8.0

800.0

7.1

사업관리 및 운영 소계

297.4

7.9

408.9

10.9

393.3

10.5

1099.6

9.7

간접비

180.0

4.8

180.0

4.8

180.0

4.8

540.0

4.8

간접비 소계

180.0

4.8

180.0

4.8

180.0

4.8

540.0

4.8

합계

3,762.0 100.0 3,762.0 100.0 3,762.0 100.0 11,286.0 100.0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72 ❙

2.2.2.

1차년도 사업비 구성

영역

세부내용

세부과제

세부내역(비목별)

항목

예산

항목

예산

비목명

예산

산출내역

교육
혁신

교육혁신을 

위한

학사제도 

유연화

656.4

① 역량기반 

전공학사제도 

유연화 및 

교육과정개편

41.4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41.4

<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 11개 - 학과 6개 

역량기반 변경 + 5개 신규학과 >

1. 개발비 : 3,000천원×11개 학과
2. 컨설팅비 : 11개 학과×2회×300천원 
3. 개발 워크숍 : 20천원×11개 학과
4. 교육과정 개발(개편) 보고서 등 책자 제작 : 

인쇄 제작비 : 10천원×11개 학과×5권

5. 운영 워크숍 다과/음료 등 : 500천원×2회

② 교양교육과정 

혁신 

15.0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15.0

대학교양 원격교육 콘텐츠 개발비 : 
1식×15,000천원

③ 혁신모델 

맞춤형 스마트 

학습존 구축

600.0

교육·연구 

환경개선비

400.0

1. 디지털 강의실 리모델링비 : 30,000천원×5개
2. 디지털 강의실 영상 송출망 고도화 : 250,000천원 

실험·실습 장비 

및 기자재 

구입·운영비

200.0 1. 디지털 강의실 기자재 : 40,000천원×5개

교수-학습 

지원 및 

교육의 질 

관리 고도화

346.0

① 교수-학습 

프로그램

및지원체계화

91.0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5.0 교수법 특강 : 5,000천원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31.6

1. 티칭 포트폴리오 : 5,800,000원

- 상금 : 2,100,천원×2학기
- 심사비 : 200천원×3명×2학기
- 운영비(상장 제작비 등) : 200천원×2학

2. 학습공동체 : 10,000천원×2학기 
3. 학습공동체 사례발표회 : 

- 운영비 2,000천원 
- 시상식 상금 : 1,700천원

4. 메타버스 워크숍 운영비 추가(식대 + 강사료 + 

간식등운영비) : 2,100천원

- 강사료 : 300천원×2시간×2인
- 식대(간식 포함) : 30천원×30명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13.6

1. 글쓰기 클리닉 : 9,700천원

- 코칭비 (50천원×60명)×2학기
- 콘텐츠 개발비 100천원×1건 
- 책자 구입비 (30천원×60명)×2학기

2. 말하기클리닉 : 600천원

- 강사료 300천원×2시간 

3. 집중케어프로그램 : 2,100천원

- 학습상담료 (50천원×20명)×2학기 
- 콘텐츠 제작비 100천원×1건

4. 학습법특강 : 1,200천원

- 강사료 (300천원×2시간)×2회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30.0 교과 튜터링 : 3,000천원×연간 100개 팀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10.8

1. 역량기반 교양 특강 : 600천원 

- 강사료 (50천원×2시간)×6개 역량 

2. 자기주도학습법 공모전 : 4,600천원

- 상금(개인) : 1,600천원
- 상금(단체) : 2,800천원
- 상장 제작비(종이, 케이스 등) 200천원×1회

3. 핵심역량 책자 제작 : 1,000천원

- 비교과 활동코드북 제작비 500천원×1회 
- 비교과 활동 안내서 제작비 500천원×1회 

4. 학습프로그램 참여수기 공모전 : 4,600천원

- 상금(개인) : 1,600천원
- 상금(단체) : 2,800천원
- 상장 제작비(종이, 케이스 등) 200천원×1회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73 ❙

영역

세부내용

세부과제

세부내역(비목별)

항목

예산

항목

예산

비목명

예산

산출내역

② 디지털 기반 
인프라 구축 및 

지원체계화 

250.0

교육·연구 

환경개선비

150.0 스튜디오 구축 리모델링비 : 150,000천원

실험·실습 장비 

및 기자재 

구입·운영비

100.0

스튜디오 원격수업을 위한 물품 (마이크 ,웹캡, 
녹화장비, 실시간 화상회의 도구, 테블릿 PC 등) 
기자재 : 100,000천원

③ SUCCA 

핵심역량인증제 

고도화 및 교육의 

질관리

5.0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5.0

SUCCA 핵심역량 인증제 홍보비
(설명회, 리플렛 제작 등) : 5,000천원

전공기반 

비교과 

프로그램 

특화 및 

내실화

15.2

① 교과연계 

비교과 프로그램 

체계구축

9.7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9.7

1. 부전공 자격제 1식×6,784천원
2. 자격기반 교육과정 1식 ×2 ,936천원

② 수요자 중심 

학과연계 

대표브랜드 

프로그램개발 

5.0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5.0

학과연계 대표 브랜드 프로그램 개발 : 
1,000천원 × 5개 학과 

③ 비교과 

프로그램 질 관리 

및 통합관리 고도화

0.5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0.5

비교과 프로그램 CQI 

- 컨설팅비용:500천원×1회

학생성공· 

학생행복 

지원시스템 

혁신

1,387.2

① 학생 맞춤형 

진로·취업·창업

역량강화 

지원고도화

327.9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16.1

1. 진로검사기반 맞춤형 진로상담 확대 : 14,080천원

- 진로집단상담강사료 : 30천원×1H×100회
- 진로집단상담다과비및물품비 : 20천원×100회
- 진로검사구입비 : 9,080천원

→ Holland(진로적성검사) : 4,천원×400부 

CTI(진로사고검사) : 4천원×300부 
U&I(학습유형검사) : 4,400원×700부 
SLT(자기조절학습검사) : 4천원×800부

3. 진로탐색 교내캠프 운영 : 1,000천원

- 진로집단상담 강사료 : 30천원×10H
- 진로집단 특강료 : 200천원×2H
- 진로집단상담 다과비 및 물품비 : 20천원×15회

4. 전공 부적응 학생을 위한 힐링 진로체험 캠프 

운영 : 1,000천원

- 진로집단상담강사료 : 30,000천원×10H
- 진로집단특강료 : 200천×2H
- 진로집단상담다과비및물품비 : 20천원×15회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156.1

1. 행사 및 특강프로그램 운영비 : 145,821천원

- (학과)전공특강운영비 : 40,008천원
- (학과)취업경진대회공모전운영비 : 

2,900천원(학과)국가고시특강 : 17,308천

- (학과)취업특강운영비 : 6,600천원
- (학과)취업캠프운영비 : 1,680천원
- (학과)전공맞춤자격과정운영 : 77,325천원

2. 수준별 창업역량 강화 프로그램 운영비 : - 

창업캠프(1,2차) 10,300천원

- 전문가강의료 : 1시간×100천원×6시간×5회 = 

3,000천원

- 운영비(물품구입외) : 2,000천원
- 온라인캠프진행비 : 4,300천원
- (13팀×3시간)
- (학과)전공맞춤창업경진대회 : 1,000천원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5.2

1. 행사경비 - 운영비 : 4,200천원
취업포트폴리오경진대회

- 상금 : 4,200천원/학과계열별시상예정

2. 창업전문가 자문심사료 : 1,000천원

- 1회자문비 100천원×10회=1,000천원

교육·연구 

환경개선비

150.0

학생이력관리 시스템 고도화비 : 150,000천원

- 학생이력관리시스템 고도화 개발비 : 1식

그 밖의 

사업운영 경비

0.5 학생이력관리시스템 고도화 TFT회의비 : 500천원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74 ❙

영역

세부내용

세부과제

세부내역(비목별)

항목

예산

항목

예산

비목명

예산

산출내역

② 대학적응력 

향상을 위한 

심리·정서 지원 

체계화

43.9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13.6

1. 책임지도교수 상담역량 강화 교육운영비 : 

11,600천원

- 특강비 : 200천원×8H
- 지도교수 상담 관련 자격증과정 운영비 : 

200천원×50명

2. 상담지원인력 전문성강화 교육 운영비 : 2,000천원

- 특강비 : 200천원×10H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26.0

1. 학과 및 학년별 맞춤형 향상 프로그램 운영비 : 

4,200천원

- 집단상담프로그램 강사료 : 3,000천원
- 집단상담 다과비 및 물품비 : 1,200천원

2. 심리·정서 문제유형별 맞춤형 향상 프로그램 

운영비 : 18,300천원

- 집단상담 프로그램 강사료 : 30천원×1H×150
- 집단상담 다과비 및 물품비 : 20천원×100회
- 심리검사구입비 :11,800천원

· MBTI(성격유형검사):5,800원×1,000부=5,800천원,

TCI(기질및성격검사):3,000원×1,000부=3,000천원,
MMPI-2(다면적인성검사):6,000원×500부=3,000천원

3. 학업중단예방프로그램운영비 : 3,524천원

- 학업중단 고위험군 선별 검사 구입비 : 

대학생활적응력검사(CAT):4,500원×432부

- 또래상담사 교육 강사료 : 30천원×3회×2H 
- 멘토-멘티 유대감 강화 프로그램 운영비 : 

200천원×2회×1H

- 우수대학생활 행복지킴이 멘토-멘티상금 : 

1,000천원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3.9

1. 마음건강 증진 프로그램 운영비: 1,400천원

- 마음건강캠패인진행비 : 300천원×2회
- 마음건강특강비 : 200천원×4회

2. 고위험군 학생 집단상담 프로그램 운영비 : 500천원

- 집단상담 프로그램 강사료 : 30천원×1H×10회
- 집단상담 다과비 및 물품비 : 20,천원×10회

3. 위기학생 지원매뉴얼 제작 : 2,000천원

- 개발비, 자문비, 공유확산을 위한 프로그램 

매뉴얼 제작비

그 밖의 

사업운영 경비

0.4

1. One-Stop 위기사례 지원협의체 사례회의 및 

자문회의비 : 400천원

- 사례회의 및 자문회의비 :100천원×4회

③ 학생행복 

지원서비스 혁신

1,015.4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1.4

1. 소수학생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비 : 1,400천원

- 간담회운영비:20×10,000×2회=400천원
- 멘토링프로그램운영비:1,000천원

멘토 강사비 300천원×2회, 운영비 10천원×2회×20명

그 밖의 

사업운영 경비

14.0

1. 학생자치활동 지원강화를 통한 활성화비 : 

14,000천원

- 학생들의취미및흥미,전공활동활성화를위한일

반·전공동아리지원강화 300천원×31개팀

- 학생회임원수련회(리더십프로그램)운영비 : 

800천원

- 특강비 : 200천원×2인, 운영비 : 10천원×40명
- 학생서비스모니터링단운영비 : 300천원×13개팀

교육·연구 

환경개선비

300.0

1. 행복충전 지원 서비스 공간 구축비: 300,000천원

- 마음건강지원을 위한 행복충전 공간 구축비 : 

300,000천원

교육·연구 

환경개선비

700.0

1. 환경개선비_자기주도학습 및 행복충전 공간 

구축 공간 구축비: 700,000천원

- 러닝커먼스공간및e-커먼스시스템구축비 : 

700,000천원

교육혁신 소계

2,404.8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II Part

혁신전략 및 재정 투자계획

❙ 75 ❙

영역

세부내용

세부과제

세부내역(비목별)

항목

예산

항목

예산

비목명

예산

산출내역

산학
협력 

신산업 기반 

산학연계현장

중심 창의 

융합형 

인력양성및 

친화형 

인프라 강화 

혁신

582.6

① 현장중심 

창의융합형

교육과정혁신

364.0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21.2

1. 현장실습 보험가입(의무) 8,000천원

- 4주 : 3천원×2,000명 + 예비비 2,000천원

2. 현장실습 온라인 시스템 표준 현장실습학기제 

양식 구축 : 6,600천원

3. 현장실습 성과발표회(의무) : 3,300천원

- 상금 3,000천원 + 포스터 및 현수막 300천원

4. 현장실습 성과발표회(표준) 3,300천원

- 상금 3,000천원 + 포스터 및 현수막 300천원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105.4

1. 캡스톤디자인 교과목 지원: 40,000천원

- 단일 2,000천원×15건=30,000천원
- 융합 2,500천원×4건= 10,000천원

2. 캡스톤디자인 경진대회 : 40,400천원
3. 캡스톤디자인 결과물 지적재산권 지원 

5,000천원

4. 캡스톤디자인 온라인 성과 공유플랫폼 제작 

20,000천원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60.0

1. 주문식 교육과정 운영 : 60,000천원

- 재료비 21,000천원
- 강의료 25,000천원
- 회의비 4,000천원
- 기타운영비 7,000,천원
- 기타학생지원비 3,000천원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28.0

1. 산학공동 프로젝트 운영 : 28,000천원

- 10개프로젝트×2,00천원=20,000천원
- 동영상제작비 8,000천원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98.4 1. 산업체 협약에 의한 작품전 등 98,400천원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50.0

1. 산학협력 활동 혁신지원사업 우수사례 성과 

공유회 50,000천원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1.0 1. 산학협력 사업 자체 평가 및 환류 1,000천원

② 신산업 기반 

산학연

거버넌스구축

38.6

그 밖의 

사업운영 경비

38.6

1. 산학협력촉진위원회 : 38,600천원

- 회의비30,000원×10명×4회×30개학과=36,000천원
- 간담회 1,850천원
- 공로패 5건×150천원 = 750천원

③ 산학연 연계 

친화형

교육환경구축

180.0

실험·실습 장비 

및 기자재 

구입·운영비

180.0

1. 현장미러형 실험실(50,000천원×5개) 250,000천원 

(혁신 150,000천원 및 교비 100,000천원 대응투자) 
및 실습기자재 30,000천원

산학연계 

취창업 

역량강화 

모델 혁신

92.5

① 산학연계 

취창업

역량강화모델 

고도화

38.5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34.5

1. 산업체 인사활용 취업프로그램: 34,498천원

- 모의면접,산업체인사특강,취업설명회,취업특강,

직무연수,취업멘토링등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4.0 지식재산권 출원 등록비 4,000천원

② 산학 연계 

교수-학생

실무역량강화

54.0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14.0

1. 교원×학생 동반 산업체 연수 : 14,000천원

- 교원1일50천원×3일×20명=3,000천원
- 학생1일50천원×5일×40명=10,000천원
- 보험료1,000,천원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20.0

1. 교원 산업체 직무연수 : 20,000천원 
(혁신 20,000천원. 교비 10,000천원)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76 ❙

영역

세부내용

세부과제

세부내역(비목별)

항목

예산

항목

예산

비목명

예산

산출내역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10.0

산업체 탐방 프로그램 등 운영 : 10,000천원

- 3팀×3,000천원=9,000천원
- 기타경비 1,000천원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10.0

산학협력 혁신 모델 개발 및 발굴 공모

- 1개과제×10,000천원

산학협력 소계

675.1



대학-지역 

사회 

협력기반 
고등교육 
거점기관 

구축

12.0

① 지역 특성 

맞춤형 

평생직업교육 운영 

기반 구축

12.0

그 밖의 

사업운영 경비

12.0

지역 사회 기반 직업교육 수요조사 실시- 지역 
수요 조사 용역비: 12,000천원

대학-지역 

사회 상생의 
가치 실현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

42.7

① 대학 전공 연계 

지역 사회공헌 

활동

42.7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29.0

전공봉사동아리 운영비 : 27,900천원원/팀당 900천원
공모전시상금 : 2,000천원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11.7

1. 영유아 대상 프로그램 운영비 : 900천원
2. 초등생 대상 프로그램 운영비 : 900천원
3. 평가회 및 회의운영비 : 200천원
4. 지역사회 취약계층 대상 봉사활동 운영비 

8,500천원

5. 웹매거진 제작 및 발송 1,200천원

그 밖의 

사업운영 경비

2.0

1. 가이드북 디자인 및 제작비 : 200천원
2. 사회봉사기본교육 1,600천원

- 운영비:50명×10천원=500천원
- 사회봉사역량강화교육 1,100천원
- 강사료:2인×30,000×2시간=120천원
- 운영비 : 980천원

2. 전공 봉사동아리 소속 30명 선발 운영

- 회의비 및 간담회비 : 240,000원

전공연계 

해외 

현장실무 

경험 및 해외 

취업 지원

150.0

① 전공연계 해외 
현장실무 경험 및 

해외취업 지원

150.0

교육·연구 

프로그램

개발운영비

150.0

블렌디드(국내 2주간 대면/비대면) 해외 
전공연수(미용예술과 10명)

- 블렌디드해외전공연수(간호학과)
- 전공연계해외특화프로그램개발 

글로컬(기타) 혁신 소계

204.7

사업
관리

및 

운영

사업관리 및 

운영

297.4

사업관리·운영

97.4

그 밖의 

사업운영 경비

97.4

1. 성과 홍보비 30,000천원
2. 운영비 37,400천원
3. 연구용역비(만족도 등) 30,000천원

인건비

200.0

인건비

200.0 인건비 5천만원×5명×10월/12월 = 200,000천원

사업관리 및 운영 소계

297.4

간접비

180.0

간접비

180.0

간접비

180.0 사업비의 5%

간접비 소계

180.0

합계

3,762.0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Ⅳ. 사업관리체계 구축 및 성과관리

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77 ❙

1.

거버넌스 구축

1.1.

거버넌스 총괄 체계

증빙 pp.47~49 

1.1.1.

사업총괄 관리체계

. 사업관리 체계

○ 대학은 재정지원사업 운영사업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하여 새로 제정된 전문대학 운영규정에 

따라서 내부 및 외부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제반 위원회와 사업단을 구성하였음

○ 대학혁신위원회는 총괄적인 점검 및 계획수립, 평가환류 및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대학혁신

사업단을 총장 직속으로 두고 대학혁신운영위원회를 통해 사업을 관리함

. 동 운영위원회 소관

으로 사업비 관리 및 평가를 위한 사업비관리위원회와 자체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성과 등 

결과를 종합적으로 관리함

. 사업성과 및 집행 관리 체계

○ 사업전담운영팀을 포함한 행정부서와 부속기관에서 추진한 사업에 대하여 기획처 평가팀에

서 성과관리하며 사업전담운영팀에서 집행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V Part

사업관리체계 구축 및 성과관리

❙ 78 ❙

1.1.2.

대학혁신위원회

. 대학혁신위원회 구성

○ 위원장인 총장과 교무위원 처장(6인), 미래정보관 관장, 평생교육원 원장, 학생대표, 기업체 대표로

11명으로 구성하며 동 사업을 운영하는 총괄 위원회임 

연번

조직

구분

성명

소속

부서

직위(급)

교내/외

1

대학혁신 

위원회

위원장

수원여자대학교

수원여자대학교

교내

2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교무처

교내

3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기획처

교내

4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사무처

교내

5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학생처

교내

6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입학홍보처

교내

7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산학취업처

교내

8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미래정보관

교내

9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평생교육원

교내

10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재학생대표

교내

11

위원

수원첨단벤처밸리

수원첨단벤처밸리

교외

소계

총 11 명

. 대학혁신위원회 역할 등

○ 사업계획 수립·운영, 사업집행 결과, 사업운영규정 및 자체평가 등 사업 관련 주요 사항에 대한

심의

·의결

○ 대학의 투명성·공공성 강화를 위한 재정회계 모니터링 등

1.1.3.

대학혁신운영위원회

. 대학혁신운영위원회 및 소관 위원회

○ 대학혁신운영위원회 소관으로 사업비 관리 및 평가를 위한 사업비관리위원회와 자체평가

위원회를 구성하여 성과 등 결과를 종합적으로 관리

○ 대학혁신지원사업 세부추진계획 수립 및 사업비 진행계획 수립

○ 성과관리 및 규정(지침) 마련 등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79 ❙

. 대학혁신운영위원회 구성 및 역할 등

○ 대학혁신운영위원회 구성

- 기획처장을 위원장으로 주요 행정부서(13개. 사업전담운영팀, 교육과정혁신센터, 교무팀, 학생

서비스팀

, 학생상담센터, 산학협력팀, 취창업지원팀, 현장실습지원센터, 평생교육원, 국제교류

센터

, 자산팀, 기획팀, 평가팀), 회계전문가 및 학생대표 16명으로 구성함

연번

조직

구분

성명

소속

부서

직위(급)

교내/외

1

대학
혁신 
운영

위원회

위원장

기획처

기획처

교내

2

위원

혁신지원사업단

사업전담운영팀

교내

3

위원

교무처

교육과정혁신센터

교내

4

위원

교무처

교무팀

교내

5

위원

학생처

학생서비스팀

교내

6

위원

학생처

학생상담센터

교내

7

위원

산학취업처

산학협력팀

교내

8

위원

산학취업처

취창업지원팀

교내

9

위원

산학취업처

현장실습지원센터

교내

10

위원

평생교육원

평생교육팀

교내

11

위원

입학홍보처

국제교류센터

교내

12

위원

사무처

자산팀

교내

13

위원

기획처

기획팀

교내

14

위원

기획처

평가팀

교내

15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총학생회

교내

16

위원

세무회계사무소

세무회계사무소

교외

소계

총 16 명

○ 대학혁신운영위원회 역할 등

- 사업계획 및 사업비 집행계획 수립, 핵심 및 자율 성과지표 관리, 세부집행지침 마련 등 사업

전반 관리 사항에 대한 심의

·의결

- 대학혁신지원사업단을 설치하고 동 운영위원회를 통해서 사업을 관리함

. 사업비관리위원회 구성 및 역할 등

○ 사업비관리위원회 구성

- 대학은 자체적으로 대학재정운영자문위원회를 오랜 기간 자율적으로 운영해온 경험과 실적 

등이 있어서 동 위원회에서 사업비관리 역할을 함

- 기획처장을 위원장으로 재무 및 회계 등에 전문적인 지식이 있는 교원 4명과 직원 3명으로 총 

8명으로 구성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V Part

사업관리체계 구축 및 성과관리

❙ 80 ❙

연번

조직

구분

성명

소속

부서

직위(급)

교내/외

1

사업비

관리

위원회

위원장

수원여자대학교

기획처

교내

2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비즈니스과

교내

3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아동보육과

교내

4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치위생과

교내

5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비즈니스과

교내

6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기획처-평가팀

교내

7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사무처-총무팀

교내

8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교무처-교무팀

교내

소계

총 8 명

○ 사업비관리위원회 역할 등

- 사업비 집행기준 마련 및 사업비 집행 점검
- 예산편성 및 사업비 집행의 적절성과 합리성, 투명성 평가

. 자체평가위원회 구성 및 기능 등

○ 자체평가위원회 구성

- 자체평가업무의 원활한 진행을 위하여 전문지식과 실무능력이 있는 교원 4명과 직원 3명으로

총 

7명으로 구성

- 동 위원회의 객관성과 독립성을 최대한 보장하며 운영하도록 함

연번

조직

구분

성명

소속

부서

직위(급)

교내/외

1

자체
평가

위원회

위원장

수원여자대학교

간호학과

교내

2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시각디자인과

교내

3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미용예술과

교내

4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식품영양과

교내

5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교무팀

교내

6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학술정보팀

교내

7

위원

수원여자대학교

학술정보팀

교내

소계

총 7 명

○ 자체평가위원회 역할 등

- 사업운영 계획에 따른 추진 실적 점검 및 사업의 질 관리
- 사업성과의 종합적 평가로 사업목표의 효과적인 달성 방향 제시
- 실시간 사업추진 실적을 점검 및 월별, 분기별 성과관리 평가를 실시하여 사업의 실적 점검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해결 방안을 마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81 ❙

1.1.4.

사업전담관리 조직

. 대학혁신지원사업단 구성

○ 대학혁신지원사업단을 총장 직속으로 하고 사업전담운영팀을 두어 효율적인 사업이 진행되도록 함

○ 동 사업단은 사업총괄하는 사업추진단장 및 부단장, 세부 사업계획 및 시행을 하는 사업전담

운영팀과 사업성과관리를 하는 평가팀

, 예산지원 기획팀으로 구성

연번

조직

구분

성명

업무내용

직위(급) 교내/외

1

대학
혁신
지원

사업단

사업단장

사업총괄

교내

2

사업전담운영팀

사업실무총괄

교내

3

사업전담운영팀

사업운영

교내

4

사업전담운영팀

사업비집행관리

교내

5

사업전담운영팀

교육혁신사업 운영

교내

6

사업전담운영팀

산학협력사업 운영

교내

7

사업전담운영팀

기타혁신사업 운영

교내

8

평가팀

성과관리 지원

교내

9

평가팀

성과관리 실무지원

교내

10

기획팀

예산조정 지원

교내

소계

총 10 명

* 추후 사업프로그램 내용 및 진행에 따라서 대학 전체가 혁신지원사업에 참여하는 것이 원칙이며, 

사업내용에 따라 필요시 업무 수행하는 구성원을 추가할 수 있음

. 대학혁신지원사업단 기능 등

○ 사업관리

- 사업전담운영팀이 교육혁신, 산학협력 및 기타 혁신 영역의 사업계획서 프로그램을 행정부서

및 부속기관과 함께 진행

(실행, 결과보고, 환류개선)

○ 사업비 관리 및 집행

- 사업비 관리 총괄책임 사업단장인 기획처장이 있고 사업성과관리는 평가팀에서 수행하며 

사업전담운영팀에서 사업비 집행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V Part

사업관리체계 구축 및 성과관리

❙ 82 ❙

1.2.

거버넌스 구축·운영 방안 및 거버넌스별 주요 기능

증빙 pp.50~59 

1.2.1

사업추진 관련 운영 규정

. 대학혁신지원사업 운영 규정

○ 대학혁신지원사업의 운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하여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운영규정을 제정 

시행하여 위원회 및 추진단을 설치하고 동 사업을 운영하고 있음

구분

주요내용

비고

목적

전문대학 혁신지원 사업의 효율적 추진과 관리

제1조

사업전담조직

사업실무를 총괄하는 사업전담조직인 대학혁신지원사업단 설치

제4조

대학혁신위원회

대학혁신지원사업 운영에 관한 중요한 사항을 심의 의결

제5조

대학혁신운영위원회

혁신지원사업 세부추진계획 수립 및 사업집행계획 등 사업운영

제6조

자체평가위원회

성과평가 및 환류체계 점검 등

제7조

사업비관리위원회

사업비 집행기준을 마련하고 집행을 점검

제8조

사업비 관리

산학협력단 회계로 처리하고 별도 관리

제9조

사업비 집행 

사업비 집행의 세부적인 지침을 마련하여 시행함

제10조

사업비 정산 등

사업비 집행실적 및 관련 증빙, 성과 지표의 달성여부 등 성과평가 
보고서를 작성 제출

제11조

기타(준용)

해석상 논란이 발생하는 사항은 위원회의 별도 심의 후 처리

제12조

. 사업비 집행기준

○ 사업비 집행과 관련된 기본 사항, 사업비 집행 및 정산, 사업기간 및 집행범위, 지원금 조정 및 

집행 결과의 공개에 대한 자체 기준을 제정 시행함

구분

주요내용

비고

제정목적

사업운영에 관한 세부사항에 대한 기준 마련 등

제정근거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기본계획 및 대학 재정지원사업 
관리운영에 관한 규정 외

적용범위 및 집행기간

2022 협약 체결 시 ~ 협약종료 시

사업비 예산편성 및 집행기준

자율혁신계획서 상 재정투자계획 범위 내에서 집행

사업비 집행원칙

사업 목표 달성에 필요한 경비에 절차를 준수하여 집행

사업추진계획 및 결과보고

사업계획에 혁신지원사업 관련 명시 및 사업추진성과와 
성과지표 반영하여 결과보고

결재선 및 수신처

자율혁신지원사업 결재선 및 수신처

비목별 계상·집행 기준

비목별 사용가능 및 집행불가항목 기준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83 ❙

1.2.2.

구성원의 참여

. 고객수요자 요구도 및 만족도 조사

○ 매년 재학생 및 졸업생, 산업체, 학부모, 지역사회, 교원 및 직원, 조교를 대상으로 고객수요자 

요구도

, 만족도를 조사 및 분석하여 혁신사업에 반영 업무개선

. 내부 구성원의 사업참여

○ 사업의 구체적인 프로그램 선정을 위하여 내부 구성원인 재학생과 교직원의 설문 조사를 시행

하여 이를 반영하여 사업계획을 작성

○ 동 사업계획에 대하여 설명회 및 공청회 등을 통해서 추가적인 요구사항을 반영하며 사업

시행 시 재학생과 교직원이 진행과정을 알 수 있도록 공개

구분

주요내용

비고

의견수렴(전체)

요구도 및 만족도 조사, 설문조사 및 설명회, 공청회 등

재학생

부서 및 학과사업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의견 반영

교직원

부서 및 학과사업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의견 반영

사업체

부서 및 학과사업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의견 반영

학부모 및 지역사회

부서 및 학과사업 프로그램 참여에 따른 의견 반영

부서 및 학과 사업

동 사업 프로그램에 대한 대학발전위원회 심의 및 개선 반영

개선 환류

부서 및 학과사업 프로그램에 개선의견 반영

구분

주요내용

비고

비목별 집행원칙

비목(1.인건비, 2.장학금, 3.교육·연구 프로그램개발 연구비, 
4.교육·연구 환경개선비, 5. 실험·실습 장비 및 기자재 
구입·운영비, 6 그 밖의 사업운영경비)별 집행 원칙

사업비 정산원칙

비목별 정산원칙 및 증빙서류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V Part

사업관리체계 구축 및 성과관리

❙ 84 ❙

2.

성과관리 체계

2.1.

대학의 중장기 발전계획-자율혁신계획-재정투자계획-성과관리의 일관성 및 연계성

<중장기발전계획과 자율혁신계획과의 연계>

혁신지원사업

중장기발전계획서 연계

재정투자 계획 및 비율

(단위 백만원)

성과 관리

혁신
영역

혁신전략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교육
혁신

교육혁신을 위한 
학사제도 유연화 

Ÿ 5대전략(대학경영)
Ÿ 5대전략(교육품질)
Ÿ 융합특화 4대과제 

(디지털캠퍼스)

Ÿ 융합특화 4대과제 

(교내인프라 내실화)

656.4

(17.4%)

710.4

(18.9%)

736.0

(19.6%)

Ÿ 교육 

혁신지수

Ÿ 학생지원 

성과 지수

Ÿ 학생취업 

경쟁력지수

교수-학습 지원 및 

교육의 질 관리 

고도화

Ÿ 5대전략(대학경영)
Ÿ 5대전략(교육품질) 
Ÿ 5대전략(교육성과)
Ÿ 융합특화 4대과제 

(디지털캠퍼스)

Ÿ 융합특화 4대과제 

(교내인프라 내실화)

346.0

(9.2%)

491.3

(13.1%)

221.3

(5.9%)

전공기반 비교과 

프로그램 특화 및 

내실화

Ÿ 5대전략(교육품질)
Ÿ 5대전략(교육성과)

15.2

(0.4%)

35.7

(0.9%)

40.7

(1.1%)

학생성공·학생행복 

지원시스템 혁신

Ÿ 5대전략(서비스)
Ÿ 5대전략(산학협력)

1,387.2

(36.9%)

745.6

(19.8%)

800.6

(21.3%)

교육혁신 사업비 총합

2,408.8

(63.9%)

1,983.0

(52.7%)

1,798.6

(47.8%)

산학
협력
혁신

신산업 기반 

산학연계 현장중심 

창의 융합형 

인력양성 및 친화형 

인프라 강화 혁신

Ÿ 5대전략(산학협력)
Ÿ 융합특화 4대과제 

(산학협력친화형)

582.6

(15.5%)

690.6

(18.4%)

690.6

(18.4%)

Ÿ 산학협력 

역량지수

산학연계 취·창업 

역량강화 모델 혁신

Ÿ 5대전략(대학경영)
Ÿ 5대전략(산학협력)
Ÿ 융합특화 4대과제 

(교내인프라 내실화)

Ÿ 융합특화 4대과제 

(산학협력친화형)

92.5

(2.5%)

194.7

(5.2%)

394.7

(10.5%)

산학협력혁신 사업비 총합

675.1

(17.9%)

885.3

(23.5%)

1.085.3

(28.8%)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85 ❙

○ 중장기발전계획 VISION 2025+는 대학 발전의 기본방향, 발전목표, 추진전략 및 세부 추진과제,

자체평가 및 환류를 체계적으로 갖추고 있으며 이를 실행할 구체화 방안을 자율혁신계획 

수립에 포함함으로써 지속가능한 대학 선순환 경영체제를 확립함

○ 중장기발전계획 VISION 2025+의 비전인‘인성과 전문성이 자라는 큰 숲’실현을 위해 자율혁신계획 

목표를

‘수원여대형 D-WAVE, N-WAVE 디지털 여성인재양성 직업교육체제 혁신’으로 설정함

○ 자율혁신계획은 대학 중장기발전계획 VISION 2025+에서 추구하는 전략과제의 방향성에 부합

하고 대학교육 환경변화에 따른 새로운 사회 요구에 부응할 수 있는 추진전략 및 전략과제를 도출함

○ 디지털 여성인재를 양성하고자 3개의 세부영역(교육혁신, 산학협력혁신, 기타혁신)에 적합한 

혁신 계획을 수립하고 가장 핵심 영역인 교육혁신 영역에 

63.9%(1차년도), 52.7%(2차년도),

47.8%(3차년도)의 재정을 투자할 계획임

○ 성과지표는 4개의 핵심지표와 5개의 자율지표를 설정하였으며 9개의 세부 하위지표로 구성된

5개 성과지표는 자율혁신계획의 성과를 측정하는 총괄 지표로 활용함

혁신지원사업

중장기발전계획서 연계

재정투자 계획 및 비율

(단위 백만원)

성과 관리

혁신
영역

혁신전략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기타
혁신

대학-지역 협력 기반 

고등직업교육 거점 

기관 구축

Ÿ 5대전략(서비스)
Ÿ 융합특화 4대과제 

(성인학습자친화형)

12.0

(0.3%)

12.0

(0.3%)

12.0

(0.3%)

Ÿ 지역사회 

협력지수

대학-지역사회 

상생의 가치 실현을 
위한 사회공헌 활동

Ÿ 5대전략(서비스)

42.7

(1.1%)

42.7

(1.1%)

42.7

(1.1%)

전공연계 해외 

현장실무 경험 및 

해외 취업 지원

Ÿ 5대전략(산학협력)
Ÿ 융합특화 4대과제 

(산학협력친화형)

150.0

(4.0%)

250.0
6.6%)

250.0

(6.6%)

기타혁신 사업비 총합

204.7

(5.4%)

304.8

(8.1%)

304.8

(8.1%)

사업관리 사업비(간접비 등)

477.4

(12.7%)

588.9

(15.7%)

573.3

(15.2%)

혁신지원사업비 총합

3,762.0 3.762.0 3.762.0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V Part

사업관리체계 구축 및 성과관리

❙ 86 ❙

2.2.

대학 전반의 역량관리 체계

2.2.1.

자율혁신계획 역량관리 방안

<혁신지원사업 지원 조직>

○ 대학 혁신지원사업단을 중심으로 혁신지원사업의 효율적인 추진을 위해 대학혁신위원회(위

원장

: 총장)에서 사업을 총괄하고 사업비 관리위원회, 자체평가위원회, 대학혁신운영 위원회 

등 사업 운영 관련 위원회 운영을 통해 재정지원사업의 전체 계획을 수립

, 성과관리, 성과확산

에 관련된 업무를 처리함

○ 대학혁신지원사업단은 사업단장(기획처장)을 총괄책임자로 대학혁신위원회에서 승인된 세부집행 

계획 및 사업관련 제 규정에 따라 부문별 사업수행

, 성과평가 및 관리 등을 효율적으로 수행함

○ 대학혁신지원사업단은 기획팀과 유기적 협업을 통해 사업비 집행을 엄정히 관리함은 물론 

사업성과 제고를 위해 수시로 사업성과 모니터링을 수행하여 사업계획의 수정 및 변경 요구

사항은 대학혁신운영위원회의 검토와 대학혁신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연차적 또는 적시에 

반영토록 함

○ 체계화된 사업성과 관리를 지원하고 사업성과의 공유 및 환류체계를 강화하기 위해 관련 부서

실무진 및 재학생 대표

, 회계사 등으로 구성된 대학혁신운영위원회를 운영함

○ 대학 혁신지원사업 진행의 공정성을 담보하기 위해 재학생 대표 및 외부 전문가를 위원회에 

포함하여 객관적인 사업 추진 계획 수립 및 진행 상황을 모니터링함

(대학혁신위원회 : 재학생 

1인 외부전문가 1인 포함, 대학혁신운영위원회 : 재학생 1인 외부전문가 1인 포함)

○ 혁신지원사업 추진결과에 대한 품질 평가를 통해 차년도 사업계획에 반영될 수 있는 환류

체계를 마련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87 ❙

2.2.2.

역량 관리 환류 체계

○ 대학혁신지원사업 관련 자체평가위원회 운영을 통해 자체평가를 실시하고 환류를 통하여 사

업성과를 체계적으로 관리함

○ 자체평가위원회는 대학의 중장기발전계획과 연계한 사업운영 및 사업비 집행상황, 성과지표 

관리 등을 평가하고 개선방향을 제시함

○ 우리 대학이 추구하는 중장기발전계획과 혁신지원사업의 합목적성을 검토하고, 이를 효율적

으로 수행하기 위해 대학혁신위원회를 중심으로 사업성과를 공유

·연계·차별화할 수 있는 전

략을 세우고 이를 실현하여

, 사업효과를 배가함

○ 사업계획 및 추진 단계와 자체평가 및 환류 단계의 유기적 연결을 통해 사업개선방안 체계를 

마련하여 중장기발전계획과 연계한 체계적 환류 방안을 마련

<중장기발전계획과 연계한 대학 역량 강화를 위한 수원여대 관리 Band>

2.3.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성과관리체계

○ 사업진행과정에서 생성된 운영 결과 데이터와 평가 결과를 분석하여 차년도 사업 계획에 

환류함으로써 대학의 혁신지원사업 추진 역량을 제고하고 사업의 성공을 담보함

○ 외부 위원이 사업 자체평가위원회에 참여함으로써, 대학내외의 관점에서 개선사항 도출 및 

사업의 운영

, 목표달성 정도, 사업수행 성과에 대한 평가와 컨설팅 역할을 수행함

○ 성과 확산 및 환류의 체계적 운영을 통한 사업의 질 관리 및 환류 체계를 고도화 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V Part

사업관리체계 구축 및 성과관리

❙ 88 ❙

<혁신지원사업 성과 관리 및 확산 방안>

구분

 추진내용

핵심 및 

자율성과 

지표 관리

Ÿ 전년도 사업평가 결과, 자체평가위원회, 대학혁신지원사업단, 그리고 개별 운영 부서 

간 협의를 통해 차년도 추진계획 수립

Ÿ 대학혁신지원사업  전담  관리조직인  대학혁신지원사업단은  대학혁신지원사업을  수

행하며 수시로 실적을 점검하고 환류, 성과 모니터링 실시

Ÿ 핵심성과지표 : 대학혁신지원사업단 중심으로 핵심지표 목표치 설정, 지속적 달성도 

확인, 최종지표달성 평가 시행

Ÿ 자율지표 : 달성도 확인 및 지표수정, 달성도 확인(수시), 최종지표 달성 평가

사업비 집행 

가이드라인 

마련

Ÿ 한국연구재단 사업비 집행 가이드라인에 따라 우리 대학의 사업비 집행지침을 제정, 배포
Ÿ 예산의 합목적성과 집행의 안정성 확보를 위해 집행원칙 및 추진 절차, 사업비 운영, 

사업비 집행기준을 마련하고 설명회 개최

Ÿ 사업비 중앙관리 및 부적절 사용에 대해서는 철저한 환수를 통하여 집행의 엄정성 유지 

사업시행 

과정 

모니터링

Ÿ 학생모니터링 : 학생이 혁신지원사업의 계획부터 사업비 관리까지 전반적인 위원회에 

포함하여 학생입장에서의 모니터링 진행

Ÿ 부서별 자체 모니터링 : 부서별 자체 모니터링 실시, 향후 개선방안 도출
Ÿ 대학혁신위원회 : 진행 상황 모니터링 진행
Ÿ 대학혁신운영위원회 :세부 사업별 추진 성과 지표, 예산, 집행내역, 일정 등에 대한 

모니터링 실시 및 향후 운영 방안 제안

자체평가

Ÿ 사업전담 조직의 자체평가위원회가 중심이 되어 사업의 추진 성과를 점검하고 평가

하여 그 결과를 대학혁신 위원회로 보고하여 사업 전략의 타당성을 검토하는데 활용
하고 사업전담부서로 환류 하여 사업성과 제고에 활용함

Ÿ 우리 대학이 추구하는 중장기발전계획과 혁신지원사업의 합목적성을 검토하고, 발전

전략에 환류함

Ÿ 외부위원 포함된 자체평가위원회의 평가를 통해 혁신지원사업 목표 달성정도와 진행 

현황을 점검받음으로써 평가의 객관성, 신뢰성을 확보함

Ÿ 사업 계획 수립 및 심의 단계(PLAN) - 사업 운영 단계(DO) - 사업평가 및 모니터링 

단계(CHECK) - 개선(ACT) 단계를 반복하며 사업성과 제고를 위한 지속적·주기적 순환
점검 및 평가를 시행함

Ÿ 대학혁신사업의 운영성과의 타당성과 운영과정의 적절성 평가를 통해 사업 추진의 

문제점을 진단하고 차년도 사업추진 및 대학운영에 반영함

사업 결과 

환류

Ÿ 자체평가위원회에서 매년 자체평가를 실시하여 그동안의 사업 추진 성과를 평가하고 

성과지표 달성도 점검 개선을 통해 환류함

Ÿ 학생들을  대상으로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를  실시함으로써  혁신지원사업에  대한 

구성원들의 만족도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환류함

Ÿ 성과평가 결과 분석 내용을 바탕으로 사업 내용 개선을 위한 전체적인 방향성을 재

설정 함

Ÿ 체계적인 환류 체계를 통해 세부 프로그램 실무추진부서의 성과부터 대학혁신지원

사업의 목표 달성이 가능하도록 함

성과 지속 

및 확산

Ÿ 대학교육혁신본부를 중심으로 교육혁신 우수모델을 발굴하여 대내외 공유·확산
Ÿ 대학 자체적으로 우수 교육혁신 프로그램에 대한 성과 지속을 위해 제도적, 행정적, 

재정적 지원을 유지·강화함

Ÿ 사업성과가 우수한 프로그램의 사례를 발굴하여 학내 모든 학과에 적용하고 학과 및 

전공의 특성을 고려하여 지속적으로 프로그램 개선에 활용함

Ÿ 성과확산과 환류의 생태계 조성과 피드백을 통한 차년도 사업반영 및 사업성과 관리 

선순환 체계 구축 운영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89 ❙

3.

성과지표

3.1.

성과지표 설정 및 목표달성 계획 총괄표

구분

지표명

단위

기준 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핵심성과 지표

① 재학생 충원율, ② 전임교원 확보율, ③ 교육비 환원율, ④취업률

자율성과 지표

① 교육혁신지수

%

100%

118.5%

137.8%

170.1%

② 학생지원 성과지수

%

100%

105.0%

112.0%

117.0%

③ 학생 취업경쟁력 지수

%

100%

102.6%

106.7%

110.8%

④ 산학협력 역량지수

%

100%

104.2%

109.0%

112.4%

⑤ 지역사회 협업지수

%

100%

112.8%

137.8%

167.8%

3.1.1.

자율성과지표명 

: 교육혁신지수

증빙 p.60

지표명

기준 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교육혁신 지수

100%

118.5%

137.8%

170.1%

지표
설정
근거

지표선정이유

Ÿ 교육혁신지수는 중장기발전계획 목표 달성을 위한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혁신을 측정

하는 지표

Ÿ 급변하는 교육환경과 코로나 사태 등 예측이 어려운 미래 교육환경에 대비하여 교육

과정과 교수학습의 역량을 증진시키고 그 성과를 측정하고자 선정

세부내용(과제)

과의 관련성

Ÿ 교육혁신을 위한 역량기반 전공학사제도 유연화 및 교육과정 개편, 교수-학습 프로그램 

및 지원, 수요자 중심 학과연계 대표 브랜드 프로그램 개발 등 다양한 세부 프로그램과 관련

산출식

Ÿ 산출식 : 

 향상률×0.3 +  향상률×0.4 +  향상률 × 0.3

Ÿ 향상률 :  

기준값 실적

해당연도 실적

× 

세부 산출내용

Ÿ 세부지표별 기준값 및 목표값

세부지표

기준값

1차년도 목표

2차년도 목표

3차년도 목표

100(27%)

150%

200%

300%

100(342%)

105%

115%

120%

100(4.34점)

105%

106%

107%

Ÿ 측정방법

역량기반 교육과정 참여 비율식: {(연간 역량기반 교육과정 개발학과 참여학생
인원) + (융합부전공제 개발학과 참여학생인원)} / (신입생 입학정원)} × 100

ACE 교수법 참여교원 비율식 : {(교수지원관련 교수법 참여교원 수) + (수업컨
설팅 참여교원 수)} / (전임교원수) × 100

학습지원 비교과 프로그램 만족도 식 : 학습지원 관련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학
생 만족도(5점 척도 기준)

※ 신입생 입학정원 수 : 정원 내 신입생 입학정원(모집요강 기준)
※ 참여학생 인원 : 개발학과 정원 내 신입생 입학정원
※ 전임교원수 : 당해년도 정보공시 기준
※ 역량기반 교육과정 참여 비율식은 2022~2024년까지  전체 학과 대비 연간 혁신교육과정 개발 

누적 실적으로 평가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V Part

사업관리체계 구축 및 성과관리

❙ 90 ❙

지표명

기준 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Ÿ 최근3개년간 추세분석을 통한 기준값 및 연도별 목표값을 설정함
Ÿ 대학혁신사업을 통한 교육의 질적 수준의 향상을 객관적 조사도구로 측정함
Ÿ 코로나19등의 상황에 따라 매년 편차가 큰 결과값이 도출됨에 따라 3개년 평균을 기준 

값으로 설정함

Ÿ 역량기반 교육과정 참여 비율식

- 역량기반 교육혁신 성과를 총체적이고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하여 역량기반 교육

과정  개발  학과의  참여학생  수와  융합부전공제  개발학과  참여학생  수를  활용하여 
기준값과 목표값을 설정. 또한 본 사업으로 신규 교육과정으로 개발하여 진행하는 
개발 난이도를 고려하여 교육의 질 관리가 가능한 도전적 수준으로 목표 설정. 

- 산출식에 따른 

 의 값은 19년 39%, 20년 28%, 21년 14%의 결과가 도출되어 현재

값을 3개년 평균값인 27%로 설정

Ÿ ACE 교수법 참여교원 비율식

- 교수법 참여인원과 수업컨설팅 참여교원수를 근거로 현재 기준값을 설정하였으며, 

추후 혁신사업을 통해 다양한 신산업 관련 교수법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수의 참
여율을 제고할 계획임

- 산출식에 따른 

의 값은19년 48%(대면), 20년 445%(대면+비대면), 21년 532%(대

면+비대면)의 결과가 도출되어 현재값을 3개년 평균값인 342%로 설정

Ÿ 학습지원 비교과 프로그램 만족도 식

- 만족도는 전체 학생 중 세부지표별 혁신지원사업 비교과 프로그램 참여학생을 대상

으로 조사실시. 5점 척도로 측정하며, 다양한 학습지원 비교과 프로그램의 교육성과
를 측정함

- 산출식에 따른  

의 값은 20년 4.28점, 21년 4.4점으로 도출되어 현재값을 2개년 

평균값인 4.34점로 설정

성과지표 

목표값 달성 계획

Ÿ 미래사회에 필요한 교육혁신을 달성하기 위한 기존의 교육방식과 차별되는 창의적

인 혁신 인재양성을 위한 교육과정혁신을 지원하고, 개별 학습자의 니즈에 맞는 맞
춤형 교육 제공

Ÿ 학사제도 유연화 및 융합 부전공 교육과정 참여 확대, 교양교육과정 및 비교과 프로

그램 개발 및 운영, 교수역량 강화 및 교양 교육 질 관리, 스마트 환경 기반 e-러닝 
인프라 개선, 비교과 프로그램 관리시스템 고도화, 비교과 교육과정 CQI 체계 확립 
등의 세부과제를 중심으로 달성

기대성과

Ÿ 학습자 수요에 맞는 맞춤형 역량기반 교육생태계를 구축하여 핵심역량 중심 교육과

정, 커리큘럼화된 비교과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학생참여를 유도하여 단기적 성과를 
달성하고, 이를 통해 사회 맞춤형 융합인재양성 목표를 장기적 성과로 가능하게 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91 ❙

3.1.2.

자율성과지표명 

: 학생지원 성과지수

증빙 p.61

지표명

기준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학생지원 성과지수

100%

105.0%

112.0%

117.0%

지표
설정
근거

지표선정이유

Ÿ 학생지원 성과지수는 중장기 발전 목표 측정하는 지표로 재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지원, 

진로지원 및 학생복지서비스를 효과적으로 관리함으로써 학생중심의 대학문화를 조성
하고 학생 성공견양 사업의 성과를 측정하고자 선정함

세부내용(과제)

과의 관련성

Ÿ 학생 맞춤형 진로·취업·창업 역량강화 지원 고도화, 대학적응력 향상을 위한 심리·정서

지원 체계화, 학생행복 지원서비스 혁신 등 다양한 세부 프로그램들과 연계

산출식

Ÿ 산출식 : 

 향상률×0.4 +  향상률 ×0.4 +  향상률 × 0.2

Ÿ 향상률 :  

기준값 실적

해당연도 실적

× 

세부 산출내용

Ÿ 세부지표별 기준값 및 목표값

세부지표

기준값

1차년도 목표

2차년도 목표

3차년도 목표

100(118%)

105%

110%

115%

100(667%)

105%

115%

120%

100(3.37점)

105%

110%

115%

Ÿ 측정방법

심리정서지원 상담 참여 비율식: (심리상담 프로그램 참여자 인원수/재학생수)×100

진로·취업·창업 비교과프로그램 참여 비율식: (진로·취업 ·창업 프로그램 참여자수/재학생 수)×100

재학생 만족도 식: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 결과(재학생부문) 점수(5점 척도 기준)

※ 재학생수 : 고등교육통계 4월1일, 10월1일자 정원 내 재학생 수 평균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Ÿ 코로나 이전 실적치와 2021년 추세분석을 통한 기준값 및 연도별 목표값을 설정함
Ÿ 대학혁신사업을 통한 학생지원서비스를 지속적으로 향상시키기 위해 학생지원 성과

지수를 객관적 조사도구로 측정함

Ÿ 코로나19등의 상황에 따라 매년 편차가 큰 결과값이 도출됨에 따라 3개년 평균을 기

준 값으로 설정함

Ÿ 심리정서지원 상담 참여율:

- 심리·정서적 지원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재학생의 ‘심리검사, 개인상담 및 심리

집단상담 프로그램’ 참여 비율을 지표로 선정함

- 산출식에 따른 

 의 값은 19년 95%, 20년 117%, 21년 142%의 결과가 도출되어 현재

값을 3개년 평균값인 118%로 설정함

Ÿ 진로·취업·창업 비교과프로그램 참여율:

- 학생 맞춤형 진로·취업·창업 역량강화 지원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재학생의 

‘진로 프로그램 및 취·창업 지원프로그램’ 참여 비율을 지표로 선정함

- 산출식에 따른 

 값은 19년 519%, 20년 749%, 21년 733%의 결과가 도출되어 현재

값을 3개년 평균값인 667%로 설정함

Ÿ 재학생 만족도

- 학생 지원서비스에 대한 재학생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대학에서 실시

하는 교육수요자 만족도 중 재학생 만족도 점수를 지표로 선정함

Ÿ

 값은 19년 3.36점, 20년 3.40점, 21년 3.36점의 결과가 도출되어 현재값을 3개년 

평균값인 3.37점으로 설정함

성과지표 

목표값 달성 계획

Ÿ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적 인재 양성을 위해 학생의 자기 주도적 참여와 다양한 

경험을 할 수 있는 학생중심의 지원체계 구축

Ÿ 학생성공 및 학생행복 제고를 위한 학생지원서비스 고도화를 위하여 대학생활적응 

프로그램 질 관리 및 참여율 제고, 진로·취업·창업 프로그램 질 관리 및 참여율 제고, 
학생지원서비스 만족도 제고

기대성과

Ÿ 학생성공을 위한 자기 주도적 참여와 다양한 경험 제공을 통한 재학생 중도탈락률 

감소 및 만족도 향상이라는 단기적 성과를 바탕으로 장기적으로는 양질의 진로·취·창
업·글로벌 비교과 프로그램 운영을 통한 학생의 핵심역량 신장 및 취업률 향상 및 사
회변화에 창의적으로 도전하는 창의 여성인재 양성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V Part

사업관리체계 구축 및 성과관리

❙ 92 ❙

3.1.3.

자율성과지표명 

: 학생 취업경쟁력 지수

증빙 p.62

지표명

기준 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학생 취업경쟁력 지수

100%

102.6%

106.7%

110.8%

지표
설정
근거

지표선정이유

Ÿ 학생들의 미래사회 적응력을 높이고 급변하는 사회 요구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대학 지원 등 관련 사업의 성과를 측정하고자 선정 

세부내용(과제)

과의 관련성

Ÿ SUCCA 핵심역량 인증제 고도화 및 교육의 질 관리 등 학생 취업경쟁력 향상을 위한 

다양한 세부프로그램들과 관련

산출식

Ÿ 산출식 : 

 향상률×0.3 +  향상률×0.4 +  향상률 × 0.3

Ÿ 향상률 :  

기준값 실적

해당연도 실적

× 

세부 산출내용

Ÿ 세부지표별 기준값 및 목표값

세부지표

기준값

1차년도 목표

2차년도 목표

3차년도 목표

100(108.14%)

105%

115%

125%

100(84.77%)

102%

104%

106%

100(3.64점)

101%

102%

103%

Ÿ 측정방법

핵심역량 진단 향상 비율식: (핵심역량 진단  사후검사 결과/핵심역량 진단  사전검사 결과) × 0.3

국가면허시험 합격 비율식 : (국가면허시험 응시자 수/합격자 수)×100 × 0.4

교육과정 만족도 식: 교육수요자 만족도 항목 중 교육부문 만족도 점수(5점 척도 기준) × 0.3

※ 국가면허시험 : 간호학과, 치위생과, 식품영양과, 물리치료과 등 전공연계 취업을 위한 필수 

국가면허시험에 한정함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Ÿ 2021년 실적 분석을 통한 기준값 및 연도별 목표값을 설정
Ÿ 대학혁신사업을 통한 구체적 교육성과 수준 향상을 객관적 조사도구로 측정함
Ÿ 목표값 설정은 실적이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있으므로 전년도 실적을 기준으로 도전적

으로 목표를 설정함 

Ÿ 신입생을 대상으로 핵심역량 사전진단 점수대비 졸업 직전학기 핵심역량 사후진단 

점수결과를  토대로  핵심역량  진단  향상률을  도출하여  재학  기간  동안의  핵심역량 
향상 지표를 근거로 현재값을 설정

Ÿ 본교  취업률은  4년연속  전국  여자대학교  취업률  1위로서  현재를  유지하고  학생의 

취업경쟁력 지수를 높이기 위해 다양한 혁신사업에 학생 참여를 높임으로써 취업률 
향상에 기여

Ÿ 핵심역량 진단 향상 비율식

- 개인별 핵심역량진단 결과를 통한 학습목표 계획 수립 및 목표 달성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재학생의 핵심역량진단 사전검사 대비 사후검사 향상점수를 지표로 선정함

- 산출식에 따른 

 의 값은 20년 107.99%, 21년 108.30%의 결과가 도출되어 현재값을 

2개년 평균값인 108.14%로 설정함

Ÿ 국가면허시험 합격 비율식

- 학생 맞춤형 진로·취업·창업 역량강화 지원에 대한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국가면허

시험 합격 비율식을 지표로 선정함

- 산출식에 따른 

  값은 19년 88.61%, 20년 83.27%, 21년 82.43%의 결과가 도출되어 

현재값을 3개년 평균값인 84.77%로 설정함

Ÿ 교육과정 만족도 식

- 교육과정에  대한  재학생의  전반적인  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  대학에서  실시하는 

교육수요자 만족도 중 재학생의 교육과정 만족도 점수를 지표로 선정함

Ÿ

 값은 19년 3.57점, 20년 3.54점, 21년 3.81점의 결과가 도출되어 현재값을 3개년 

평균값인 3.64점으로 설정함

성과지표 

목표값 달성 계획

Ÿ 혁신적인 교육 서비스 제공 성과를 통해 학생성공 중심의 맞춤형 교육 제공 및 학생

들의 핵심 역량 향상

Ÿ 디지털 배지를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및 역량을 관리하는 핵심역량 인증체제 고

도화 및 SUCCA 핵심역량 인증제와 디지털 배지 개발 연계 운영 고도화, 데이터 기
반 대학성과관리 모델 구축, 학생중심의 교육성과 관리, 교과 연계 비교과 교육과정 
제도 도입, 교과연계 비교과 교육과정 자격검정 및 취득기준 마련 등을 통해 달성

기대성과

Ÿ 차별화된 교육모델에 의한 핵심역량의 향상이라는 단기적 성과를 통해 중장기적으

로 학생성공을 위한 자기 주도적 참여와 다양한 경험 제공하며, 산업 및 사회변화에 
창의적으로 도전하는 창의 여성인재 양성 배양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93 ❙

3.1.4.

자율성과지표명 

: 산학협력 역량지수

증빙 p.63

지표명

기준 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산학협력 역량지수

100%

104.2%

109.0%

112.4%

지표
설정
근거

지표선정이유

Ÿ 미래사회에 적합한 융복합 인재양성을 위하여 중장기 발전계획에 의거한 현장중심

의 산학협력 혁신을 위한 종합 활동들의 성과를 측정하고자 선정 

세부내용(과제)

과의 관련성

Ÿ 산업체 수요기반 현장 친화형 직업교육 거버넌스 구축 및 산학연 동반 성장 공유 협

업 생태계 고도화를 위한 다양한 세부프로그램들과 관련

산출식

Ÿ 산출식 : 

 향상률×0.2 +  향상률×0.2 +  향상률×0.2 +  향상률×0.2 +  향상률×0.2

Ÿ 향상률 :  

기준값 실적

해당연도 실적

× 

세부 산출내용

Ÿ 세부지표별 기준값 및 목표값

세부지표

기준값

1차년도 목표

2차년도 목표

3차년도 목표

100(13.92%)

105%

115%

120%

100(6.69%)

103%

107%

110%

100(26.12%)

105%

108%

110%

100(106.50%)

105%

110%

115%

100(58.00%)

103%

105%

107%

Ÿ 측정방법

가족회사 체결 향상 비율식 : (가족회사 체결 건수/ 재학생 수(정원내)) × 0.2

표준 현장실습 이수율 향상 비율식 : (표준 현장실습 학기제 이수 학생/현장실습학기제 
참여 학과 재학생 수)×100  × 0.2

캡스톤 디자인 이수율 향상 비율식 : (캡스톤디자인 이수 학생/재학생수(정원내))×100 × 0.2

산업체 인사활용 취창업프로그램 참여율 향상 비율식 : (산업체 인사활용 취창업 프로그램 
참여자/재학생 수(정원내))×100 × 0.2

주문식 교육과정 이수자 취업률 향상 비율식 : (주문식 교육과정 취업자 수/주문식 교육
과정 이수자)×100 × 0.2

※ 재학생수 : 고등교육통계 4월1일, 10월1일자 재학생 수(정원내) 평균
※ 현장실습학기제 참여 학과 재학생  수 : 4월1일, 10월1일자 재학생 수(정원내) 평균
※ 주문식 교육과정 이수자 : 차년도 2월 졸업자 중 교과과정 이수자로 한정함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Ÿ 최근 3개년간 추세분석을 통한 기준값 및 연도별 목표값을 설정함
Ÿ 대학혁신사업을 통한 산학협력의 실질적 협업수준 향상을 객관적 조사도구로 측정함
Ÿ 목표값 설정은 실적이 등락하고 있어 대학 자체적으로 목표를 도전적으로 설정함 
Ÿ 기업체간 기술 및 정보 공유, 네트워크 형성, 공동 연구과제 수행등 지역사회 상생협력 

강화를 통해 산학협력 혁신생태계 구축 및 본교 취업률 향상에 기여

Ÿ 가족회사 체결 향상 비율식

- 지역사회 기업과의 협업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가족회사 체결 향상 비율식을 지표로 

선정함

- 산출식에 따른 

의 값은 19년 13.67%, 20년 12.44%, 21년 15.64%의 결과가 도출

되어 현재값을 3개년 평균값인 13.92%로 설정함

Ÿ 표준 현장실습 이수율 향상 비율식

- 학생의 현장적응력 및 직무능력 향상에 초점을 맞춘 현장실습 교육 내실화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표준 현장실습 이수율 향상 비율식을 지표로 선정함

- 산출식에 따른 

  값은 21년 6.69%의 결과가 도출되어 현재값을 21년 기준인 6.69%로 

설정함

Ÿ 캡스톤 디자인 이수율 향상 비율식

- 국가직무능력표준(NCS)에 근거하여 창의적 종합설계 능력을 갖춘 인재 양성을 위한 

교육 결과를 점검하기 위해 캡스톤 디자인 이수율 향상 비율식 을 지표로 선정함

-

 값은 19년 26.34%, 20년 27.30%, 21년 24.72%의 결과가 도출되어 현재값을 3개년 

평균값인 26.12%으로 설정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IV Part

사업관리체계 구축 및 성과관리

❙ 94 ❙

3.1.5.

자율성과지표명 

: 지역사회 협력지수

증빙 p.64

지표명

기준 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지역사회협력지수

100%

112.8%

137.8%

167.8%

지표
설정
근거

지표선정이유

Ÿ 지역사회협력지수는 대학의 건학이념 및 공적기관으로서의 사회적 가치실현과 대학 

간 공유·협력을 통해 공동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동반성장의 고등교육 생태계를 조성
하고자 하는 대학의 기여와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선정함

세부내용(과제)

과의 관련성

Ÿ 지역사회 경험학습 활성화를 통한 사회봉사활동 실천 및 권역별 원격교육지원센터 

공동 교육과정 운영 등 다양한 세부프로그램들과 관련

산출식

Ÿ 산출식 : 

 향상률×0.5 +  향상률×0.25 +  향상률×0.25

Ÿ 향상률 :  

기준값 실적

해당연도 실적

× 

세부 산출내용

Ÿ 세부지표별 기준값 및 목표값

세부지표

기준값

1차년도 목표

2차년도 목표

3차년도 목표

100(58.66%)

120%

150%

200%

100(4.47점)

101%

101%

101%

100(3.56%)

110%

150%

170%

Ÿ 측정방법

사회공헌활동 참여율 향상 비율식 : (사회공헌활동 참여자 /재학생수(정원내))×100 × 0.5

공동 교육과정 만족도 식 : 원격교육거점센터를 통해 개발한 온라인 강좌 수강생(수원
여자대학교 재학생 한정)의 강의평가 점수(5점 척도 기준) × 0.25

K-MOOC 학점인정 참여율 향상 비율식 : (K-MOOC 학점인정 참여 학생 /재학생수(정
원내))×100×0.25

※ 재학생수 : 고등교육통계 4월1일, 10월1일자 재학생수 평균

지표명

기준 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Ÿ 산업체 인사활용 취창업프로그램 참여율 향상 비율식

- 급변하는 산업 환경변화에 대처하기 위해 산업체 인사를 활용하여 재학생들의 취창업 

능력을  향상시킨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산업체  인사활용  취창업프로그램  참여율 
향상 비율식을 지표로 선정함

- 산출식에 따른 

 값은 19년 129.63%, 20년 63.63%, 21년 126.22%의 결과가 도출

되어 현재값을 3개년 평균값인 106.50%으로 설정함

Ÿ 주문식 교육과정 이수자 취업률 향상 비율식

- 산업체가 요구하는 전문 인력을 양성하여 졸업생의 취업 기회를 넓히기 위한 성과를 

측정하기 위해 주문식 교육과정 이수자 취업률 향상 비율식을 지표로 선정함

- 산출식에  따른 

  값은  21년  58.00%의  결과가  도출되어  현재값을  21년  기준인 

58.00%로 설정함

성과지표 

목표값 달성 계획

Ÿ 미래산업대비 여성인재 양성을 위한 산학연 연계 직업 교육환경 구축 및 고도화를 

통한 산학연 네트워크 활성화 및 현장실무형교육 강화

Ÿ 특화분야별 참여학과 교수 산업자문 및 애로 기술지도를 위한  SOS 지원체계 구축, 

산학협력 기업지원 활동 활성화, 산학연 연계 현장 친화형 직업 교육과정 운영, 현장
실습 및 캡스톤디자인 인증제 운영 등을 통해 목표 달성

기대성과

Ÿ 산업체 수요 기반 직업교육 및 실습실 구축을 통한 현장중심의 실무 역량 향상 및 

수원여자대학교만의  인증제  도입을  통한  학생  역량  강화라는  단기적  성과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산학연 협력을 및 공유 협업 생태계 구축을 통한 산학협력을 활성화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95 ❙

지표명

기준 값

(현재값)

연차별 달성 목표

1차년도

2차년도

3차년도

현재값 및 목표값 설정 

근거의 구체성 및 

적극성

Ÿ 최근3개년간 추세분석을 통한 기준값 및 연도별 목표값을 설정함
Ÿ 대학혁신사업을 통한 우리대학의 사회공헌대학 가치 실현 수준을 객관적 조사도구

로 측정함 

Ÿ 코로나19등의 상황에 따라 매년 편차가 큰 비정상적 결과값이 도출됨에 따라 3개년 

평균을  기준  값으로  설정하고  임계치에  도달한  만족도는  유지를  목표로  목표값을 
수립함

Ÿ 사회공헌활동 참여율 향상 비율식

- 대학과 지역사회간 상생의 가치실현을 위한 사회공헌활동 성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사회공헌활동에 참여한 학생 수를 활용하여 기준값과 목표값을 설정

- 산출식에 따른 

 의 값은 19년 105.64%, 20년 26.04%, 21년 44.31%의 결과가 도

출되어 현재값을 3개년 평균값인 58.66%로 설정

Ÿ 공동 교육과정 만족도 식

- 공동 교육과정 만족도는 공동 교육과정을 이수한 재학생을 대상으로 강의평가 결

과를  5점 척도로 측정

- 산출식에 따른 

의 값은 21년 4.47점의 결과가 도출되어 현재값을 21년 기준인 

4.47점으로 설정함

Ÿ K-MOOC 학점인정 참여율 향상 비율식

- K-MOOC 학점인정 참여율은 수강 및 이수하여 학생들에게 다양한 교과목의 학습

기회  제공  및  개인  학습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재학  중  한국형  온라인  공개강좌
(K-MOOC) 참여학생수를 기준으로 측정함

- 산출식에 따른 

의 값은 19년 0.50%, 20년 2.17%, 21년 8.02%의 결과가 도출되

어 현재값을 3개년 평균값인 3.56%로 설정

성과지표 

목표값 달성 계획

Ÿ 다양한 사회적 요구, 지역사회 문제해결을 위한 체계적이고 지속적인 사회공헌활동 

전개 및 사회적 약자를 위한 지원 강화

Ÿ 대학 간 상호 공유와 협력으로 융·복합 공동 교육과정 개발과 다양한 교육기회 제공

을 통한 미래인재 양성

Ÿ 대학의 역량과 특성, 지역사회의 수요를 고려한 체계적인 사회공헌활동 추진
Ÿ 최적의 비용으로 최선의 교육환경 마련, 대내외 다양한 학습기회 제공을 통한  학생 

교육 선택권 확대

Ÿ 사회봉사활동 활성화를 위한 지역사회 경험학습 프로그램 운영, 사회봉사활동 보상

강화를 통한 봉사 역량 강화 교육 운영, 수도권 대학원격교육지원센터 추진 사업의 
공유·확산을 통한 교육 컨텐츠 공동 활용 등을 통해 목표 달성

기대성과

Ÿ 대학 간 공유 협업을 통한 우수 교육콘텐츠 제공을 통해 수요자의 다양한 맞춤형 교육

의 체계화 실현 및 사회적 가치 실현을 위한 경험 기반 교육 혁신 추진이라는 단기적 
성과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대학의 공공성 확보와 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을 제고함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Ⅴ. 사업추진 상 대표 프로그램

전문대학혁신지원사업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2022~2024년 전문대학 혁신지원사업 자율혁신계획

❙ 96 ❙

수원여자대학교

증빙 pp.65~66

사례명칭

SUCCA 핵심역량 인증제 고도화 및 교육의 질 관리

선정사유

학생중심의 교육성과 진단 및 환류를 토대로 데이터 기반 성과관리 모델 개발 필요

1. 추진배경 및 개요

▢ 추진배경

○ 미래 교육수요자 세대 요구에 부합하고, 급변하는 미래사회에 적합한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대학의 지원 전략 혁신 필요

○ 주제와 대상별 요구 수준에 맞춘 교수-학습지원 및 e러닝 코스웨어 체계구축

○ 데이터 기반 교수-학습역량지원을 강화하고 디지털 기반 교수-학습 인프라를 구축하여 

체계적으로 교육의 질 관리 고도화 

▢ 우수사례 개요

○ 학생역량 차원의 SUCCA(Suwon Women’s University Core Competence Assessment) 핵심

역량 인증제 체계화 및 성과 분석

○ 핵심역량 인증제에 기반한 비교과 교육과정을 통해 창의적이고 혁신적인 인재 양성을 

도모하며 비교과 교육과정 연계 인증제 체계화 및 성과 분석

○ 학생 중심의 교육성과 진단 및 환류를 토대로 데이터 기반 성과관리 모델 개발

2. 추진과정

▢ 추진현황

/proj/swwu/download/1663662816686/index-html.html
background image

V Part

사업추진 상 대표 사례

❙ 97 ❙

▢ 애로요인 및 극복과정

○ 대학의 비교과 교육과정을 통합 연계하여 인증제 체계를 구축하고 이를 바탕으로 성과 분석

마련에 시간과 노력 필요

- 비교과 교육과정 인증제의 교내 제도화 방안 정립:유관 업무와 유기적 연계

○ 학생역량 차원의 SUCCA(Suwon Women’s University Core Competence Assessment) 핵심

역량 인증제 체계화 및 성과 분석 고도화 필요

- 핵심역량 인증체계 수정 개발 및 운영
- 핵심역량 인증제의 운영성과 및 효과성 분석 보고서 발간
- 핵심역량 인증제 결과물 및 우수사례 도출

3. 기대효과 및 향후과제

▢ 기대효과

○ 교수·학습 정책에 부합하는 교과목 & 비교과 교육과정 운영 질 관리 및 인증평가실시

○ 핵심역량 인증제도 재정립 및 핵심역량 인증 평가 방법 타당성 제고

○ 온라인상의 『학생이력관리 시스템』 연계구축을 통하여 학생들의 학습 및 역량을 총괄 

관리하는 앱을 마련하여 핵심역량 인증체제 고도화 마련

○ 교육성과 및 수요자 만족도 개선

○ 데이터 기반 대학성과관리 고도화

▢ 향후과제

○ 학생중심의 교육성과 진단 및 환류

- 데이터기반 교육수요자 만족도 조사 관리체계 수립, 학생 핵심역량진단 및 환류
- 만족도 조사결과 공유를 위한 환류체계 다각화, 교육과정 만족도 조사 및 환류
- 우리대학의 학생중심 교육성과 및 교육수요자 만족도 관련 조사·분석 주요사례총괄: 학

생핵심역량진단

, 교육수요자만족도, 수업만족도, 프로그램 만족도 등

- 조사·분석 진행 절차 및 관리체계 총괄 

○ 데이터 기반 교육의 성과관리 모델 개발 

- 기획처 산하 평가팀 주축으로 데이터 기반 성과관리 위원회(가칭) 구성 및 발족
- 데이터 기반 대학교육 질 관리 및 평가팀 운영사례 벤치마킹 실시, 보고서 제작